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식욕부진이 장기화되면 신체 영양보충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쇠약증상과 면역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식욕부진이 장기화되면 특히 단백질을 보충하고 필요한 최소 칼로리를 얻기 위한 음식 보충이 필요하다.
또 한 번에 많이 먹으려 하기 보다는 조금씩 자주 먹는 식사법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키도록 한다.
쇠약증 동반하는 식욕부진
식욕부진은 그 자체로 심각한 증상이라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식욕부진이 장기화되면 신체 영양보충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쇠약증상과 면역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식욕부진은 좋지 못한 생활습관 및 기타 질환의 증상으로 나타난다.
보통 우울증, 스트레스, 외상 등 정서적 요인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외에는 흡연, 알코올, 약물사용 등 때문에 식욕부진이 나타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