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백성분과 화장품
멜라닌은 피부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한다고 알려져 있고 피부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피부가 햇빛을 받으면 표피 기저층에 있는 색소세포에서 티로시나제라는 효소의 작용으로부터 티로신으로부터 도파, 도파퀴논등의 중간물질을 거쳐 멜라닌이 형성된 다음 멜라틴 세포에 침착되며 마침내 피부의 각화와 박리를 통해 체외로 없어지게 된다.
기미, 주근깨 역시 자외선에 의해 멜라닌이 과량으로 생성되어 턴 오버 이상에 의해 색소가 침착 된 것이기 때문에 미백 성분은 멜라닌 생성억제 또는 이미 생성된 멜라닌의 환원 또는 제거로써 그 기능을 해야 한다.
피부에 있어 멜라닌 생성과 대사 구조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미백 성분의 작용대상으로는 멜라닌 세포의 멜라닌 생성억제, 기존 멜라닌의 환원, 피부 내 멜라닌 배출촉진, 멜라닌 세포에 대한 선택적 독성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미백 화장품은 기미, 주근깨를 예방, 경감하는 목적으로 예로부터 시판돼 오고 있다. 과거에는 하이드로퀴논을 많이 이용하였으나 피부 안전성 문제 때문에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주로 비타민C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비타민C는 아스코르빈산이라고도 하며 멜라닌 생성 억제를 목적으로 널리 쓰여 왔다. 이것은 환원작용에 의해 진한 산화형 멜라닌을 색이 옅은 담색 환원형 멜라닌으로 바꾸어 주며 여자안면 흑피증 등에 국소 투여한 결과 유효한 것이 확인되고 있다.
비타민C는 피부안전성이 우수하고 콜라겐합성 촉진능력도 있어 좋지만 그 자체가 불안정하여 산화되기 쉬우므로 비타민C인 산 마그네슘염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으나 효과가 경미하고 사용량에 한계가 있어 다소 제약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생약성분으로는 자유 추출물에 함유된 사포닌이 티로시나제 억제 작용을 하며 알로에베라의 에모딘 성분, 상백피에 페놀계 플라노이드, 당귀의 고린성분, 작약과 고산 추출물의 프라브노이드 성분이 각각 미백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라센타는 3∼4개월 된 소의 태반에서 추출한 것으로 여러 가지 생리활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피부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멜라닌 색소를 배출, 탈락시키는 작용으로 일반 화이트 화장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원료이다.
감초추출물 특히 러시아산 감초추출물에 많이 함유된 유용성분으로 글라브리딘이라는 물질이 있는데 이것은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미백 작용이 우수하며 피부 부작용도 없어 화장품용 미백 물질로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 미백 성분으로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성분으로는 알부틴과 코직산이 있다. 알부틴의 경우 산악지방에서 자생하는 월귤나무에 다량 존재하는 하이드로퀴논의 당유테로서 멜라닌 생성억제와 티로시나제 활성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세이도에서 알부틴 함유제품에 대하여 행한 조사에서는 B16마우스 흑색종 세포에 대한 실험결과 색소 생성억제 효과가 확인되었고 소비자 앙케이트 조사결과 어느 정도의 미백효과를 보았다고 대답한 사람이 82% 이상이었다 한다.
국내에서도 알부틴 3%을 사용한 L회사 W제품을 사용하고 미백효과를 보았다고 하는 소비자들이 많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는 95년 상반기생산 1백대 품목중 4위를 차지하는 것을 보아 이 제품의 미백효과가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최근에는 알부틴 5% 사용제품도 시중에 출시되고 있다.
<숙대향장미용학과 김주덕교수>
기미, 주근깨 역시 자외선에 의해 멜라닌이 과량으로 생성되어 턴 오버 이상에 의해 색소가 침착 된 것이기 때문에 미백 성분은 멜라닌 생성억제 또는 이미 생성된 멜라닌의 환원 또는 제거로써 그 기능을 해야 한다.
피부에 있어 멜라닌 생성과 대사 구조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미백 성분의 작용대상으로는 멜라닌 세포의 멜라닌 생성억제, 기존 멜라닌의 환원, 피부 내 멜라닌 배출촉진, 멜라닌 세포에 대한 선택적 독성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미백 화장품은 기미, 주근깨를 예방, 경감하는 목적으로 예로부터 시판돼 오고 있다. 과거에는 하이드로퀴논을 많이 이용하였으나 피부 안전성 문제 때문에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주로 비타민C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비타민C는 아스코르빈산이라고도 하며 멜라닌 생성 억제를 목적으로 널리 쓰여 왔다. 이것은 환원작용에 의해 진한 산화형 멜라닌을 색이 옅은 담색 환원형 멜라닌으로 바꾸어 주며 여자안면 흑피증 등에 국소 투여한 결과 유효한 것이 확인되고 있다.
비타민C는 피부안전성이 우수하고 콜라겐합성 촉진능력도 있어 좋지만 그 자체가 불안정하여 산화되기 쉬우므로 비타민C인 산 마그네슘염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으나 효과가 경미하고 사용량에 한계가 있어 다소 제약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생약성분으로는 자유 추출물에 함유된 사포닌이 티로시나제 억제 작용을 하며 알로에베라의 에모딘 성분, 상백피에 페놀계 플라노이드, 당귀의 고린성분, 작약과 고산 추출물의 프라브노이드 성분이 각각 미백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라센타는 3∼4개월 된 소의 태반에서 추출한 것으로 여러 가지 생리활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피부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멜라닌 색소를 배출, 탈락시키는 작용으로 일반 화이트 화장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원료이다.
감초추출물 특히 러시아산 감초추출물에 많이 함유된 유용성분으로 글라브리딘이라는 물질이 있는데 이것은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미백 작용이 우수하며 피부 부작용도 없어 화장품용 미백 물질로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 미백 성분으로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성분으로는 알부틴과 코직산이 있다. 알부틴의 경우 산악지방에서 자생하는 월귤나무에 다량 존재하는 하이드로퀴논의 당유테로서 멜라닌 생성억제와 티로시나제 활성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세이도에서 알부틴 함유제품에 대하여 행한 조사에서는 B16마우스 흑색종 세포에 대한 실험결과 색소 생성억제 효과가 확인되었고 소비자 앙케이트 조사결과 어느 정도의 미백효과를 보았다고 대답한 사람이 82% 이상이었다 한다.
국내에서도 알부틴 3%을 사용한 L회사 W제품을 사용하고 미백효과를 보았다고 하는 소비자들이 많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는 95년 상반기생산 1백대 품목중 4위를 차지하는 것을 보아 이 제품의 미백효과가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최근에는 알부틴 5% 사용제품도 시중에 출시되고 있다.
<숙대향장미용학과 김주덕교수>
이 기사 주소https://www.yakup.com/pharmplus/pharmplus.html?mode=view&nid=3000000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