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치매 환자와 가족들 문제 해결을 위해 ‘치매 국가책임제’를 주요 정책으로 내건 가운데 치매 케어 로봇이 개발됐다.
수원과학대학교(총장 박철수) 간호학과 오진환 교수팀은 한국연구재단 연구비 지원으로 서비스 로봇 전문기업 ‘퓨처로봇’에 의뢰해 치매 케어 로봇 ‘강아지’를 개발, 시흥시와 광명시 치매안심센터에서 선보였다고 밝혔다. 치매 케어 로봇은 치매 예방 및 경증 치매증상 완화를 위한 정서적 케어 기능에 초점을 두었으며, 정서적 유대감과 안정감을 제공하겠다는 취지로 한국문화에서 어르신들이 손주를 부를 때 사용하는 애칭인 ‘강아지’라는 이름을 붙였다.
교수팀에 따르면 ‘강아지’ 로봇의 핵심 기술은 감성 인공지능(AI) 기반 HRI(Human Robot Interaction)를 활용한 보호자 역할로 치매 환자에게 필요한 인지능력 훈련을 지원하며 음악 감상, 독서, 사진 찍기 등 엔터테인먼트 기능도 함께 제공한다.
교수팀은 향후 환자 건강상태 및 건강정보를 근거로 최적의 식단과 투약시간 알림, 운동시간 같은 개인일정 알림 서비스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진환 교수는 “ 치매 케어 로봇 ‘강아지’의 핵심은 로봇과 대상자 사이 상호작용에 있으며, 이는 한국연구재단 지원과 퓨처로봇 기술력으로 첫 시도가 가능했다”고 말했다.
송세경 퓨처로봇 대표는 “정부가 치매 케어를 위한 정책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만큼 치매 케어 로봇이 치매 환자와 가족들의 건강한 삶을 이끄는 로봇이 되기를 기대한다. 앞으로 치매 케어 로봇 뿐 아니라 다양한 의료서비스 로봇시장 확대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1분기 화장품 ODM, 상위사 집중 현상 심화 |
2 | 연세대 약대 황성주 교수,정년퇴임…35년 제약학 교육·연구 헌신 조명 |
3 | 신약개발 성공 이끄는 씨엔알리서치와 '숨은 영웅들' |
4 | 2025 올리브영 페스타, '테마형 뷰티테인먼트'로 새로운 길 연다 |
5 | 의약품유통협회, 얀센 마진 인하에 '최후통첩'..."철회 외 협의 없다" |
6 | "치매 더 정밀하게 찾는다" 아밀로이드 '혈액·PET 진단' 공존시대 개막 |
7 | 신영에어텍 김용희 대표 "혁신 플라즈마 살균 기술로 숨 쉬는 공기 지킨다" |
8 | SK바이오사이언스, 화이자 폐렴구균 백신 특허침해소송 '승소' |
9 | 아이진, 엠브릭스 차세대 보툴리눔 톡신 'MBT-002' 기술이전 및 판권 계약 |
10 | 식약처, 방사성 요오드 부족 "일시적 원료 문제"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정부가 치매 환자와 가족들 문제 해결을 위해 ‘치매 국가책임제’를 주요 정책으로 내건 가운데 치매 케어 로봇이 개발됐다.
수원과학대학교(총장 박철수) 간호학과 오진환 교수팀은 한국연구재단 연구비 지원으로 서비스 로봇 전문기업 ‘퓨처로봇’에 의뢰해 치매 케어 로봇 ‘강아지’를 개발, 시흥시와 광명시 치매안심센터에서 선보였다고 밝혔다. 치매 케어 로봇은 치매 예방 및 경증 치매증상 완화를 위한 정서적 케어 기능에 초점을 두었으며, 정서적 유대감과 안정감을 제공하겠다는 취지로 한국문화에서 어르신들이 손주를 부를 때 사용하는 애칭인 ‘강아지’라는 이름을 붙였다.
교수팀에 따르면 ‘강아지’ 로봇의 핵심 기술은 감성 인공지능(AI) 기반 HRI(Human Robot Interaction)를 활용한 보호자 역할로 치매 환자에게 필요한 인지능력 훈련을 지원하며 음악 감상, 독서, 사진 찍기 등 엔터테인먼트 기능도 함께 제공한다.
교수팀은 향후 환자 건강상태 및 건강정보를 근거로 최적의 식단과 투약시간 알림, 운동시간 같은 개인일정 알림 서비스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진환 교수는 “ 치매 케어 로봇 ‘강아지’의 핵심은 로봇과 대상자 사이 상호작용에 있으며, 이는 한국연구재단 지원과 퓨처로봇 기술력으로 첫 시도가 가능했다”고 말했다.
송세경 퓨처로봇 대표는 “정부가 치매 케어를 위한 정책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만큼 치매 케어 로봇이 치매 환자와 가족들의 건강한 삶을 이끄는 로봇이 되기를 기대한다. 앞으로 치매 케어 로봇 뿐 아니라 다양한 의료서비스 로봇시장 확대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