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에게 확인할 내용
1. 고령자
간기능, 신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부작용이 나타
나기 쉽다.
2. 소아, 임산부
안정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3. 알레르기력
발진등의 과민증상을 일으키는 일이 있다.
4. 금기
혈청크레아티닌치가 2.5㎎/㎗을 넘으면 신기능장애자는 배설이 지
연된다.
5. 병용약
항응고약의 작용증강, 또는 HMG-CoA환원효소저해제와의 병용에
의해 횡문근융해증이 나타나기 쉽다는 보고가 있다.
환자에게 설명할 내용
1. 약의 작용
고지혈증에서는 혈액중의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의 양이 많
다. 이 약물은 간장에서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의 합성을 억
제, 혈액중 농도를 저하시킨다.
2. 바른 사용법
서방정이므로 아침, 저녁 2회 복용한신기능장애환자는 급격한 신
기능의 악화를 동반하는 횡문근융해증이다.
3. 부작용
나타나는 일이 있다. 이때 근육통, 탈력감, CPK상승등이 보인다.
4. 복용을 잊은 경우
복용을 잊은 경우는 생각난 즉시 복용한다. 다만 다음 복용이 가
까운 경우에는 잊은 분량은 복용하지 않아도 좋다.
5. 다른 약제 또는 기호품과 상호작용
항응고약(와파린등)의 작용이 증강되므로 항응혈약의 양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HMG-CoA 환원효소저해제(심바스타틴, 프라바스타틴
나트륨등)과 병용에 의해 횡문근융해증이 나타나기 쉽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주의한다.
환자 모니터
1. 부작용 체크
근육통, 탈력감등이 나타난 경우는 즉시 복약을 중지하고 의사에
게 보고하도록 지도한다.
2. 컨플라이언스
고지혈증은 동맥경화를 일으키고 심근경색, 협심증등 허혈성심질
환의 원인이 되므로 치료약의 복용 필요성과 또 장기간 복용해야
한다는 것을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3. 혈중농도
200㎎을 단독 투여한 경우의 최고혈중농도는 4.5시간후에 3.5㎍/㎖
에 달하고 소실반감기는 3시간, 치료상 유효혈중농도는 0.3∼3.2㎍/
㎖이다.
약리작용
콜레스테롤 생합성억제, 트리글리세리드 생합성억제, 리포단백의
대사촉진, LDL 대사촉진작용이 있어 혈청지질개선효과를 나타낸다.
주요 시판제품
베자피롤정(일화), 베자스테롤정(하원), 베자립정(종근당), 데미아정
(명인), 베자립서방정(종근당)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