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이하 레고켐)는 10월1일자로 의약품 판매회사인 칸메드와 완전합병 하는 안을 이사회 결의를 통해 확정했다고 밝혔다.
당초 레고켐은 지난 7월 6일 신주인수계약 공시를 통해 칸메드의 지분을 20% 인수하고 향후 합병할 예정이었으나, 이번 계약을 통해 완전합병 시기를 앞당기게 됐다. 이번 칸메드 인수는 레고켐의 신주발행 방식을 통해 이뤄지며, 이번 합병에 따른 레고켐 보유자금 사용은 없다.
레고켐은 칸메드 완전합병 대가로 9월30일 기준 산정주가인 1주당 22,693원을 기준으로 신주 1,363,813주를 발행하여 칸메드 1주당 1.363813의 비율로 교환하게 된다. 최종 합병완료일은 올해 12월21일 예정으로 세부사항은 상세실사와 검토과정을 거쳐 최종 확정되며 합병 후 칸메드는 소멸된다.
레고켐(대표이사 김용주)은 2013년5월 코스닥에 상장됐으며 항생제, 항암제, 항응혈제 및 항체-약물 복합체(ADC: Antibody-Drug-Conjugates) 등 신약을 연구개발하는 신약연구벤처다. 지난 8월17일 중국 푸싱제약에 허셉틴-ADC 개발후보를 기술이전 하는 등 7건의 기술이전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칸메드(대표이사 이법표)는 LG생명과학 영업팀이 주축이 돼 지난 2013년 설립된 비상장 의약품 전문 판매업체로 2014년 기준 91억 매출에 23억의 경상이익을 기록했다. 칸메드는 안정적인 판매처(병원)를 기반으로 향후 3년내 300억 이상의 매출신장을 목표로 삼고 있다.
특히 현재 별도로 진행 중인 법정관리 제약회사 인수가 완료되면 생산, 영업, 마케팅 기능을 갖춘 제약회사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이번 합병에 대해 레고켐 김용주 대표이사는 “2013년 상장시점부터 안정성 있는 제약회사를 인수해 기술력 있는 레고켐의 성장성과 결합하여 연구, 생산, 영업, 마케팅 기능을 보유한 ‘연구중심형 제약회사’를 만드는 것이 비전이었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기반이 마련됐다"고 말했다.
또 “칸메드처럼 안정성과 지속 성장성을 겸비한 제약회사는 드물며”, 특히 “칸메드의 주요 임직원이 레고켐의 뿌리인 LG생명과학 출신들로 합병과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기업문화 차이에 따른 혼란 가능성이 적은 점도 고려됐다”고 덧붙였다.
칸메드의 이법표 대표이사는 “ 레고켐과 한식구가 됨으로써 한국을 대표하는 제약회사로 성장할 수 있는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됐다”며 “레고켐의 뛰어난 연구개발력을 발판으로 기존 의료용품 및 제네릭 중심에서 개량신약과 신약 파이프라인을 점차 보강함으로써 질적으로도 성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합병은 기술력과 성장성은 있으나 재무적 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상장 벤처회사가 병원을 주 기반으로 한 비상장 제약회사와 합병해 벤처-제약사-병원 3자가 협력하는 국내에서는 드문 새로운 전략적 제휴 모델이라는 점에서 업계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레고켐 CFO 박세진 부사장은 “이번 합병을 통해 레고켐은 매출과 수익원을 확보한 가운데 현재 집중하고 있는 ADC 기술 및 항생제 등 주력 파이프라인의 글로벌 기술이전을 가속화하여 수년 내에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최고의 ‘연구중심형 제약회사’로 발전할 것”이라고 피력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네이처셀, '조인트스템' 올해 미국 플로리다서 실용화 추진 |
2 | MSD도 결국 '칼' 뺐다…글로벌 빅파마 구조조정 도미노 |
3 | 아이엠바이오로직스, 코스닥 기술성평가 'A, A 통과' |
4 | 릴리, 항체공장 매각...제약기업들,미국내 제조 생산시설 관심↑ |
5 | 의약품유통협회, 다국적제약사와의 협상서 존재감 입증 |
6 | IPO 앞두고 신경계 R&D 강화…명인제약, '글로벌 임상+제네릭' 투트랙 |
7 | 아세클리딘 기반 점안제型 노안 치료제 최초 승인 |
8 | "현대바이오 제프티,팍스로비드·조코바보다 안전·유효 코로나19 치료제 " |
9 | [뷰티누리×민텔] 올 가을·겨울 메이크업 복고 바람 거세 |
10 | 씨티바이오, ‘한국 헬스케어 혁신기업 40’ 선정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이하 레고켐)는 10월1일자로 의약품 판매회사인 칸메드와 완전합병 하는 안을 이사회 결의를 통해 확정했다고 밝혔다.
당초 레고켐은 지난 7월 6일 신주인수계약 공시를 통해 칸메드의 지분을 20% 인수하고 향후 합병할 예정이었으나, 이번 계약을 통해 완전합병 시기를 앞당기게 됐다. 이번 칸메드 인수는 레고켐의 신주발행 방식을 통해 이뤄지며, 이번 합병에 따른 레고켐 보유자금 사용은 없다.
레고켐은 칸메드 완전합병 대가로 9월30일 기준 산정주가인 1주당 22,693원을 기준으로 신주 1,363,813주를 발행하여 칸메드 1주당 1.363813의 비율로 교환하게 된다. 최종 합병완료일은 올해 12월21일 예정으로 세부사항은 상세실사와 검토과정을 거쳐 최종 확정되며 합병 후 칸메드는 소멸된다.
레고켐(대표이사 김용주)은 2013년5월 코스닥에 상장됐으며 항생제, 항암제, 항응혈제 및 항체-약물 복합체(ADC: Antibody-Drug-Conjugates) 등 신약을 연구개발하는 신약연구벤처다. 지난 8월17일 중국 푸싱제약에 허셉틴-ADC 개발후보를 기술이전 하는 등 7건의 기술이전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칸메드(대표이사 이법표)는 LG생명과학 영업팀이 주축이 돼 지난 2013년 설립된 비상장 의약품 전문 판매업체로 2014년 기준 91억 매출에 23억의 경상이익을 기록했다. 칸메드는 안정적인 판매처(병원)를 기반으로 향후 3년내 300억 이상의 매출신장을 목표로 삼고 있다.
특히 현재 별도로 진행 중인 법정관리 제약회사 인수가 완료되면 생산, 영업, 마케팅 기능을 갖춘 제약회사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이번 합병에 대해 레고켐 김용주 대표이사는 “2013년 상장시점부터 안정성 있는 제약회사를 인수해 기술력 있는 레고켐의 성장성과 결합하여 연구, 생산, 영업, 마케팅 기능을 보유한 ‘연구중심형 제약회사’를 만드는 것이 비전이었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기반이 마련됐다"고 말했다.
또 “칸메드처럼 안정성과 지속 성장성을 겸비한 제약회사는 드물며”, 특히 “칸메드의 주요 임직원이 레고켐의 뿌리인 LG생명과학 출신들로 합병과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기업문화 차이에 따른 혼란 가능성이 적은 점도 고려됐다”고 덧붙였다.
칸메드의 이법표 대표이사는 “ 레고켐과 한식구가 됨으로써 한국을 대표하는 제약회사로 성장할 수 있는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됐다”며 “레고켐의 뛰어난 연구개발력을 발판으로 기존 의료용품 및 제네릭 중심에서 개량신약과 신약 파이프라인을 점차 보강함으로써 질적으로도 성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합병은 기술력과 성장성은 있으나 재무적 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상장 벤처회사가 병원을 주 기반으로 한 비상장 제약회사와 합병해 벤처-제약사-병원 3자가 협력하는 국내에서는 드문 새로운 전략적 제휴 모델이라는 점에서 업계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레고켐 CFO 박세진 부사장은 “이번 합병을 통해 레고켐은 매출과 수익원을 확보한 가운데 현재 집중하고 있는 ADC 기술 및 항생제 등 주력 파이프라인의 글로벌 기술이전을 가속화하여 수년 내에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최고의 ‘연구중심형 제약회사’로 발전할 것”이라고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