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7월을 기준으로 스마트폰 보급률이 73%에 이르고 있다.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수는 이미 3,300만명을 돌파하고 있는데 이는 경제활동 인구인 2,600만명 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이제 어지간한 사람이면 전부 스마트폰을 활용하고 있다고 봐야한다.
이처럼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기능식품 마케팅 영역에서도 새로운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양질의 컨텐츠, 즉 건강정보가 마케팅의 선봉으로 올라서고 있는 것.
언제 어디에서나 스마트폰을 통해 즉시 정보를 검색하는 세상이 되면서 만족할만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브랜드들이 소비자들의 신뢰와 호감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스마트폰 시대의 기능식품 마케팅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스마트폰이 그렇게 대단한가?
2013년 7월을 기준으로 스마트폰 보급률은 73%에 이르고 있으며, 이 중 82%는 매일 정보검색에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
네이버가 발표한 자료를 보면 모바일 검색량이 매월 22%씩 성장할 정도로 엄청난 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또 TV, 라디오, 신문 등 10대 매체의 평균 시간 점유율을 봐도 스마트폰의 위력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스마트폰(모바일 인터넷)의 일평균 시간 점유율은 73.2분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지상파TV(157.4분), 케이블TV(92.2분), 인터넷(95.9분)에 이은 4위 수준이다.
최근 들어 방송 VOD서비스나 다시보기 기능을 스마트폰으로 활용할 수 있게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스마트폰이 어디까지 치고 올라갈 수 있을지 쉽게 짐작이 가능하다.
전반적인 성장세 속 부분적 변화 예상 2021년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수년간 이어진 성장세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성장률 자체는 정체되거나 다소 줄어들 가능성도 있다. 일반식품에 기능성 표시를 허용하는 식품 기능성 표시제는 성장률을 다소 낮추는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또 온라인 유통의 지배력이 더욱 확대되...
2021-01-06 09:00 | 기능식품 | 2,000원
Headline News- 코로나19 약물 심사 40일로 단축…업계 개발 속도↑- 제46회 약국경영대상 온라인공모 영예의 대상약국 3곳 선정- [사설] 팬데믹 이후를 대비하는 약업계의 새해 맞이- 식약처, 생물학적 제제 등 보관·수송 관리 강화- 외국 의약품집 품목 자료 제출 의무화 등 개정 행정예고- 대한약사회, 경찰청과 사회적 약자 보호·지원체계 강화 업무협약- 약...
2021-01-06 09:00 | 지면 PDF | 2,000원
Headline News- 코로나19 백신, '지적재산권' 의견 갈등 '고조'- [사설] 백신 신뢰 여론 주도층이 앞장서야 한다- 위탁생동 제조소 변경 '자사'만 가능…업계 "수급 우려"- 김대업 회장, 김강립 식약처장에 장기품절약 대책 등 건의- 약사회 사이버연수원, 온라인 연수교육 종료- 한국병원약사회, 12월 29일 새 회관 개관식Biz & Pharma- 한국비엔씨, 1300만...
2020-12-23 09:00 | 지면 PDF | 2,000원
Headline News- '젤리형 의약품'·'신약 수입서류 간소화' 규제 혁신- 체외진단의료기기 '모델명' 즉시 변경 가능해진다- [사설] 믿고 안시말 수 있는 백신 접종 중요하다- 식약처, 개별인정형 원료 규제 개선…공정 등 문제 해소- '코로나 마스크 등 매점매석 처벌 강화법' 국회 통과- 대약, 이낙연 대표에 공공심야약국 지원책 등 요청- 약업계 긴급구호 네트워...
2020-12-16 09:00 | 지면 PDF | 2,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