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정책
산업
제약·바이오
유통
뷰티
건강기능식품
의료기기
병원·의료
약사·약학
글로벌
웰에이징
특집
신문지면보기
화장품신문
의약정보
뉴스레터 신청
구독신청
뉴스
전체기사
정책
산업
제약·바이오
유통
뷰티
건강기능식품
의료기기
병원 · 의료
약사 · 약학
글로벌
웰에이징
인터뷰
PEOPLE
특집 · 이슈기획
특집
이슈기획
팜플러스
오피니언
컬쳐 · 클래시그널
Yakup-specials
DI 의약정보
올바른 약 이야기
올바른 건강기능식품 활용가이드
신제품소개
포토
그땐 그랬지
서비스
북몰 · 컨텐츠몰
뉴스레터 신청
구독신청
마이페이지
스크랩 관리
구독정보
e-mail 문의
회사소개
회사개요
연혁
조직도
Contact us
광고제휴문의
회원서비스
실시간 인기검색어
#
녹십자
#
hlb
#
SK
검색어:
‘’
(으)로 검색된 결과입니다.
뉴스
대웅제약, 우루사 최신지견 3판 발간
대웅제약은 우루사 주요 성분 UDCA(우르소데옥시콜산)와 관련된 전 세계 임상 자료와 논문을 종합한 ‘우루사 최신지견’ 세 번째 개정판을 발간했다고 17...
2025-01-17 09:11
클래시스, JP모건 헬스케어서 글로벌 ‘빅마켓’ 진출 발표
에스테틱 전문기업 ㈜클래시스( 대표이사 백승한)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2025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 참석해 향후 해외 진출 계획을 발표했다...
2025-01-17 09:10
LG생활건강, ‘SAFE 올인원 타블렛’ 주방세제 출시
LG생활건강의 프리미엄 주방세제 브랜드 SAFE(세이프)에서 온 가족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순한 성분과 강한 세척력을 자랑하는 ‘SAFE 올인원 타블렛’ 세...
2025-01-17 09:07
레이저옵텍,"연구소-생산 시설 분리 확장 중장기 성장 도모"
피부 미용 및 질환 치료용 레이저 기기 전문 기업 레이저옵텍(주홍, 이창진 각자대표)이 신사옥으로 거처를 옮기고 16일 2025 사업 비전을 발표했다.레이저옵...
2025-01-17 09:03
휴젤, JPMHC서 글로벌 초일류 기업 도약 비전 제시
에바 황 CFO가 ‘2025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APAC 트랙에서 발표하고 있다. ©휴젤휴젤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2025 JP모건 헬스케어 콘퍼...
2025-01-17 09:01
동성제약, 마늘 및 뽕잎 복합발효물 특허 취득
동성제약(대표이사 나원균)은 마늘 및 뽕잎 복합 발효물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화에 대한 국내 특허를 취득했다고 17일 밝혔다.이번 특허는 동성제약을 비롯해...
2025-01-17 08:53
에이비온, JP모건 콘퍼런스서 기술수출 논의.."글로벌 빅파마 관심 집중"
에이비온은 지난 13일부터 16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글로벌 제약사와 파이프라인 기술수출(LO)을 논의...
2025-01-17 08:24
동국생명과학, 20일부터 수요 예측 … 2월 중 코스닥 상장 예정
조영제 제조 전문 기업 동국생명과학(대표이사 박재원)은 오는 20일부터 24일까지 5일 간 국내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한다고 17일 밝혔다....
2025-01-17 08:20
바이오비쥬,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통과
청담글로벌 자회사인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기업 ㈜바이오비쥬(대표이사 양준호)가 16일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바이오비쥬...
2025-01-17 08:14
브릿지바이오,“폐섬유증 치료제 BBT-877 글로벌 사업개발 협의 진전”
혁신신약 연구개발 전문 기업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현지시간 지난 13일부터 나흘 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제43회 JP모건 헬...
2025-01-17 08:05
롯데바이오로직스, 차세대 ADC 플랫폼 ‘SoluFlex Link' 첫 공개
롯데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제임스 박)가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 '아시아태평양(APAC)' 트랙 발표 기업으로 참가해 16일 뉴욕 시러큐스 ...
2025-01-17 07:57
[인터뷰] 한때는 약사, 이제는 굿파트너
인터뷰 중인 조미현 변호사. ©약업닷컴“부부는 도대체 뭘까요?”지난해 큰 인기를 끌었던 이혼 소재 휴먼 법정 오피스 드라마 굿파트너에서 한유리(남지현)는 ...
2025-01-17 06:00
오리플레임, 폴로네이즈 독주곡은 이제 그만..
독주곡에서 협주곡으로?스웨덴 화장품기업 ‘오리플레임’(Oriflame)이 자사제품들에 대한 새로운 전략적 제조전략을 지난 9일 공개했다.현재까지 폴란드...
2025-01-17 06:00
인공지능 뺀 화장품 쇼핑은 장님 코끼리 만지기?
산타클로스가 순록(reindeer: 사슴이 아님)의 도움을 받았다면 소비자들은 지난 홀리데이 시즌 동안 인공지능(AI)의 도움 덕분에 부담 적고 스트레스 ...
2025-01-17 06:00
韓 ‘소아약제‧서방형 제제’ 中서 통한다…“쓴맛 완화‧복합 제형기술 경쟁력”
2023년 글로벌 의약품 시장에서 중국 시장의 비중. ©한국보건산업진흥원국내 제약사의 소아용 약제와 취약계층을 위한 복합 제형 등이 글로벌 의약품 시장 중...
2025-01-17 06:00
더보기
1
2
3
4
5
6
7
8
9
10
인기기사
더보기 +
1
글로벌 바이오헬스 시가총액, 삼성바이오로직스 11위·셀트리온 20위
2
유통업계, 물류대전 심화된다
3
‘무한한 요구와 유한한 자원’…저출산·고령화 해법은?
인터뷰
더보기 +
팜듀홀딩스, '연대' 통한 지속성장과 새로운 약국경영모델 제시
[인터뷰] 한때는 약사, 이제는 굿파트너
남들보다 작은 우리 아이, 성장호르몬 치료 괜찮을까?
PEOPLE
더보기 +
부음
종근당건강 김호곤 대표이사 모친
부음
성남시약사회 한동원 총회의장 모친상
인사
보건복지부 과장급
인사
보건복지부 국장급 승진 및 파견
팜플러스
오피니언
더보기 +
더보기 +
신재규 교수의 'From San Francisco'
정재훈의 알아두면 쓸데있는 신비한 약이야기
심창구 교수의 약창춘추
[사설] 시간끌기식 미봉책보다 완전...
[사설] 신년사를 통해 살펴본 2025년...
[사설] 을사년 새해 출사표는 던져졌다.
[사설] 호재와 악재로 점철된 갑진년...
[사설] 권영희 대한약사회장 당선인...
컬쳐/클래시그널
더보기 +
윤성은의 뮤직 in CINEMA
국악 Prologue!
최윤영의 뮤지컬 오버뷰 (Musical Over:view)
[]
韓 ‘소아약제‧서방형 제제’ 中서 통한다…“쓴맛 완화‧복합 제형기술 경쟁력”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위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 합니다.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직접입력
naver.com
chol.com
dreamwiz.com
gmail.com
hanmail.net
hanmir.com
hotmail.com
korea.com
lycos.co.kr
nate.com
yahoo.com
취소
보내기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
韓 ‘소아약제‧서방형 제제’ 中서 통한다…“쓴맛 완화‧복합 제형기술 경쟁력”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취소
스크랩하기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韓 ‘소아약제‧서방형 제제’ 中서 통한다…“쓴맛 완화‧복합 제형기술 경쟁력”
중국, 바이러스성 간염·항종양, 희귀질환 관련 연구개발 강화…노인질환·어린이 전문의약품 관심 고조
이주영 기자
입력 2025-01-17 06:00
수정
2023년 글로벌 의약품 시장에서 중국 시장의 비중. ©한국보건산업진흥원국내 제약사의 소아용 약제와 취약계층을 위한 복합 제형 등이 글로벌 의약품 시장 중 두 번째로 큰 중국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주요 요인으로 파악됐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16일 발간한 ‘중국 제약산업 현황 및 중국 진출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 제약기업의 경쟁력을 분석했다.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은 건강의료 분야에서 AI의료, 세포‧유전자 치료제, 바이오의약품, 중의약의 재조명이 4대 이슈가 됐고, 코로나19 의약품 수요는 감소한 반면 신약 연구개발 투자가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해당 년도의 제약산업 규모는 약 1조3000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5.2% 감소했고,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 영업수익도 전년대비 4% 감소했다. 이윤은 4127억2000만 위안으로 16.2% 감소해 3개 지표에서 모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제약산업이 전반적으로 위축되고 기업 이윤이 감소하면서 전년대비 적자 기업 수도 증가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2020~2022년 의약품과 의료기기 판매량이 대폭 증가한 점을 감안해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 보면 2023년 제약기업의 영업수익과 이윤은 각각 13%, 19.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의약품 소비 현황의 경우, 중국은 글로벌 의약품 시장에서 7.0%를 차지하는 2대 시장으로 글로벌 의약품 시장에서 상위 10개국이 전체 의약품 시장의 74.1%를 차지하는 가운데 미국이 44.4%로 비중이 가장 높다.중국 상장 제약기업의 2023년 신약개발 투자 규모는 1192억 위안을 기록했고, 같은 해 국가의약품심사평가센터(CDE) 신약 임상시험 신청 건수는 1241건으로 전년대비 31.7% 증가했다.이런 가운데 한국 제약기업은 시장 수요 측면에서 소아용 의약품과 새로운 제형의 의약품, 미용 관련 의약품에서 경쟁력을 지닌다는 것. 중국 정부가 바이러스성 간염과 항종양, 희귀질환과 관련한 연구개발을 강화하는 한편, 노인 질환 의약품과 어린이 전문 의약품에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인구당 병상 수가 크게 부족하고, 특히 노인과 어린이 등 병원 접근성이 낮은 취약계층을 위한 정부 지원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가속화되는 고령화도 노인 질환 치료제의 수요가 증가하는 주된 요인이라는 분석이다. 경구용 및 부착형 치료제 등 거동이 불편하거나 기억력이 저하되는 노인이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제형의 의약품 수요도 존재한다.소아용 의약품 수요는 여전히 많다. 한국‧일본의 소아 전문 의약품은 아이들이 선호하는 향‧맛으로 조제하고 포장도 아이들에게 친근한 캐릭터 등을 사용하는 반면, 중국은 중의약으로 된 소아용 의약품이 많아 어린이가 섭취하기 힘들어 하고, 소아전문병원에서 일반 성인 의약품 섭취량을 조절해 아동에게 처방을 내리는 경우가 많아서다.보고서는 한국의 소아용 의약품이 진출할 수 있는 이점이 많다고 분석했다. 국내 제약사는 쓴맛을 완화한 아동용 서방형 제제나 노인, 만성질환 환자 등 장기간 약을 복용하거나 다량의 약을 복용해야 하는 취약계층을 위한 복합 제형 등 기술 분야에서 경쟁력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소아용 의약품의 중국 내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이 힘든 점은 단점으로 꼽았다.반대로 혁신의약 분야는 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 기업과 협력을 원하는 한국 기업 중 자사 제품의 가치를 너무 높게 잡아 협상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 제약산업의 규제정책 정보가 미흡해 시판 허가 취득을 위한 서류 보완 등에 많은 시일이 소요되거나, 시판 허가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해 의약품 진출 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있어서다.그러면서도 고령화에 따른 의약품 수요 증가와 혁신 의약품 연구개발 지원 등은 기회 요인으로 꼽혔다. 중국 의약품 규제 당국은 의약품 인허가 절차 간소화 시범 시행, 혁신약, 희귀성 질환 치료제 등을 대상으로 가속 심사 정책, 임상에 시급히 필요한 의약품의 수입 간소화 등 다양한 지원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외국기업에 인체 조직세포, 유전자치료제의 시범적 대외 개방, 외국인 독자 병원 설립이 이뤄지면서 외국기업의 시장 진출 기회도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취소
인쇄하기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