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인의 안전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복용을 위한 의약품·건기식 정보 점자표기·음성변환코드 도입 의무화가 추진된다.
윤소하 정의당 의원은 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약사법', '건강기능식품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먼저 '약사법' 개정안은 현행 13종으로 분류되어 유통되는 안전상비의약품에 대해 그 제조∙수입자가 의약품의 용기나 포장 등에 제품명, 효능․효과, 용법·용량 등에 관한 정보를 담은 점자 및 점자·음성변환용 코드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및 정보시스템을 구축·운영하도록 하여 시각장애인의 의약품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건강기능식품법' 개정안은 건강기능식품의 용기·포장에 제품의 상세한 정보를 담은 점자․음성변환용 코드를 표시하도록 의무화하고, 이를 위반한 영업자에 대하여 과태료를 부과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 안전상비의약품의 경우 총 13종의 품종 중 4개의 품종만 점자표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국 3만1천5백여 개소에서 판매되고 있다.
지난 4년간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 접수된 안전상비의약품 부작용 건수는 1,068건에 달하는 등 오남용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건강기능식품의 경우도 지난 4년간 식품의약품안전처로 접수된 이상사례 신고 건수가 3,037건에 달하는 등 보다 안전한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윤소하 의원은 “약사의 처방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안전상비의약품이나 소비자가 직접 구입하는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정보제공이 중요하다”라고 지적하며, “정부가 올바른 약물 복용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는 하지만 시각장애인을 위한 정보제공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사각지대에 놓여져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사용빈도가 높은 안전상비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의 정보제공을 통해 시각장애인들의 안전한 약품 사용에 도움이 되고 정보접근 권리를 보장하는 계기가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덧붙였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GEO, GMO와 동일 규제는 족쇄"... 유전자교정 규제 혁신 이뤄져야 |
| 2 | 500억 투입 '한국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 신약개발 지형 흔든다 |
| 3 | 에임드바이오, IPO 공모가 최상단 11,000원 확정…의무보유 확약비율 80.2% |
| 4 | 로킷헬스케어, ‘자가혈 활성 주사 플랫폼’ 론칭 |
| 5 | 넥스트바이오메디컬, '넥스파우더·넥스피어' 세계일류상품 육성사업' 선정 |
| 6 | 캐나다 앱토즈 바이오사이언스, 한미약품에 인수합병 |
| 7 | 비보존, VVZ-2471 일본 물질특허 등록 허가…125개 화합물 독점권 확보 |
| 8 | 네이처셀, '조인트스템' 미국 FDA EOP2 미팅 성공적 종료 |
| 9 | DLBCL 치료 패러다임 전환…조기 CAR-T가 생존 곡선 바꾼다 |
| 10 | 바이오의 꽃 ‘신약개발 레드바이오’ 흔들린다…VC 선택 기준 ‘사업성’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복용을 위한 의약품·건기식 정보 점자표기·음성변환코드 도입 의무화가 추진된다.
윤소하 정의당 의원은 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약사법', '건강기능식품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먼저 '약사법' 개정안은 현행 13종으로 분류되어 유통되는 안전상비의약품에 대해 그 제조∙수입자가 의약품의 용기나 포장 등에 제품명, 효능․효과, 용법·용량 등에 관한 정보를 담은 점자 및 점자·음성변환용 코드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및 정보시스템을 구축·운영하도록 하여 시각장애인의 의약품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건강기능식품법' 개정안은 건강기능식품의 용기·포장에 제품의 상세한 정보를 담은 점자․음성변환용 코드를 표시하도록 의무화하고, 이를 위반한 영업자에 대하여 과태료를 부과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 안전상비의약품의 경우 총 13종의 품종 중 4개의 품종만 점자표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국 3만1천5백여 개소에서 판매되고 있다.
지난 4년간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 접수된 안전상비의약품 부작용 건수는 1,068건에 달하는 등 오남용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건강기능식품의 경우도 지난 4년간 식품의약품안전처로 접수된 이상사례 신고 건수가 3,037건에 달하는 등 보다 안전한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윤소하 의원은 “약사의 처방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안전상비의약품이나 소비자가 직접 구입하는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정보제공이 중요하다”라고 지적하며, “정부가 올바른 약물 복용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는 하지만 시각장애인을 위한 정보제공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사각지대에 놓여져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사용빈도가 높은 안전상비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의 정보제공을 통해 시각장애인들의 안전한 약품 사용에 도움이 되고 정보접근 권리를 보장하는 계기가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