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조사공문 사칭 '해킹메일' 피해 주의
첨부된 '전자상거래 위반행위 조사통지서' 열람 시 랜섬웨어 감염
입력 2020.01.08 10:02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연말연시 유포되고 있는 '전자상거래 위반행위 조사통지서(0000.00.00)'라는 제목의 해킹메일을 열람하지 말고 바로 삭제할 것을 당부했다.

공정위 조사공문 사칭 해킹메일 사본
해킹메일은 '전자상거래 위반행위 조사통지서'라는 제목으로 발송자는 가상의 인물과 조사통지 날짜 등을 변경해 가며 조사통지 공문인 것처럼 가장하고 있다.

공정위 사칭메일에 현혹되어 메일의 첨부파일을 열람하게 되면 랜섬웨어에 감염돼 금전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공정위는 법위반행위 조사와 관련된 조사공문을 이메일로 발송하지 않으며, 조사현장에서 공무원증 제시와 함께 서면으로 전달한다.

이메일 등 온라인상으로는 '전자상거래 위반행위 조사통지서' 등의 조사공문을 통지하지 않고 있어, 유사한 메일 수신시에는 열람하지 말고 삭제해야 안전하다.

공정위 등 정부기관 사칭 메일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경찰청 사이버안전국(국번없이 182)에 신고하거나 한국인터넷진흥원 침해대응센터(국번없이 118)에 상담 등 문의할 수 있다.

해킹메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평소 컴퓨터 백신프로그램 등을 설치하여 점검하고 발송자의 메일주소가 정부기관이 사용하는 공직자용 메일주소인지도 주의깊게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손영래 의료개혁추진단장 "현장 소통으로 정책 의제 발굴"
“건선 치료 핵심, '면역 조절 정확성'… IL-17A·17F 동시 억제가 새로운 표준 될 것”
[인터뷰] 장미 유래 엑소좀으로 글로벌 공략 나선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정책]공정위 조사공문 사칭 '해킹메일' 피해 주의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정책]공정위 조사공문 사칭 '해킹메일' 피해 주의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