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국민 절반 이상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한국은 지금 '스마트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편리함 이면에는 디스크, 비만 등 스마트폰 중독이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들이 속속 보고되고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365mc비만클리닉(이하 365mc)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량이 많은 사람일수록 운동량이 부족하고, 비만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65mc는 지난 6월 24일부터 7월 10일까지 20~30대 일반인 124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이용실태와 비만도(체질량지수, BMI)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하루 스마트폰 사용량이 3~5시간 이상(28.9%)인 경우 1~3시간 미만인 그룹(18.8%)에 비해 비만율이 54%, 절반 이상 높게 조사됐다. 5~7시간 이상인 그룹의 비만도는 전체 38.3%에 달했다.
특히 고도비만율의 경우 스마트폰 사용량이 1~3시간 미만인 그룹은 한 명도 없었지만, 3~5시간의 경우 4.4%, 5~7시간 이상인 그룹의 경우19.2%로 상당히 높은 차이를 보였다.
이 같은 스마트폰 중독과 비만도의 상관관계는 사용 장소와 운동량의 따른 차이가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스마트폰 1~3시간 사용하는 그룹의 경우 하루 운동량이 30분 미만이라고 응답한 참여자가 22%(7명)이었으며, 3~5시간, 5~7시간 이상 그룹은 각각 44.4%(20명), 57.4%(27명)으로 나타났다.
365mc 대전 지방흡입센터 김우준 원장은 “스마트폰을 주로 이동하는 차 안,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휴식 중, 취침 전 등 앉아 있거나 움직임이 적은 상태에서 이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하루 운동량이 줄어들기 마련이고, 반대로 과체중, 비만도가 높을수록 운동을 기피하거나 움직임이 적은 특성이 있어 스마트폰 사용량이 늘어나는 경향이 보일 수 있다”고 전했다.
또 “하루 스마트폰 사용량이 많을 경우 체중관리와 건강상의 문제를 초래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며 “불가피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해야 한다면 취침 전에는 사용을 최대한 자제하는 등 시간에 제한을 두고, 주 3회 하루 30분 이상 운동을 지속해 부족한 운동량을 늘리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삼성제약, '알츠하이머 평가 척도 미충족' 젬백스 임상 3상 참여 의사 밝혀 |
| 2 | [첨생법 날개달다] 김선진 대표 “코오롱생명, 유전자치료제로 또 한 번 글로벌 간다" |
| 3 | 올릭스, 황반변성 치료제 ‘OLX301A’ 임상1상 안전성·내약성 입증 |
| 4 | [직장 문화 탐방] 바이엘, “빠르게 움직이는 조직, 창의적 사고로 기회를 만든다” |
| 5 | AI 신약개발, K-바이오 기술 경쟁력 가속화 잰걸음 |
| 6 | 이목 집중 K-뷰티 브랜드 3사, 3분기 각자 성장 |
| 7 | 이뮨온시아, NK/T세포 림프종 신약 ‘댄버스토투그’ 희귀의약품지정 신청 |
| 8 | 오프라인 쇼핑 다시 증가…화장품은 온·오프라인 결합 소비 확대 |
| 9 | 멧세라, 화이자와 100억 달러 조건 인수 합의 공표 |
| 10 | 한국콜마, 주가 큰폭 하락…3분기 실적 시장 기대치 밑돌아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국민 절반 이상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한국은 지금 '스마트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편리함 이면에는 디스크, 비만 등 스마트폰 중독이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들이 속속 보고되고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365mc비만클리닉(이하 365mc)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량이 많은 사람일수록 운동량이 부족하고, 비만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65mc는 지난 6월 24일부터 7월 10일까지 20~30대 일반인 124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이용실태와 비만도(체질량지수, BMI)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하루 스마트폰 사용량이 3~5시간 이상(28.9%)인 경우 1~3시간 미만인 그룹(18.8%)에 비해 비만율이 54%, 절반 이상 높게 조사됐다. 5~7시간 이상인 그룹의 비만도는 전체 38.3%에 달했다.
특히 고도비만율의 경우 스마트폰 사용량이 1~3시간 미만인 그룹은 한 명도 없었지만, 3~5시간의 경우 4.4%, 5~7시간 이상인 그룹의 경우19.2%로 상당히 높은 차이를 보였다.
이 같은 스마트폰 중독과 비만도의 상관관계는 사용 장소와 운동량의 따른 차이가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스마트폰 1~3시간 사용하는 그룹의 경우 하루 운동량이 30분 미만이라고 응답한 참여자가 22%(7명)이었으며, 3~5시간, 5~7시간 이상 그룹은 각각 44.4%(20명), 57.4%(27명)으로 나타났다.
365mc 대전 지방흡입센터 김우준 원장은 “스마트폰을 주로 이동하는 차 안,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휴식 중, 취침 전 등 앉아 있거나 움직임이 적은 상태에서 이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하루 운동량이 줄어들기 마련이고, 반대로 과체중, 비만도가 높을수록 운동을 기피하거나 움직임이 적은 특성이 있어 스마트폰 사용량이 늘어나는 경향이 보일 수 있다”고 전했다.
또 “하루 스마트폰 사용량이 많을 경우 체중관리와 건강상의 문제를 초래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며 “불가피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해야 한다면 취침 전에는 사용을 최대한 자제하는 등 시간에 제한을 두고, 주 3회 하루 30분 이상 운동을 지속해 부족한 운동량을 늘리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