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환자의 치료기회를 확대하고 우수한 제제기술을 이용하여 의약품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팜 나비 (PHARM NAVI) 사업’을 착수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범정부 차원의 신약 연구·개발(R&D) 투자가 의약품 개발로 신속하게 연계될 수 있도록 제약기업의 시행착오가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지 않도록 제도적, 기술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마련하였다.
주요 내용은 △신약 품목별 밀착상담 △개량신약 등 품목 군별 특성화 지원단 운영 △신약 R&D 연구자와의 소통채널 다각화 등이다.
우선, ‘품목별 밀착상담’은 안전평가원 심사자 2인을 ‘제품화 내비게이터’로 지정하여 의약품 개발 중 실시간으로 허가에 대해 상의할 수 있는 대화창구 역할을 제공하며, 벤처기업, 제약업에 신규로 진출하는 기업을 지원대상으로 한다.
혁신형 제약기업이 심사자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 및 개발 중인 의약품의 개발 계획 및 진척도 등을 설명하는 자리인 ‘파이프라인 품목설명회’개최를 정례화한다.
또한, ‘개량신약 특성화 지원단’은 국내 제약기업과 학계가 보유한 제제기술을 개량신약 개발로 연결시키기 위해 개발자를 대상으로 기술적 지원을 제공한다.
‘신약 R&D 연구자와의 소통채널 다각화’를 통해 신약의 허가, 임상시험 등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연구자와의 소통도 강화한다.
한편 안전평가원은 팜 나비사업을 적극 안내하기 위하여 오는 17일 서울시 영등포구 소재 그랜드컨벤션센터에서 ‘의약품 제품화 및 글로벌 진출지원(팜 나비(PHARM NAVI) 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
설명회에서는 △의약품 제품화 및 글로벌 진출지원 △의약품 품질심사 선진화 계획 제네릭의약품 심사 및 개발지원 방향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참가비는 무료이며, 한국제약협회 홈페이지(www.kpma.or.kr)를 통해 사전 접수할 수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글로벌 제약사 구조조정 도미노…노보 노디스크도 인사 태풍 직면 |
2 | K-뷰티 위상 더 올라갔다… 해외 인식도 조사 첫 1위 |
3 | “2033년 건보 적자 30~40조…보험료율 인상·급여비 효율화 불가피” |
4 | 2분기 아모레G 웃고 LG생건 울어…중국 실적이 성패 좌우 |
5 | 유럽연합, 식품 금지 부형제 ‘TiO2’ 의약품은 사용 결정 |
6 | "임상 분석부터 전략·사업까지" 휴사이언스-디자인바이제이, 전략적 MOU 체결 |
7 | 클래시스, 2분기 매출 833억·영업이익 430억…6개 분기 연속 최대 실적 |
8 | 네오이뮨텍, 'CAR-T 병용 NT-I7 투여 임상' FDA IND 승인 |
9 | [인터뷰] 복합발효로 차별화… 락토셀 '유산균' 화장품 |
10 | 지아이바이옴, ‘지아이롱제비티’ 새출발..항노화 바이오 시장 정조준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환자의 치료기회를 확대하고 우수한 제제기술을 이용하여 의약품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팜 나비 (PHARM NAVI) 사업’을 착수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범정부 차원의 신약 연구·개발(R&D) 투자가 의약품 개발로 신속하게 연계될 수 있도록 제약기업의 시행착오가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지 않도록 제도적, 기술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마련하였다.
주요 내용은 △신약 품목별 밀착상담 △개량신약 등 품목 군별 특성화 지원단 운영 △신약 R&D 연구자와의 소통채널 다각화 등이다.
우선, ‘품목별 밀착상담’은 안전평가원 심사자 2인을 ‘제품화 내비게이터’로 지정하여 의약품 개발 중 실시간으로 허가에 대해 상의할 수 있는 대화창구 역할을 제공하며, 벤처기업, 제약업에 신규로 진출하는 기업을 지원대상으로 한다.
혁신형 제약기업이 심사자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 및 개발 중인 의약품의 개발 계획 및 진척도 등을 설명하는 자리인 ‘파이프라인 품목설명회’개최를 정례화한다.
또한, ‘개량신약 특성화 지원단’은 국내 제약기업과 학계가 보유한 제제기술을 개량신약 개발로 연결시키기 위해 개발자를 대상으로 기술적 지원을 제공한다.
‘신약 R&D 연구자와의 소통채널 다각화’를 통해 신약의 허가, 임상시험 등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연구자와의 소통도 강화한다.
한편 안전평가원은 팜 나비사업을 적극 안내하기 위하여 오는 17일 서울시 영등포구 소재 그랜드컨벤션센터에서 ‘의약품 제품화 및 글로벌 진출지원(팜 나비(PHARM NAVI) 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
설명회에서는 △의약품 제품화 및 글로벌 진출지원 △의약품 품질심사 선진화 계획 제네릭의약품 심사 및 개발지원 방향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참가비는 무료이며, 한국제약협회 홈페이지(www.kpma.or.kr)를 통해 사전 접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