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챔프시럽, 콜대원 등 어린이 시럽 해열제가 빠르면 이 달 중순부터 생산에 들어갈 전망이다. 이로써 어린이 해열제에 대한 부족현상이 해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출입 전문 기자단 취재에 따르면, 식약처가 챔프시럽 콜대원 등 파우치 포장에 대한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판단함에 따라 곧 생산, 판매가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식약처 관계자는 “챔프시럽, 콜대원키즈펜시럽 회수가 종료됐고, 원인 조사 결과와 제제개선 입증자료도 최종 제출됐다”면서 “신속히 검토를 마무리해 판매가 재개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식약처는 앞서 동아제약의 챔프시럽에선 갈변현상이, 대원제약의 콜대원키즈펜시럽에선 상분리 현상이 나타남에 따라 각 제품에 대한 제조・판매 중지를 내렸다.
이후 부족해진 어린이 해열제 공급을 위해 의약 전문가와 소비자들에게 관련 제품의 대체 품목을 안내하는 한편, 해당 업체들에게 회수 조치 및 원인 조사 및 향후 품질 개선 계획 제출 등을 요구했다.
식약처는 챔프시럽, 콜대원 두 제품에서 모두 문제가 제기된 파우치 포장에 대해선 별도의 조취를 취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최근 발생한 시럽제 품질 문제는 파우치 포장 제품 전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업체별 품질관리, 공정관리에서 발생한 사건”이라며 “품목별로 발생 원인을 면밀히 파악해 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제제 개선을 통해 품질이 확보된 제품이 유통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식약처는 조치 경과 등을 토대로 필요에 따라 가이드라인 마련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제약 업계는 이번 식약처 조치에 대해 앞서 자료 제출이 완료된 2개 품목 모두 빠르면 이달 중에 생산 재개가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는 데다 환절기를 앞두고 있어 식약처에서 빠른 검토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인기기사 | 더보기 + |
| 1 |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 “한국 최초 빅파마 지분 투자, 전례 없는 도약 신호” |
| 2 | 파주시 '바이오클러스터' 도전…성공 조건 ‘병원·데이터·인재·인센티브’ |
| 3 | 한국비엔씨 "비만치료 후보물질, 체중감소 효과 위고비 '우위' 확인" |
| 4 | 부광약품, 3Q 누적매출 1382억 원…전년比 21.3%↑ |
| 5 | [약업분석] SK바이오사이언스, CDMO 깜짝…누적매출 전년比 3392억원 증가 |
| 6 | 안국약품,디메디코리아 인수 계약,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성장형 M&A 모델 제시 |
| 7 | 대한약사회, 의협 총력투쟁 속 성분명 처방 ‘정책 본질 알리기’ 집중 |
| 8 | 실리콘투는 레드카펫, "K-뷰티 브랜드는 그 위를 걸으라!" |
| 9 | “건선 치료 핵심, '면역 조절 정확성'… IL-17A·17F 동시 억제가 새로운 표준 될 것” |
| 10 | 코아스템켐온 "뉴로나타-알, 식약처 보완서류 제출 완료" |
| 인터뷰 | 더보기 + |
| PEOPLE | 더보기 +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챔프시럽, 콜대원 등 어린이 시럽 해열제가 빠르면 이 달 중순부터 생산에 들어갈 전망이다. 이로써 어린이 해열제에 대한 부족현상이 해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출입 전문 기자단 취재에 따르면, 식약처가 챔프시럽 콜대원 등 파우치 포장에 대한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판단함에 따라 곧 생산, 판매가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식약처 관계자는 “챔프시럽, 콜대원키즈펜시럽 회수가 종료됐고, 원인 조사 결과와 제제개선 입증자료도 최종 제출됐다”면서 “신속히 검토를 마무리해 판매가 재개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식약처는 앞서 동아제약의 챔프시럽에선 갈변현상이, 대원제약의 콜대원키즈펜시럽에선 상분리 현상이 나타남에 따라 각 제품에 대한 제조・판매 중지를 내렸다.
이후 부족해진 어린이 해열제 공급을 위해 의약 전문가와 소비자들에게 관련 제품의 대체 품목을 안내하는 한편, 해당 업체들에게 회수 조치 및 원인 조사 및 향후 품질 개선 계획 제출 등을 요구했다.
식약처는 챔프시럽, 콜대원 두 제품에서 모두 문제가 제기된 파우치 포장에 대해선 별도의 조취를 취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최근 발생한 시럽제 품질 문제는 파우치 포장 제품 전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업체별 품질관리, 공정관리에서 발생한 사건”이라며 “품목별로 발생 원인을 면밀히 파악해 이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제제 개선을 통해 품질이 확보된 제품이 유통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식약처는 조치 경과 등을 토대로 필요에 따라 가이드라인 마련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제약 업계는 이번 식약처 조치에 대해 앞서 자료 제출이 완료된 2개 품목 모두 빠르면 이달 중에 생산 재개가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는 데다 환절기를 앞두고 있어 식약처에서 빠른 검토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