
파로스아이바이오(대표 윤정혁)는 11월 6일(현지시간)부터 8일까지 사흘간 독일 뮌헨에서 개최되는 ‘바이오 유럽(Bio-Europe)’에 참가한다고 25일 밝혔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인공지능(AI) 기반 혁신 신약 개발 전문기업이다.
바이오 유럽은 1995년부터 이어져 온 유럽 최대 규모의 제약·바이오 콘퍼런스로 꼽힌다. 신약 후보물질의 기술 수출과 투자 유치 등 기업 간 협력을 도모하는 파트너링 행사다. 전 세계 제약·바이오 기업 경영진과 연구개발자, 투자자를 포함해 약 5000명 이상 업계 전문가가 참석한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이번 바이오 유럽의 디지털 프레젠테이션 기업으로 선정됐다. AI 신약 개발 플랫폼 ‘케미버스’를 활용해 발굴한 주요 파이프라인의 연구개발 현황을 소개할 예정이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AI 신약 개발 플랫폼 케미버스를 활용한 연구 확장을 위해 파트너링 미팅도 추진할 예정이다. 케미버스 기술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치료제의 공동 연구 개발이나 신규 후보물질 발굴 등을 논의한다. 또한 현재 글로벌 임상 1b상을 진행 중인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PHI-101’ 등의 조기 상용화를 위한 파트너십과 기타 희귀질환 파이프라인의 글로벌 기술 이전 기회도 발굴할 예정이다.
파로스아이바이오 김규태 최고비즈니스책임자(CBO) 겸 호주법인 공동대표는 “다국적 기업 및 유럽 지역 상업화 기반의 중견기업 등과 폭넓게 교류할 기회인 만큼, 기술 이전 등 유의미한 신약 개발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힘쓸 계획“이라며 “대내적인 연구개발뿐만 아니라 글로벌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파이프라인 개발 및 확장에도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7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파로스아이바이오는 AI 플랫폼 ‘케미버스’를 활용해 희귀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벤처 기업이다. 미충족 수요가 큰 희귀질환 치료제를 발굴하며, 연구 과정에 인공지능을 활용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개발 성공률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GEO, GMO와 동일 규제는 족쇄"... 유전자교정 규제 혁신 이뤄져야 |
| 2 | 500억 투입 '한국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 신약개발 지형 흔든다 |
| 3 | 넥스트바이오메디컬, '넥스파우더·넥스피어' 세계일류상품 육성사업' 선정 |
| 4 | 바이오의 꽃 ‘신약개발 레드바이오’ 흔들린다…VC 선택 기준 ‘사업성’ |
| 5 | 로킷헬스케어, ‘자가혈 활성 주사 플랫폼’ 론칭 |
| 6 | 비보존, VVZ-2471 일본 물질특허 등록 허가…125개 화합물 독점권 확보 |
| 7 | DLBCL 치료 패러다임 전환…조기 CAR-T가 생존 곡선 바꾼다 |
| 8 | 네오이뮨텍, IL-7 유전자 결핍 환자서 NT-I7 면역 회복 효능 확인 |
| 9 | 네이처셀, '조인트스템' 미국 FDA EOP2 미팅 성공적 종료 |
| 10 | HK이노엔, 3분기 두 자릿수 성장…의약품 호조·중국·일본 매출 급증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파로스아이바이오(대표 윤정혁)는 11월 6일(현지시간)부터 8일까지 사흘간 독일 뮌헨에서 개최되는 ‘바이오 유럽(Bio-Europe)’에 참가한다고 25일 밝혔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인공지능(AI) 기반 혁신 신약 개발 전문기업이다.
바이오 유럽은 1995년부터 이어져 온 유럽 최대 규모의 제약·바이오 콘퍼런스로 꼽힌다. 신약 후보물질의 기술 수출과 투자 유치 등 기업 간 협력을 도모하는 파트너링 행사다. 전 세계 제약·바이오 기업 경영진과 연구개발자, 투자자를 포함해 약 5000명 이상 업계 전문가가 참석한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이번 바이오 유럽의 디지털 프레젠테이션 기업으로 선정됐다. AI 신약 개발 플랫폼 ‘케미버스’를 활용해 발굴한 주요 파이프라인의 연구개발 현황을 소개할 예정이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AI 신약 개발 플랫폼 케미버스를 활용한 연구 확장을 위해 파트너링 미팅도 추진할 예정이다. 케미버스 기술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치료제의 공동 연구 개발이나 신규 후보물질 발굴 등을 논의한다. 또한 현재 글로벌 임상 1b상을 진행 중인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PHI-101’ 등의 조기 상용화를 위한 파트너십과 기타 희귀질환 파이프라인의 글로벌 기술 이전 기회도 발굴할 예정이다.
파로스아이바이오 김규태 최고비즈니스책임자(CBO) 겸 호주법인 공동대표는 “다국적 기업 및 유럽 지역 상업화 기반의 중견기업 등과 폭넓게 교류할 기회인 만큼, 기술 이전 등 유의미한 신약 개발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힘쓸 계획“이라며 “대내적인 연구개발뿐만 아니라 글로벌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파이프라인 개발 및 확장에도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7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파로스아이바이오는 AI 플랫폼 ‘케미버스’를 활용해 희귀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벤처 기업이다. 미충족 수요가 큰 희귀질환 치료제를 발굴하며, 연구 과정에 인공지능을 활용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개발 성공률을 높인다는 전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