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플러스
정재훈의 알아두면 쓸데있는 신비한 약이야기
<165>블루존 다이어트의 진실
정재훈
입력 2024-11-11 09:24 수정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정재훈 약사.

블루존 다이어트가 흔들리고 있다. 관련 연구의 문제점을 지적한 런던 대학교의 사울 뉴먼 박사는 2024년 9월 12일 이그 노벨상을 수상했다. 이그 노벨상은 노벨상을 패러디한 것으로 웃기지만 사람들을 생각하도록 만드는 과학적 성과를 기리기 위해 만든 상이다. 뉴먼은 2019년 내놓은 출판 전 논문에서 백세인과 슈퍼백세인(110세 이상인 사람들)이 많은 지역들이 부실한 기록 관리로 인한 오류라고 지적했다.  

블루존(Blue Zone)이라는 용어는 2004년 학술지 실험 노인학(Experimental Gerontology)에 실린 논문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 논문은 이탈리아 사르디니아의 백세인들에 관한 것이었는데 연구자들은 특별히 장수하는 지역을 표시하기 위해 섬 지도의 일부를 파란색으로 표시했다. 블루존 사람들이 장수하는 것은 영양과 생활방식 때문일 수 있다는 것이 연구자들의 추측이었다.

이후 내셔널 지오그래픽 지에 실린 장수 연구자 댄 뷰트너의 특집 기사에서 장수 인구가 많은 세 지역(일본 오키나와, 캘리포니아 로마 린다, 사르디니아)를 빗대어 이 용어를 사용하면서 블루존은 더 유명해졌다. 블루존에 사는 사람들은 과일과 채소가 풍부한 식단, 충분한 신체 활동, 공동체를 우선시하는 경향과 같은 생활 습관 덕분에 90대와 100대까지도 활기차고 건강하게 살아간다는 이야기이다.

블루존은 단순하며 매력적이다. 하지만 듣기에 너무 좋은 이야기는 사실인지 의심해봐야 한다. 뉴먼은 2016년 학술지 네이처에 게재된 연구에서 장수 연구의 상당수가 기록상 오류에 의한 것이란 점을 지적한 바 있다. 2019년에 내놓은 출판 전 논문에서도 뉴먼은 같은 맥락의 주장을 이어갔다. 고령 인구가 많은 지역은 기록 관리가 부실한 지역일 뿐 실제로 장수 인구가 많은 곳은 아니라는 것이다.

뉴먼의 연구 결과, 빈곤한 지역에서 태어나 제때 출생신고를 하지 못한 노인이 실제로 자신의 나이를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 나이든 친족이 사망했지만 연금을 타기 위해 아무도 사망신고를 하지 않아서 사망한 사람이 호적상으로는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보인 경우도 흔했다. 블루존은 상상 속에서나 존재할 뿐 빈곤과 사기로 인해 만들어진 허구라는 이야기다.

아직 논란은 진행 중이다. 뉴먼의 연구가 이그 노벨상을 받기는 했지만 그의 논문은 아직 정식 출판되지 않았다. 장수 지역을 연구하는 다른 학자들은 최근 연구에서는 출생증명서와 사망증명서와 같은 서류 외에도 다른 여러 정보를 확인하므로 기록상의 오류를 바로 잡을 수 있다고 반론한다. 블루존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균형잡힌 식단, 충분한 신체 활동, 튼튼한 공동체가 사회 구성원이 더 오랫동안 건강하게 살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사람의 장수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실험이 아닌 관찰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 과학적으로 검증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 단순한 상관관계가 아닌 인과관계를 밝혀내기란 무척 어려운 일이다. 당뇨약 메트포르민이 수명 연장에 도움이 되는지 살펴보기 위한 임상시험이 이미 9년 전에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았지만 아직까지도 진행되지 않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블루존의 허구성을 지적하는 연구가 나온다고 해서 블루존의 인기가 쉬이 사그다들지는 않을 것 같다. 장수 마을의 허구성에 대한 논란은 오래 전에도 있었기 때문이다. 1960년 일본 교토대학 의료진이 히말라야의 훈자마을을 방문했다. 장수인구가 많다고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훈자마을 사람들을 진료한 결과, 그들 중 90퍼센트가 기생충을 갖고 있고, 상당수가 갑상선종, 결막염, 류머티즘을 앓고 있었으며, 다양한 감염성 질환으로 고생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훈자 마을하면 장수를 떠올리는 사람이 많다. 사실이든 아니든 우리는 원하는 것에 쉽게 끌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억하자. 어떤 섭식법을 따르더라도 질병의 위험에서 벗어난 완벽한 건강을 얻을 수는 없다. 인간은 불완전하다. 건강은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조건이지만 삶의 목표는 아니다. 더 중요한 일은 진실을 탐구하면서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것이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165>블루존 다이어트의 진실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165>블루존 다이어트의 진실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