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건기식, 점자표기·음성변환코드 의무 도입 추진
윤소하 의원 "시각장애인 의약품 사용 안전성 확보 필요"
입력 2017.04.03 13:59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복용을 위한 의약품·건기식 정보 점자표기·음성변환코드 도입 의무화가 추진된다.

윤소하 정의당 의원은 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약사법', '건강기능식품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먼저 '약사법' 개정안은 현행 13종으로 분류되어 유통되는 안전상비의약품에 대해 그 제조∙수입자가 의약품의 용기나 포장 등에 제품명, 효능․효과, 용법·용량 등에 관한 정보를 담은 점자 및 점자·음성변환용 코드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및 정보시스템을 구축·운영하도록 하여 시각장애인의 의약품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건강기능식품법' 개정안은 건강기능식품의 용기·포장에 제품의 상세한 정보를 담은 점자․음성변환용 코드를 표시하도록 의무화하고, 이를 위반한 영업자에 대하여 과태료를 부과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 안전상비의약품의 경우 총 13종의 품종 중 4개의 품종만 점자표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국 3만1천5백여 개소에서 판매되고 있다.

지난 4년간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 접수된 안전상비의약품 부작용 건수는 1,068건에 달하는 등 오남용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건강기능식품의 경우도 지난 4년간 식품의약품안전처로 접수된 이상사례 신고 건수가 3,037건에 달하는 등 보다 안전한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윤소하 의원은 “약사의 처방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안전상비의약품이나 소비자가 직접 구입하는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정보제공이 중요하다”라고 지적하며, “정부가 올바른 약물 복용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는 하지만 시각장애인을 위한 정보제공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사각지대에 놓여져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사용빈도가 높은 안전상비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의 정보제공을 통해 시각장애인들의 안전한 약품 사용에 도움이 되고 정보접근 권리를 보장하는 계기가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건선 치료 핵심, '면역 조절 정확성'… IL-17A·17F 동시 억제가 새로운 표준 될 것”
“LDL-C는 가능한 낮게, 가능한 빠르게…심혈관질환 예방 핵심”
[첨생법 날개달다] 차바이오텍 “준비는 끝났다…이제 세계 무대서 승부할 것”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정책]의약품·건기식, 점자표기·음성변환코드 의무 도입 추진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정책]의약품·건기식, 점자표기·음성변환코드 의무 도입 추진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