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약상담을 위한 처방과 약물의 이해 (12)
Furosemide
Furosemide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이뇨제로서 사용빈도는 17번째이다.
Furosemide는 울혈성 심부전, 간경화, 신장질환 등에 따라 나타나는 부종을 가라앉게 하는데 사용된다. 심하지 않은 고혈압에도 사용된다. 1966년도에 미국 FDA의 인가를 받았다.
이뇨 작용은 약물 복용 후 30∼60분 안에 나타난다. 낮에 고속도로 등을 장기간 갈 경우에는 시간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반감기는 0.5∼1시간으로 비교적 짧다. 혈압조절이 목적이라면 torsasemide의 반감기가 조금 더 길다.
약물의 사용례는 다음과 같다.
* I42:심근병증 (Cardiomyopathy) *M-58
Digoxin 0.25mg 0.5 1 30
Lasix 40mg(Furosemide) 1 1 30
Renitec 10mg(Enalapril maleate) 1 2 30
Cardura 2mg(Doxazosin mesylate) 1.5 1 30
* I509:상세불명의 심부전 (Failure heart) *F-45
Capril 25mg(Captopril) 0.5 3 15
Lasix 40mg(Furosemide) 1 2 15
Astrix 100mg(Aspirin coated) 1 2 15
Digosin 0.25mg(Digoxin) 1 1 15
* K703:알콜성 간경변 (Liver cirrhosis alcoholic) *M-57
Aldactone 25mg(Spironolactone) 2 2 28
Legalon sus 12.6ml/pk(Silymarin) 1 2 28
Phazyme-95(R) 1 3 28
Lasix 40mg(Furosemide) 0.5 2 28
* K741:간경변증 (Hepatic sclerosis) *M-43
Aldactone 25mg(Spironolactone) 4 1 7
Lasix 40mg(Furosemide) 1 1 7
* N04:신 증후군 (Nephrotic syndrome) *M-59
Prednisolone 5mg 12 1 21
Curan 300mg(Ranitidine) 1 1 21
Lasix 40mg(Furosemide) 3 1 21
* Q210:심실 중격 결손증 (Ventricular septal defect) *F-4
Digoxin 0.25mg 0.3 2 30
Lasix 40mg(Furosemide) 0.3 2 30
Aldactone 25mg(Spironolactone) 0.3 2 30
[Furosemide의 환자용 약품정보]
Furosemide는 어떤 작용을 하는가?
Furosemide는 이뇨작용을 한다. 이뇨제는 소변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서 물이 많이 배출되고 소실되는 염분(소디움)의 양도 증가한다. 고혈압을 가라앉게 하는데도 기여를 하지만 근본적인 치료제는 아니다. Furosemide는 체내에서 심장, 간, 신장 등에 이상이 있을 때 몸이 붓거나, 증가하는 수분의 양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제형으로 여러 회사에서 생산되고 있다.
이 약을 사용하기 시작할 때 의사 또는 약사에게 알려주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아래의 증상이 있을 경우 알려줄 필요가 있다.
당뇨
설사
통풍
청각이상
심장 질환 또는 이전에 심장 발작이 있었을 경우
신장 질환, 소변의 양이 적거나 소변이 잘 안나올 경우
간장 질환
혈액 중에 있는 칼슘, 칼륨, 클로라이드, 소디움, 또는 마그네슘이 줄어들어 있을 때
췌장염
조산아(미성숙신생아)
다음의 물질에 대한 일상적이 아니거나 과민한 반응: Furosemide, 설파제, 다른 약품, 음식, 염료, 방부제
임신중이거나 임신을 시도할 경우
수유중
이 약을 복용하는 방법은?
정제를 복용한다. 용법 지시 사항을 따른다. 물과 함께 마신다. 위장 장애를 일으켜서 속이 불편할 경우 식사 직후 또는 우유와 함께 복용한다. 투여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지시된 용량 이상은 복용하지 않도록 한다. 이 약을 복용하면 소변을 자주 보게 된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낮에는 생활에 불편을 주지 않은 시간에 복용하도록 한다. 자기 전에는 복용하지 않는다.
약을 복용하지 않고 지나쳤을 경우
약을 복용하지 않고 지나쳤을 경우에는 가능한 한 바로 약을 복용하도록 한다. 이때 이미 다음 번 복용시간이 다 되었으면 다음 번 용량만을 복용하도록 한다. 빠진 약까지 2배를 복용하지 말아야 하며 남은 약을 더 먹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Furosemide와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약은
알코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 예: ibuprofen)
주사제로 사용되는 일부 항생제
cholestyramine
cisplatine
clofibrate
digoxin등의 강심제
lithium
고혈압 약물
수술 후 사용되는 근육이완제
nitroglycerine
phenytoin
이뇨제
처방성 약이 아니라도 복용하고 있는 경우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할 필요가 있다.
술, 담배, 커피, 통제되는 약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는 약물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른 약물을 사용하기 시작하거나, 사용을 중단할 경우에는 확인할 필요가 있다.
주의하여야 할 부작용은?
정도가 심한 부작용: 바로 의사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
소변 또는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올 때
설사
입안이 건조해짐
발열, 오한 또는 인후염
갈증이 심해짐
청각이 둔해지고 귀가 울림
심박동이 불규칙함
허리 뒤가 아픔, 옆구리통증
기분이 바뀜,
근육통 무력감, 근육경련
오심 구토
심한 복통
피부 발진
손발이 저리거나 얼얼함
일상적이 아닌 출혈, 멍
일상적이 아닌 피로감, 무력감
눈 또는 피부색이 노랗게 변함
미약한 부작용
어지럽거나 졸리움
두통
햇빛에 반응이 증가함
위장 장애, 복통, 위경련
이러한 부작용이 쉽게 사라지지 않거나 생활에 불편함을 준다면 의사와 상의할 필요가 있다.
이 약을 복용하면서 주의해야할 사항은?
정기적으로 진료를 받아서 증상의 회복 과정을 상담한다. 혈압을 정기적으로 확인하도록 하는데 진료 시에 혈압이 얼마인가 알아 볼 수 있다. 탈수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데, 하루에 마셔야 할 물의 량을 적절히 유지할 필요가 있다. 치료 목적으로 이 약을 사용하는 도중에는 임의로 복용을 중단하지 않도록 한다.
음식에서 적절하게 영양을 공급하는 것도 중요하다. 소실되는 칼륨과 소디움을 보충하여 줄 필요가 있다. 소디움은 소금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고, 칼륨이 많이 포함하고 있는 음식은 오렌지주스, 토마토주스, 자몽주스, 바나나, 코코넛, 살구, 복숭아, 서양자두, 등이 있다.
머리가 어지럽거나 멍해 질 수도 있다. 이 약에 대해 잘 알고 적응할 수 있을 때까지 운전 및 기계 조작 등 집중을 요하는 작업을 피해야 한다. 갑자기 일어서거나 앉는 것을 피함으로서 어지러움 또는 소발작 실신이 나타나는 것을 줄일 수 있는데 이것은 노인의 경우에 더욱 그렇다. 술은 졸림과 어지러움을 증가시킨다. 술은 피하거나 소량으로 제한하여야 한다.
이 약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피부가 햇볕 또는 자외선에 대해 더욱 예민하게 반응하게 된다. 햇볕에 노출하지 않도록 하며, 야외에서는 긴 옷을 입도록 하고 햇볕 차단제를 ( SPF 15이상) 사용하도록 한다. 선탠을 하여 피부를 그슬리면 안 된다.
수술을 해야할 경우 의사 또는 치과의사에게 이 약을 복용하고 있음을 알려주어야 한다.
Furosemide에 의해서 혈액 또는 소변의 당이 증가할 수 있다. 당뇨병이 있다면 혈액과 뇨의 당이 정상인지를 잘 확인할 필요가 있다.
약품의 보관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어린이가 열 수 없는 용기에서 보관한다.
15∼30℃의 건조한 실내에 보관한다. 유효기간이 지나도록 사용하지 않은 약은 폐기시키도록 한다.
Furosemide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이뇨제로서 사용빈도는 17번째이다.
Furosemide는 울혈성 심부전, 간경화, 신장질환 등에 따라 나타나는 부종을 가라앉게 하는데 사용된다. 심하지 않은 고혈압에도 사용된다. 1966년도에 미국 FDA의 인가를 받았다.
이뇨 작용은 약물 복용 후 30∼60분 안에 나타난다. 낮에 고속도로 등을 장기간 갈 경우에는 시간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반감기는 0.5∼1시간으로 비교적 짧다. 혈압조절이 목적이라면 torsasemide의 반감기가 조금 더 길다.
약물의 사용례는 다음과 같다.
* I42:심근병증 (Cardiomyopathy) *M-58
Digoxin 0.25mg 0.5 1 30
Lasix 40mg(Furosemide) 1 1 30
Renitec 10mg(Enalapril maleate) 1 2 30
Cardura 2mg(Doxazosin mesylate) 1.5 1 30
* I509:상세불명의 심부전 (Failure heart) *F-45
Capril 25mg(Captopril) 0.5 3 15
Lasix 40mg(Furosemide) 1 2 15
Astrix 100mg(Aspirin coated) 1 2 15
Digosin 0.25mg(Digoxin) 1 1 15
* K703:알콜성 간경변 (Liver cirrhosis alcoholic) *M-57
Aldactone 25mg(Spironolactone) 2 2 28
Legalon sus 12.6ml/pk(Silymarin) 1 2 28
Phazyme-95(R) 1 3 28
Lasix 40mg(Furosemide) 0.5 2 28
* K741:간경변증 (Hepatic sclerosis) *M-43
Aldactone 25mg(Spironolactone) 4 1 7
Lasix 40mg(Furosemide) 1 1 7
* N04:신 증후군 (Nephrotic syndrome) *M-59
Prednisolone 5mg 12 1 21
Curan 300mg(Ranitidine) 1 1 21
Lasix 40mg(Furosemide) 3 1 21
* Q210:심실 중격 결손증 (Ventricular septal defect) *F-4
Digoxin 0.25mg 0.3 2 30
Lasix 40mg(Furosemide) 0.3 2 30
Aldactone 25mg(Spironolactone) 0.3 2 30
[Furosemide의 환자용 약품정보]
Furosemide는 어떤 작용을 하는가?
Furosemide는 이뇨작용을 한다. 이뇨제는 소변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서 물이 많이 배출되고 소실되는 염분(소디움)의 양도 증가한다. 고혈압을 가라앉게 하는데도 기여를 하지만 근본적인 치료제는 아니다. Furosemide는 체내에서 심장, 간, 신장 등에 이상이 있을 때 몸이 붓거나, 증가하는 수분의 양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제형으로 여러 회사에서 생산되고 있다.
이 약을 사용하기 시작할 때 의사 또는 약사에게 알려주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아래의 증상이 있을 경우 알려줄 필요가 있다.
당뇨
설사
통풍
청각이상
심장 질환 또는 이전에 심장 발작이 있었을 경우
신장 질환, 소변의 양이 적거나 소변이 잘 안나올 경우
간장 질환
혈액 중에 있는 칼슘, 칼륨, 클로라이드, 소디움, 또는 마그네슘이 줄어들어 있을 때
췌장염
조산아(미성숙신생아)
다음의 물질에 대한 일상적이 아니거나 과민한 반응: Furosemide, 설파제, 다른 약품, 음식, 염료, 방부제
임신중이거나 임신을 시도할 경우
수유중
이 약을 복용하는 방법은?
정제를 복용한다. 용법 지시 사항을 따른다. 물과 함께 마신다. 위장 장애를 일으켜서 속이 불편할 경우 식사 직후 또는 우유와 함께 복용한다. 투여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지시된 용량 이상은 복용하지 않도록 한다. 이 약을 복용하면 소변을 자주 보게 된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낮에는 생활에 불편을 주지 않은 시간에 복용하도록 한다. 자기 전에는 복용하지 않는다.
약을 복용하지 않고 지나쳤을 경우
약을 복용하지 않고 지나쳤을 경우에는 가능한 한 바로 약을 복용하도록 한다. 이때 이미 다음 번 복용시간이 다 되었으면 다음 번 용량만을 복용하도록 한다. 빠진 약까지 2배를 복용하지 말아야 하며 남은 약을 더 먹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Furosemide와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약은
알코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 예: ibuprofen)
주사제로 사용되는 일부 항생제
cholestyramine
cisplatine
clofibrate
digoxin등의 강심제
lithium
고혈압 약물
수술 후 사용되는 근육이완제
nitroglycerine
phenytoin
이뇨제
처방성 약이 아니라도 복용하고 있는 경우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할 필요가 있다.
술, 담배, 커피, 통제되는 약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는 약물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른 약물을 사용하기 시작하거나, 사용을 중단할 경우에는 확인할 필요가 있다.
주의하여야 할 부작용은?
정도가 심한 부작용: 바로 의사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
소변 또는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올 때
설사
입안이 건조해짐
발열, 오한 또는 인후염
갈증이 심해짐
청각이 둔해지고 귀가 울림
심박동이 불규칙함
허리 뒤가 아픔, 옆구리통증
기분이 바뀜,
근육통 무력감, 근육경련
오심 구토
심한 복통
피부 발진
손발이 저리거나 얼얼함
일상적이 아닌 출혈, 멍
일상적이 아닌 피로감, 무력감
눈 또는 피부색이 노랗게 변함
미약한 부작용
어지럽거나 졸리움
두통
햇빛에 반응이 증가함
위장 장애, 복통, 위경련
이러한 부작용이 쉽게 사라지지 않거나 생활에 불편함을 준다면 의사와 상의할 필요가 있다.
이 약을 복용하면서 주의해야할 사항은?
정기적으로 진료를 받아서 증상의 회복 과정을 상담한다. 혈압을 정기적으로 확인하도록 하는데 진료 시에 혈압이 얼마인가 알아 볼 수 있다. 탈수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데, 하루에 마셔야 할 물의 량을 적절히 유지할 필요가 있다. 치료 목적으로 이 약을 사용하는 도중에는 임의로 복용을 중단하지 않도록 한다.
음식에서 적절하게 영양을 공급하는 것도 중요하다. 소실되는 칼륨과 소디움을 보충하여 줄 필요가 있다. 소디움은 소금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고, 칼륨이 많이 포함하고 있는 음식은 오렌지주스, 토마토주스, 자몽주스, 바나나, 코코넛, 살구, 복숭아, 서양자두, 등이 있다.
머리가 어지럽거나 멍해 질 수도 있다. 이 약에 대해 잘 알고 적응할 수 있을 때까지 운전 및 기계 조작 등 집중을 요하는 작업을 피해야 한다. 갑자기 일어서거나 앉는 것을 피함으로서 어지러움 또는 소발작 실신이 나타나는 것을 줄일 수 있는데 이것은 노인의 경우에 더욱 그렇다. 술은 졸림과 어지러움을 증가시킨다. 술은 피하거나 소량으로 제한하여야 한다.
이 약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피부가 햇볕 또는 자외선에 대해 더욱 예민하게 반응하게 된다. 햇볕에 노출하지 않도록 하며, 야외에서는 긴 옷을 입도록 하고 햇볕 차단제를 ( SPF 15이상) 사용하도록 한다. 선탠을 하여 피부를 그슬리면 안 된다.
수술을 해야할 경우 의사 또는 치과의사에게 이 약을 복용하고 있음을 알려주어야 한다.
Furosemide에 의해서 혈액 또는 소변의 당이 증가할 수 있다. 당뇨병이 있다면 혈액과 뇨의 당이 정상인지를 잘 확인할 필요가 있다.
약품의 보관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어린이가 열 수 없는 용기에서 보관한다.
15∼30℃의 건조한 실내에 보관한다. 유효기간이 지나도록 사용하지 않은 약은 폐기시키도록 한다.
이 기사 주소https://www.yakup.com/pharmplus/pharmplus.html?mode=view&nid=300000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