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광약품은 올해 3분기 누적매출 1382억 원으로 전년동기(1139억 원) 대비 21.3% 상승하며,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약업닷컴이 분석한 부광약품의 3분기 및 누적 실적에 따르면, 3분기 영업이익은 60억원으로 전년동기(-3억 원) 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하며, 턴어라운드를 이뤘다. 순이익도 78억원으로 전년동기(-53억 원) 대비 흑자전환을 기록했다.
상품매출이 249억원으로 전년동기(98억 원) 대비 154.7% 큰 폭으로 상승하며, 매출을 끌어올리는 데 견인차 역할을 했다.
다만, 연구개발비는 176억원으로 전년동기(213억 원)대비 17.4% 감소했다. 해외매출/수출도 0.3억원으로 전년동기(5억 원) 대비 92.9% 감소했다.
3분기 당기 매출은 478억 원으로 전년동기(426억 원) 대비 12.2% 상승세를 이어갔고, 순이익도 15억 원으로 전년동기(1억 원) 대비 1411.9% 네자리 수 성장세를 기록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10억원으로 전년동기(32억 원) 대비 69.2% 감소했다.
상품매출은 98억 원으로 전년동기(30억 원) 대비 231% 큰 폭으로 상승했다. 연구개발비는 59억 원으로 전년동기(69억 원) 대비 14.8% 감소했다.

주요 품목 실적을 살펴보면 당뇨병성 신경병증 치료제 덱시드정의 3분기 매출은 51억원, 누적 매출은 142억 원으로 국내 제품군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빈혈치료제 훼로바 3분기 매출 40억 원, 누적 115억 원 △간질환치료제 레가론 매출 31억 원, 누적 87억 원 △조현병, 양극성장애 치료제 라투다 매출 32억 원, 누적 78억 원 △당뇨병성 신경병증 치료제 치옥타시드 매출 20억 원, 누적 75억 원 △갑상선 부갑상선 호르몬제 씬지로이드 매출 14억 원, 누적 매출 61억 원 △해열, 진통, 소염제 타세놀 매출 12억 원, 누적 매출 45억 원 △간질치료제 오르필 매출 10억 원, 누적매출 31억 원 △구내염증완화제 헥사메딘액 △기관지확장제 엑시마 순이었다.
상품군은 △이비과용제 딜라스틴이 매출 7억 원, 누적매출 22억 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항악성종양제 홀록산 매출 3억 원, 누적매출 9억 원 △항악성종양제 엔독산 매출 3억 원, 누적매출 8억 원 △비소세포폐암외 항악성종양제 나벨빈 △항암제 유로미텍산주사 순으로 나타났다.

부광약품의 올해 3분기(누적) 사업부문 실적을 살펴보면, 3분기 제약부문 매출은 482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2%, 전기 대지 12% 증가했다. 누적 매출은 1393억 원으로 전기 대비 21% 증가했다.
사업분문별 제약부문 영업이익은 36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45% 감소했지만, 누적 영업이익은 143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1% 증가했다.
연구개발부문은 26억원 감소했고,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 누적 연구개발 부문도 84억원 감소하며, 적자가 지속됐다.

종속기업 기여도에서는 국내 부광메디카가 누적매출 170억 원으로 전기대비 629% 상승했고, 순이익도 4억 원으로 흑자전환을 이뤘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 “한국 최초 빅파마 지분 투자, 전례 없는 도약 신호” |
| 2 | 파주시 '바이오클러스터' 도전…성공 조건 ‘병원·데이터·인재·인센티브’ |
| 3 | 한국비엔씨 "비만치료 후보물질, 체중감소 효과 위고비 '우위' 확인" |
| 4 | 부광약품, 3Q 누적매출 1382억 원…전년比 21.3%↑ |
| 5 | 안국약품,디메디코리아 인수 계약,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성장형 M&A 모델 제시 |
| 6 | 실리콘투는 레드카펫, "K-뷰티 브랜드는 그 위를 걸으라!" |
| 7 | 대한약사회, 의협 총력투쟁 속 성분명 처방 ‘정책 본질 알리기’ 집중 |
| 8 | “건선 치료 핵심, '면역 조절 정확성'… IL-17A·17F 동시 억제가 새로운 표준 될 것” |
| 9 | 코아스템켐온 "뉴로나타-알, 식약처 보완서류 제출 완료" |
| 10 | 에이프로젠, 바이오시밀러·면역항암제 동시 비상…“기다림 결실로”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부광약품은 올해 3분기 누적매출 1382억 원으로 전년동기(1139억 원) 대비 21.3% 상승하며,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약업닷컴이 분석한 부광약품의 3분기 및 누적 실적에 따르면, 3분기 영업이익은 60억원으로 전년동기(-3억 원) 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하며, 턴어라운드를 이뤘다. 순이익도 78억원으로 전년동기(-53억 원) 대비 흑자전환을 기록했다.
상품매출이 249억원으로 전년동기(98억 원) 대비 154.7% 큰 폭으로 상승하며, 매출을 끌어올리는 데 견인차 역할을 했다.
다만, 연구개발비는 176억원으로 전년동기(213억 원)대비 17.4% 감소했다. 해외매출/수출도 0.3억원으로 전년동기(5억 원) 대비 92.9% 감소했다.
3분기 당기 매출은 478억 원으로 전년동기(426억 원) 대비 12.2% 상승세를 이어갔고, 순이익도 15억 원으로 전년동기(1억 원) 대비 1411.9% 네자리 수 성장세를 기록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10억원으로 전년동기(32억 원) 대비 69.2% 감소했다.
상품매출은 98억 원으로 전년동기(30억 원) 대비 231% 큰 폭으로 상승했다. 연구개발비는 59억 원으로 전년동기(69억 원) 대비 14.8% 감소했다.

주요 품목 실적을 살펴보면 당뇨병성 신경병증 치료제 덱시드정의 3분기 매출은 51억원, 누적 매출은 142억 원으로 국내 제품군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빈혈치료제 훼로바 3분기 매출 40억 원, 누적 115억 원 △간질환치료제 레가론 매출 31억 원, 누적 87억 원 △조현병, 양극성장애 치료제 라투다 매출 32억 원, 누적 78억 원 △당뇨병성 신경병증 치료제 치옥타시드 매출 20억 원, 누적 75억 원 △갑상선 부갑상선 호르몬제 씬지로이드 매출 14억 원, 누적 매출 61억 원 △해열, 진통, 소염제 타세놀 매출 12억 원, 누적 매출 45억 원 △간질치료제 오르필 매출 10억 원, 누적매출 31억 원 △구내염증완화제 헥사메딘액 △기관지확장제 엑시마 순이었다.
상품군은 △이비과용제 딜라스틴이 매출 7억 원, 누적매출 22억 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항악성종양제 홀록산 매출 3억 원, 누적매출 9억 원 △항악성종양제 엔독산 매출 3억 원, 누적매출 8억 원 △비소세포폐암외 항악성종양제 나벨빈 △항암제 유로미텍산주사 순으로 나타났다.

부광약품의 올해 3분기(누적) 사업부문 실적을 살펴보면, 3분기 제약부문 매출은 482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2%, 전기 대지 12% 증가했다. 누적 매출은 1393억 원으로 전기 대비 21% 증가했다.
사업분문별 제약부문 영업이익은 36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45% 감소했지만, 누적 영업이익은 143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1% 증가했다.
연구개발부문은 26억원 감소했고,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 누적 연구개발 부문도 84억원 감소하며, 적자가 지속됐다.

종속기업 기여도에서는 국내 부광메디카가 누적매출 170억 원으로 전기대비 629% 상승했고, 순이익도 4억 원으로 흑자전환을 이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