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기능식품법 개정 행정예고 앞으로는 개별인정을 받은 품목들의 경우도 이를 활용해 파생원료를 생산할 수 있게 됐다. 식약처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건강기능식품법 일부 개정고시안을 행정예고했다. 이번 행정예고의 주요 골자는 개별인정 품목의 파생원료 생산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선하는 방안 외에 칼슘과 마그네슘의 원료...
2020-12-09 09:00 | 기능식품 | 2,000원
규제완화 기조, 장 건강 대세론이 시장 이끌어 “미래에 대한 기대감이 더 컸다.” 전반적인 경기상황은 좋지 않았지만 건강기능식품 업계는 2019년을 기대감을 품게했던 한해로 기억한다. 건강기능식품 산업에 대한 규제완화 기조가 어느 때 보다 뚜렷했고, 장 건강 제품들을 중심으로 꾸준히 판매가 확대되며 시장 상황도 나쁘지 않았다는...
2019-12-26 09:00 | 기능식품 | 3,000원
전년대비 30% 이상 성장, 점유율도 12% 회복 한동안 고전을 면치 못하던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이 모처럼 기지개를 켰다. 식약처가 최근 발표한 2018년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에서 개별인정형 제품들은 약 3,226억의 매출을 합작하며 전년대비 30% 이상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백수오 사태 이후 소비자 불신과 식약처의 까다로운 관리...
2019-10-10 09:00 | 지면 PDF | 3,000원
개별인정 원료 10여개 등재, 일본은 이미 여름철 주류 자외선 지수가 높아지는 계절로 진입하면서 관련 상품들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물론 아직까지는 선 블록 크림이나 피부 진정 컨셉의 화장품 등 주로 외용제를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는 상황. 그러나 피부건강 기능성을 표방하는 건강기능식품들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이제 자...
2019-06-19 09:00 | 지면 PDF |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