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플러스
심창구 교수의 약창춘추
<316> 돌아오지 못한 탕자
편집부
입력 2021-02-03 15:49
수정
▲ 심창구 서울대 명예교수 성경 (누가복음 15:11-32)을 보면 ‘돌아 온 탕자(蕩子)’ 이야기가 나온다. 한 아버지에게 두 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착실한 형과 달리 동생은 아버지를 졸라 자기 몫의 유산을 미리 받아내 도시로 나가 창녀와 노는 등 방탕한 삶으로 재산을 탕진하고 마침내 거지와 다름없는 비참한 생활을 하기에 이른다.
마침내 동생은 그간의 행동을 회개하고 오랜 망설임 끝에 아버지 집으로 되돌아 온다. 그가 돌아오기만을 학수고대하던 아버지는 멀리서 터벅터벅 돌아오는 둘째 아들을 발견하자 버선발로 달려나가 왈칵 껴안으며 ‘잘 돌아왔다’고 따듯하게 맞이한다. 기쁨에 넘친 아버지는 작은 아들에게 새 옷을 입히고 송아지를 잡아 동네 사람들에게 잔치까지 베푼다.
그 때 종일토록 들에서의 일을 하던 큰 아들이 돌아 와 이 일을 보고 아버지에게 항의한다. 집에서 아버지를 도와 뼈빠지게 일만 한 나한테는 염소 한 마리 안 잡아주신 아버지가, 집 나가 재산을 탕진하고 돌아온 저 녀석한테는 뭐가 예쁘다고 잔치까지 베푸냐는 것이었다.
큰 아들의 불만을 들은 아버지는 “그 동안 너는 나하고 안전하게 지내지 않았느냐? 그리고 내가 가진 것이 다 네 것이 아니냐? 그런데 네 동생은 죽었다 살아 났으니 기뻐하는 것이 당연하지 않느냐?”며 큰 아들을 달랬다는 이야기이다.
세상 사람들이 보기에 큰 아들은 아버지를 도와 집안 일을 돌본 착실한 청년이다. 그런 큰 아들과, 아버지를 졸라 받아낸 재산을 도시에 나가 탕진한 작은 아들을 어찌 비교나 할 수 있겠는가? 그러니 동생을 환영하는 아버지가 서운한 큰 아들의 마음이 이해가 되고도 남는다. 요즘 같으면 아버지를 제치고 형이 먼저 나서 동생을 내쫓을지도 모르겠다.
이 ‘탕자의 비유’는 하나님은 사랑이시니, 하나님을 믿고 하나님 앞으로 나오라는 이야기일 것이다. 이야기 중에서 탕자였던 동생은 결국 아버지의 사랑 안으로 돌아 왔다. 그러나 정작 아버지와 같이 살았던 큰 아들은 아버지의 사랑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다. 큰 아들이 섭섭해 할만도 하다고 공감하는 나도 마찬가지이다. 그러고 보면 이야기 중의 큰 아들과 나는 아직도 ‘돌아오지 못한 탕자’라는 생각이 든다.
세상의 사람들이 다들 이야기 중의 큰 아들처럼 성실하게(?) 산다면 집안이나 세상에 별 문제는 생기지 않을 것이다. 그러면 우리 인생은 그 성실함만으로 충분한 것일까? 세상에는 돌아 온 탕자가 있고, 돌아온 탕자를 큰 기쁨으로 맞는 아버지가 있는가 하면, 돌아 온 탕자를 기쁨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돌아오지 못한 탕자’도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처럼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사는 세상이 결코 간단할 수 만은 없을 것이다.
이 지점에서 인터넷에서 본 이야기 하나가 생각난다. 학교 교장이자 두 아들을 둔 엄마가 있었다. 그는 교육자답게(?) 두 아들을 일류대학에 보내려고 심하게 들볶았다. 견디다 못한 두 아들은 더 이상 학교에 가라고 강요하면 자살하겠다고 엄마를 협박(?) 하였다. 그제서야 자신이 무모했음을 깨달은 엄마는 강요를 멈추고 응원만 했다. 그랬더니 아이들이 다시 훌륭하게 성장하여 일류 대학에 입학하였다. 기쁨에 넘친 엄마는 이 이야기를 책으로 발표하여 많은 사람들의 칭송을 받았다.
이 엄마는 말하자면 개과천선(改過遷善)한, 즉 돌아 온 탕자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돌아 온 탕자가 마치 대단한 일이나 한 것처럼 자랑을 하는 것은 좀 거북해 보인다. ‘돌아온 탕자’ 이야기에 나오는 작은 아들이 자랑할 것은 오직 아버지의 사랑이지 자신의 회개가 아니다. 회개는 천만다행한 일이지 결코 자랑하고 다닐 일이 아니라는 것이 인터넷에 글을 쓴 사람의 의견이었다.
남은 몰라도 나는 안다. 나는 기껏해야 돌아 온 탕자이거나, 아니면 아직도 돌아오지 못한 탕자에 불과하다. 그런 내게 하늘 아래 무슨 자랑거리가 있겠는가? 오늘도 돌아오기를 기다리시는 하나님 아버지의 사랑에 감읍할 따름이다. 새해 아침, 앞으로 더욱 감사하고 겸손하고 성실하게 살기를 다짐해 본다. 근하신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