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걱턱이나 안면비대칭, 돌출입 등 부정교합을 가진 사람들이 어린시절부터 주변의 따가운 시선과 언어폭력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스스로를 불행하다고 느낀 사람은 55.1%, 우울증과 대인기피증을 경험한 경우는 각각 42%와 25.4%로, 얼굴뼈 부정교합이 큰 심리적인 고통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사대상 205명 중 20대가 81.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취업 및 결혼 등 본격적 사회활동을 앞둔 시기에 외모로 인한 차별을 겪어 더욱 큰 상실감과 좌절을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조사결과, 면접이나 결혼 등 중요한 대인관계에서 실패 경험을 겪은 경우가 16.6%, 일부러 사람을 만나지 않는 직종을 선택했다는 답변도 10.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한편, 얼굴뼈 부정교합은 그 자체로도 신체적인 합병증을 가져오는 것으로 조사됐다.
저작장애 및 소화불량을 호소한 경우가 44.9%, 발음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27.3%, 턱관절에서 소리가 나거나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가 24.4%, 비염 등 호흡기질환을 가진 경우도 11.2%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걱턱, 안면비대칭, 돌출입 등의 얼굴뼈 부정교합은 아래턱이 비정상적으로 자라는 등의 원인으로 위턱과 아래턱의 위치가 어긋나 발생하게 되는 질환이다.
이에 부정교합 상태는 위아래 턱이 서로 맞물리지 않음으로써 음식을 잘 씹지 못하고 삼키게 돼 소화불량으로 이어지기 쉽다.
이번 조사 응답자의 경우, 턱의 기능적인 문제로 인한 소화불량에 심리적 스트레스가 겹쳐 만성적인 소화불량을 호소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소화불량이 반복될 경우엔 위식도 역류질환이나 소화성 궤양, 위암과 같은 더 심각한 상태의 소화기계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특별한 원인 질환 없이 발생하는 기능성 소화불량의 약1/3은 과민성대장증후군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담석증이나 공기연하증 등도 쉽게 동반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얼굴뼈 부정교합을 가진 사람들에서는 위턱과 아래턱이 서로 잘 맞물리지 않아 발음이 새는 문제가 나타나며, 턱이 서로 어긋나면서 소리가 나거나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턱의 비대칭은 신체의 다른 부위에도 점차 영향을 미치게 되어, 코나 목 또는 허리 등이 휘는 증상을 동반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비염과 같은 호흡기 증상과 목 또는 허리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조사를 주도한 아이디병원의 박상훈 원장은 “얼굴뼈의 부정교합을 외모의 문제로만 보는 것은 단순한 접근이다.”며 “신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다른 동반 증상을 고통스럽게 경험하므로, 주변의 따뜻한 관심과 배려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밝혔다.
부정교합의 치료는 조기에 발견되면 턱 교정 치료를 할 수 있다. 턱뼈의 성장을 유도하거나 제어하기 위해서는 어린 나이에 교정을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반대로 골격적(성장적)인 문제라면 교정을 마친 뒤에도 턱뼈가 계속 자라나면서 교정 효과가 사라질 수도 있으므로 성인이 돼 수술 치료를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얼굴뼈의 대칭이 맞지 않거나 턱 관절의 위치가 불안정하다면 전문병원을 통해 정밀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상장 제약바이오 1Q 총차입금 평균 1583억원...코스피,코스닥 4배 |
2 | "FDA 이어 EMA도 고개 끄덕…CHMP, 글로벌 신약에 ‘패스트패스’ |
3 | 상장 화장품기업 1Q 총차입금 평균 795억 …전년比 85억↑ |
4 | 알테오젠,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아이럭스비’ 유럽 품목허가 권고 |
5 | 지오영 인천 스마트허브센터, 의약품 유통 자동화 혁신 가속 |
6 | "꿈팔던 시대는 끝, 수치로 증명해야" 아이큐비아, 바이오 투자유치 전략 공개 |
7 | GSK, RSV 인식 개선 위해 시니어 영웅 소환 |
8 | 동화약품,1897년 창업터 신사옥 건립...28일 입주 |
9 | HLB, "리라푸그라티닙 IRC 기준 유효성 지표 도출.. FDA 신약 승인 데이터 확보” |
10 | 사노피 ‘살클리사’ 다발 골수종 4제 요법 EU 추가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주걱턱이나 안면비대칭, 돌출입 등 부정교합을 가진 사람들이 어린시절부터 주변의 따가운 시선과 언어폭력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스스로를 불행하다고 느낀 사람은 55.1%, 우울증과 대인기피증을 경험한 경우는 각각 42%와 25.4%로, 얼굴뼈 부정교합이 큰 심리적인 고통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사대상 205명 중 20대가 81.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취업 및 결혼 등 본격적 사회활동을 앞둔 시기에 외모로 인한 차별을 겪어 더욱 큰 상실감과 좌절을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조사결과, 면접이나 결혼 등 중요한 대인관계에서 실패 경험을 겪은 경우가 16.6%, 일부러 사람을 만나지 않는 직종을 선택했다는 답변도 10.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한편, 얼굴뼈 부정교합은 그 자체로도 신체적인 합병증을 가져오는 것으로 조사됐다.
저작장애 및 소화불량을 호소한 경우가 44.9%, 발음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27.3%, 턱관절에서 소리가 나거나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가 24.4%, 비염 등 호흡기질환을 가진 경우도 11.2%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걱턱, 안면비대칭, 돌출입 등의 얼굴뼈 부정교합은 아래턱이 비정상적으로 자라는 등의 원인으로 위턱과 아래턱의 위치가 어긋나 발생하게 되는 질환이다.
이에 부정교합 상태는 위아래 턱이 서로 맞물리지 않음으로써 음식을 잘 씹지 못하고 삼키게 돼 소화불량으로 이어지기 쉽다.
이번 조사 응답자의 경우, 턱의 기능적인 문제로 인한 소화불량에 심리적 스트레스가 겹쳐 만성적인 소화불량을 호소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소화불량이 반복될 경우엔 위식도 역류질환이나 소화성 궤양, 위암과 같은 더 심각한 상태의 소화기계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특별한 원인 질환 없이 발생하는 기능성 소화불량의 약1/3은 과민성대장증후군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담석증이나 공기연하증 등도 쉽게 동반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얼굴뼈 부정교합을 가진 사람들에서는 위턱과 아래턱이 서로 잘 맞물리지 않아 발음이 새는 문제가 나타나며, 턱이 서로 어긋나면서 소리가 나거나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턱의 비대칭은 신체의 다른 부위에도 점차 영향을 미치게 되어, 코나 목 또는 허리 등이 휘는 증상을 동반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비염과 같은 호흡기 증상과 목 또는 허리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조사를 주도한 아이디병원의 박상훈 원장은 “얼굴뼈의 부정교합을 외모의 문제로만 보는 것은 단순한 접근이다.”며 “신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다른 동반 증상을 고통스럽게 경험하므로, 주변의 따뜻한 관심과 배려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밝혔다.
부정교합의 치료는 조기에 발견되면 턱 교정 치료를 할 수 있다. 턱뼈의 성장을 유도하거나 제어하기 위해서는 어린 나이에 교정을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반대로 골격적(성장적)인 문제라면 교정을 마친 뒤에도 턱뼈가 계속 자라나면서 교정 효과가 사라질 수도 있으므로 성인이 돼 수술 치료를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얼굴뼈의 대칭이 맞지 않거나 턱 관절의 위치가 불안정하다면 전문병원을 통해 정밀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