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사 2023년 3분기 평균 매출 851억, 전년비 3.9%↑
LG생건,아모레G, 한국콜마, 코스맥스 애경산업 順
입력 2023.12.14 06:00 수정 2023.12.14 06:01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약업신문 자매지 화장품신문이 화장품 관련 기업 69개사(코스피 13, 코스닥 48, 코넥스 1, 기타외감 7)의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2023년 3분기 매출은 평균 851억원으로 전년(819억원) 대비 3.9% 증가했다. 2분기(896억원)에 비해선 5.1% 역성장했다. 1~3분기 누적매출은 2544억원으로 전년동기(2448억원) 대비 3.9% 늘었다.



△3분기 매출액 상위 10대 기업


 

3분기 화장품사 매출액 기준 1위는 LG생활건강이 1조 7462억원으로 선두자리를 지켰다. 그러나 전년동기 대비 6.6%, 전기대비 3.4% 각각 역성장했다. 2위는 아모레퍼시픽그룹으로 매출액은 9633억원이다. 전년동기 대비 5.7%, 전기대비 6.6% 각각 감소했다. 3위는 한국콜마로 516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동기보다는 9.1% 증가했으나 전기보다는 13.9% 감소했다.
4위는 코스맥스(4583억원), 5위는 애경산업(1739억원)이 차지했다.
6~10위는 콜마비앤에이치 1394억원, 에이피알 1219억원, 코스메카코리아 1164억원, 미원상사 1058억원, 실리콘투 1010억원 순이었다.  화장품 관련 69개사 상반기 평균 매출은 851억원이다. 

△3분기 전기대비 매출 증가 상위 10대 기업

 

2분기 대비 매출 증가율 TOP 10 기업은 스킨앤스킨(39.7%), 디와이디(38.5%), 컬러레이(38.3%), 글로본(33.7%), TS트릴리온(33.2%), 실리콘투(29.1%), 코리아코스팩(20.0%), 메디톡스(13.3%), 브이티(12.6%), 셀트리온스킨큐어(10.6%)다. 기업 평균 매출은 2분기 대비 5.1% 역성장했다. 

매출 증가율 상위 5개사의 내역을 살펴보면 스킨앤스킨은 화장품 제조 부문이 21억원 증가하고 패션커머스 부문이 4억원 감소한 결과 전기대비 19억원 증가했다. 디와이디는 H&B스토어와 온라인에서 매출이 17억원, 3억원 각각 증가하면서 22억원 늘었다. 컬러레이는 내수매출이 41억원 증가했다. 글로본은 화장품 부문은 27억원 증가했으나 수소플랜트부문 매출이 10억원 감소하면서 전기비 17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TS트릴리온은 국내 매출은 28억원 증가했으나 해외 매출이 2억원 감소하면 전기 대비 26억원 증가했다.

△3분기 전년동기 대비 증가율 상위 10대 기업



2022년 3분기 매출액 대비 증가율  1위는 제이준코스메틱으로 199.3% 증가했다. 국내 매출이 25억원, 해외매출이 3억원 증가하면서 전년비 28억원 성장했다. 2위는 실리콘투로 기업고객 397억원, 풀필먼트 146억원이 증가하면서 전년비 119.0%( 548억원) 늘었다.  3위는 아이패밀리에스씨로 77.2% 증가했다. 국내 매출이 134억원, 해외 매출이 28억원 각각 증가해 전년대비 162억원 늘었다.
4위는 브이티로 화장품 부문 매출이 193억원, 엔터테인먼트 부문 매출이 105억원 증가하면서 전년보다 57.0%(306억원) 증가했다. 5위는  청담글로벌로 50.5% 성장했다. 화장품유통부문 매출이 217억원 증가했으나 기능성화장품 제조판매 부문 매출이 17억원 감소하면서 전년비 200억원 증가했다.
6~10위는  씨앤씨인터내셔널(49.2%), 뷰티스킨(48.2%), 클래시스(45.0%), 코디(40.4%), 한국화장품(38.9%)으로 나타났다.  기업평균 증가율은 3.9%다.

 △1~3분기 누적 매출 상위 10대 기업


1~3분기 누적 매출액 기준 1위는 LG생활건강이 5조2376억원으로 1위다. 전년동기 대비 2.6% 역성장했다. 2위는 아모레퍼시픽그룹 3조33억원으로 역시 전년동기 대비 9.3% 감소했다. 3위는 한국콜마로 1조603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동기보다 15.7% 증가했다. 
4위는 코스맥스(1조3408억원), 5위는 애경산업(4931억원)이 차지했다.
6~10위는 콜마비앤에이치(4339억원), 에이피알(3718억원), 코스메카코리아(3480억원), 미원상사(3150억원), 클리오(2409억원) 순이었다.  화장품 관련 69개사 1~3분기 누적 평균 매출은 2544억원이다. 

 △1~3분기 누적 전년동기 대비 매출증가율 상위 10대 기업
전년동기 대비 1~3분기 누적 매출 증가율이 가장 큰 기업은 제이준코스메틱으로 122.7% 증가했다. 국내 55억원, 해외 8억원의 매출이 증가하면서 전년비 63억원의 매출이 늘었다.
2위는 실리콘투로 99.9% 증가했다. 기업고객 894억원, 풀필먼트 315억원 각각 늘어나면서 전년비 1185억원이 증가했다. 3위는 씨앤씨인터내셔널로 70.6%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국내 286억원, 아시아 지역 54억원, 유럽 북미 등 지역 319억원 등 전 지역에서 매출이 고루 증가하면서 전년비 650억원 늘었다.
4위는 디와이디로 68.9% 늘었다.  H&B스토어와 온라인에서 매출이 47억원, 32억원 늘어나면서 전년대비 81억원 증가했다.  5위는 아이패밀리에스씨로 63.8% 증가했다. 국내 매출이 326억원, 해외 매출이 89억원 각각 증가해 전년대비 416억원 늘었다. 

6~10위는 원텍(49.2%), 코디(48.9%), 씨티케티(42.0%), 에이피알(37.9%), 엔에프씨(36.6%) 순이다. 평균 증가율은 전년동기 대비 3.9%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건선 치료 핵심, '면역 조절 정확성'… IL-17A·17F 동시 억제가 새로운 표준 될 것”
“LDL-C는 가능한 낮게, 가능한 빠르게…심혈관질환 예방 핵심”
[첨생법 날개달다] 차바이오텍 “준비는 끝났다…이제 세계 무대서 승부할 것”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화장품사 2023년 3분기 평균 매출 851억, 전년비 3.9%↑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화장품사 2023년 3분기 평균 매출 851억, 전년비 3.9%↑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