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활동 줄어들며 건강 우려 더욱 심해져
일본 기능식품 업체들의 차기 격전지는 액티브 시니어 시장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노령 인구가 많은 일본의 인구 구조 측면의 특징 이외에도 건강에 대한 관심도, 구매력 등을 종합해볼 때 액티브 시니어 시장만큼 매력적인 범주도 드물다는 것.
특히 코로나를 거치며 운동부족, 건...
상위 10대 품목 기능성, 시니어와 뷰티에 집중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시니어와 뷰티라는 두 가지 키워드로 정리되는 분위기다.
전체 개별인정형 기능식품 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10대 품목의 기능성을 살펴보면 이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0품목 중 대부분이 시니어, 혹은 미용과 관련한 기...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 14.3% ▲총부양비 37.4 ▲노령화 지수 110.5 ▲기대수명 82.4세.
2018년 현재 고령화된 대한민국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수치다.
통계청의 수치가 말해주 듯 현재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으며, 머지않아 초고령화 사회를 맞이할 것이 확실시 된다.
이러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기능식품시장...
뜨겁게 달구어진 콜라겐 시장의 인기가 식을 줄 모른다.
피부미용 소재로 인지도가 워낙 탄탄한데다가 최근에는 흡수력을 앞세운 저분자 콜라겐 이슈까지 더해지면서 시장이 잔뜩 달궈진 상태.
아직까지는 수입량이나 판매량 등에 대한 공식적인 수치가 집계된 것은 아니지만 피부로 느껴지는 열기가 상당하다는 것이 업계의 공통된 시각이다...
최근 일본은 스포츠 뉴트리션 시장이 성장세다.
건강을 위해 운동하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운동 시 영양보급, 운동 후의 피로회복 등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것.
가장 큰 수혜를 보는 분야는 아미노산이다. 운동뿐만 아니라 로코모티브 신드롬 및 살코페니아 등에도 효과적이어서 시니어용 제품에 아미노산 채용이 증가하는 추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