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약국] <35> 알아둬야 쓸데있는 소화제 이야기
아직도 소화불량 증상에 소화효소제 알약부터 찾는 사람이 많다. 소화효소제를 음식에 넣고, 흐물흐물해지는 걸 보여주는 실험이 가끔 TV에 방송되기도 한다. 하지만 소화효소제 알약은 대부분의 경우 불필요한 약이다. 소화효소제 알약에는 보통 돼지의 췌장에서 추출한 효소가 들어있다.
췌장에 특별히 문제가 있는 일부 환자를 제외하면 건강한 성인은 소화효소제 알약에 들어있는 소화효소의 수십~수백 배 이상의 소화효소를 췌장에서 분비한다. 굳이 다른 동물의 소화효소를 넣어주지 않아도 인체에서 충분한 소화효소를 만...
2019-05-22 09:40 |
[약사·약국] <34> 논란의 약 스타틴 이야기
“고지혈증약 스타틴, 발기 부전에도 효과” 5년 전 많은 사람을 놀라게 한 뉴스다. 미국 럿거스 대학교에서 713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한 11건의 무작위 임상시험 결과를 종합 분석한 결과 스타틴 복용시 비아그라와 같은 발기부전치료제의 1/3에 해당하는 정도로 증상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정확한 이유는 아직 분명치 않으나 연구자들은 혈중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떨어지고 혈관내피의 기능이 향상되어 혈관 확장을 돕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했다. 하지만 이와는 정반대의 연구 결과도 있다.
2010년 이탈리아 플로렌스 대학...
2019-05-08 09:40 |
[약사·약국] <33> 약 사용 중 햇빛 조심
봄철 야외 활동은 즐거운 일이지만 약을 사용 중일 때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약 복용 중에는 자외선을 평소보다 더 조심해야 하기 때문이다. 약 사용 중에는 피부가 햇빛에 더 민감해진다. 먹는 약이든 바르는 약이든 문제가 될 수 있는데, 바르는 약일 때 더 자주 나타난다.
약물로 인한 광과민성(photosensitivity) 반응에는 광알레르기(photoallergy)와 광독성(phototoxicity)의 2가지 상태가 포함된다. 광알레르기는 비교적 드문 면역반응으로,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이 약과 만나면 약이 알레르기 원인물질로 변화하여 생...
2019-04-24 09:40 |
[약사·약국] <32> 알아두면 쓸데있는 약의 제형 이야기
약에는 다양한 제형이 있다. 캡슐, 정제, 가루약, 시럽처럼 먹는 약도 있고 주사로 맞는 약도 있다. 연고나 젤, 크림처럼 바르는 약도 있고, 붙이는 패치도 있다. 어떤 제형이냐에 따라 약효가 나타나는 시간과 부작용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입술에 물집이 생기면서 따가운 헤르페스 바이러스 포진에는 아시클로버라는 성분의 항바이러스제가 종종 사용된다. 이 약은 먹는 약일 때 가장 효과가 좋다. 증상 초기 1시간 이내에 복용하면 약을 복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통증이 하루 더 짧아진다.
바르는 약일 때는 이보다 효과가 ...
2019-04-10 09:07 |
[약사·약국] <31> 알아두면 쓸모있는 비염약 이야기
봄은 알레르기의 계절이다. 막힌 코를 뚫어주는 비충혈 제거제 스프레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진다. 하지만 코막힘은 알레르기의 증상 중 한 가지일 뿐이다. 코막힘에만 도움이 되는 비충혈 제거제 스프레이는 좋은 선택이 아니다.
게다가 너무 오래 사용하면 약물성 비염이라는 부작용이 생긴다. 콧속에 약을 뿌려주면 코가 뚫리는 듯하다가 시간이 지나면 원래보다 코막힘이 더 심해지는 반동성 비충혈이 나타난다.
약으로 인해 도리어 비염 증상이 악화되는 이러한 약물성 비염 부작용을 피하려면 연속으로는 5-7일 이하, 하...
2019-03-27 09:40 |
[약사·약국] <30> 약의 용도 이야기
통증으로 약을 복용 중인데 알고 보니 우울증 치료제다. 간지러움 증상 때문에 받아온 약인데 우울증 치료제다.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성분이 검색해보니 항암제다. 환자 입장에서는 놀랄 수밖에 없다. 간혹 병원이나 약국으로 항의하러 오는 경우도 있다. 왜 한 가지 약을 여러 용도로 써서 사람 마음을 심란하게 만드는가.
우리 눈에 다양해 보이는 여러 증상의 원인이 하나의 공통 분모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두통, 치통, 관절염, 생리통, 근육통은 통증이 나타나는 부위 면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기전은 비슷하다. 통증과...
2019-03-13 09:40 |
[약사·약국] <29> 낙상에 주의해야 할 약 이야기
칠전팔기는 멋진 말이지만 이론일 뿐이다. 사람이 실제로 일곱 번을 넘어졌다가는 큰일 난다. 낙상으로 고관절 골절을 당하면 꼼짝없이 누워있어야 하는데 이렇게 누워있는 동안 근육이 빠르게 힘을 잃는다. 매주 근력이 10-20%씩 줄어들어 입원 3-5주 만에 원래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다.
일주일만 누워있어도 허벅지 근육량이 3%나 줄어든다. 침대에서 뒤척거리며 등과 다리의 근육을 움직이는 젊은 환자보다 거동이 불편한 노인의 경우에 이러한 근육 소실이 더 빠르게 진행된다. 누워있는 동안 근육이 줄고 힘이 빠져서 골절...
2019-02-27 09:40 |
[약사·약국] <20> 겨울철 무좀약 이야기
아직 추운 겨울인데 무좀약을 찾는 이가 늘어난다. 무좀하면 덥고 습한 여름이 생각나는데 언뜻 이해가 가지 않는다. 하지만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겨울이라고 무좀균이 다 사라지는 건 아니다. 무좀의 원인은 표피사상균과 백선균 같은 진균이며, 쉽게 말해 곰팡이다.
냉장고에 보관했는데도 곰팡이가 피어올라 상한 잼을 생각해보라. 곰팡이는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생존과 번식이 가능하다. 여기에 결정적으로 문제가 하나 더 있다. 다른 곳은 다 겨울인데 발은 여름이라는 거다.
겨울에 날씨가 추우니 종종 양말도 더 ...
2019-02-13 09:40 |
[약사·약국] <27> 약 먹을 때 주의해야 할 카페인 이야기
카페인은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약성분 중 하나다. 보통 자양강장제 드링크에는 카페인이 30mg, 복합진통제에는 한 알에 30~50mg정도가 들어 있다. 종합감기약에도 카페인이 포함된다. 특히 매일 습관적으로 오용되는 문제가 심각한 물약 종합감기약에는 카페인이 30mg까지 들어있다. 간혹 두통약이나 감기약을 먹은 날 잠을 청하기 더 힘든 이유다.
카페인이 약에 괜히 들어가는 건 아니다. 복합진통제 속 카페인은 약이 더 빠르게 효과를 내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카페인 단독으로는 진통 효과가 없지만 진통제 약성분의 흡수 ...
2019-01-30 08:43 |
[약사·약국] <26> 약의 사용 기한
추운 겨울 바깥에 나가기는 싫고 집에 있는 두통약을 찾고 나니 기한이 지난 것뿐이다. 이런 약 써도 되는 걸까. 고민과 갈등이 생긴다. 약에도 식품처럼 기한이 정해져 있다. 그런데 차이가 있다. 식품은 유통기한, 약은 사용기한이다.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은 판매해서는 안 되지만 이미 집에 사둔 식품이 단지 유통기한만 지났다고 하여 버릴 이유는 없다. 상태가 온전하면 먹어도 된다. 하지만 약은 유통이 아니라 사용기한이다. 사용 기한이 지난 약은 판매도 할 수 없지만 사용해서도 안 되는 게 원칙이다.
그럼에도 불...
2019-01-16 09:16 |
[약사·약국] <25> 약 복용을 잊었을 때
약 먹는 걸 깜박했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복약 상담을 잘 하고 싶은 약사라면 반드시 주목해할 문제다. 1999년 205명의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조사에 따르면 이들 중 90%가 약 먹는 걸 깜박 잊었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 하는 정보가 아주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몰라도 된다고 대답한 비율은 1.5%에 불과했다. 하지만 상담할 때 이 문제는 간과하고 넘어갈 때가 많다. 비슷한 시기 미국에서 진행한 다른 연구에 의하면 약 복용을 잊었을 때 어떻게 해야 할지 설명을 들었다는 경우는 전체 응답자의 절반도 안 되는 것으...
2019-01-02 09:40 |
[약사·약국] <24> 겨울철 안약 제대로 알고 쓰기
매년 겨울이 되면 눈이 뻑뻑하고 모래알이 들어간 것처럼 따갑다는 사람이 늘어난다. 빨개진 눈으로 인공눈물이나 안약을 찾는다. 실내나 실외나 건조한 공기가 문제다.
춥다고 난방을 계속 틀어놓으면 실내가 바깥보다 더 건조하게 되는 경우도 많다. 안약을 써도 막상 쓸 때만 반짝하고 효과가 오래가질 않아 문제다. 안약 사용방법을 모르고 쓸 때가 많기 때문이다.
인공눈물에는 안구 표면의 건조함을 줄여주고 촉촉함이 오래갈 수 있도록 하는 히알루론산나트륨(Sodium Hyaluronate, HA)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2018-12-19 09:40 |
[약사·약국] <23> 미백 알약 소동의 뒷이야기
얼굴 하얘지는 약이라며 글루타티온이 뜬지도 1년에 다 되어간다. 지난 1월 구독자 수가 당시 7만 5천 명(지금은 20만명)에 달하는 유튜버가 개인 방송을 통해 “평소 복용하는 약을 설명하겠다”며 “급성·만성 간염 치료제지만 피부가 하얘지는 ‘백옥주사’와 성분이 같다”고 글루타티온을 들고 나와 벌어진 소동이다.
얼굴이 원래 하얀 편으로 보이는 이 유튜버는 글루타티온 캡슐을 “3~4일 복용했더니 얼굴이 맑고 투명해졌다”며 “주사(수액주사)를 맞느니 약을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사실 이 약성분은 간세포로 ...
2018-12-05 09:40 |
[약사·약국] <22> 주의해야 할 술과 약의 상호작용
연말이 다가온다. 술을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음주의 계절이지만, 약을 복용하는 사람에게는 주의가 필요한 시기다. 알코올이 약과 상호작용을 일으키면 부작용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면제나 신경안정제와 같은 약이 대표적이다. 알코올의 진정 작용이 약물의 효과에 더해져서 과도하게 졸리고 정신기능과 운동기능, 기억력에도 문제가 생긴다. 술 마신 다음 날 숙취가 더 심해지거나 오래갈 수도 있다.
항생제 복용 중에도 알코올음료는 피하는 게 좋다. 한두 잔을 마시는 정도로는 항생제와 별다른 상호작용이 없는 ...
2018-11-21 09:40 |
[약사·약국] <21> 약 때문에 입이 마를때
약 부작용 중에 잘 모르고 지나가는 것 중 하나가 구강 건조 증상이다. 약은 구강 건조증을 일으킬 수 있는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다. 구강 건조증은 65세 이상 인구의 30%에서 나타날 정도로 흔한데, 만성질환이나 약물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타액 분비를 감소시키거나 타액의 조성을 변화시키는 약의 가짓수는 500종이 넘는다.
우리가 음식을 먹을 때 맛을 감지하려면 먼저 음식 속 맛 성분이 입 안에서 침에 녹아야 한다. 그래야 혀의 미뢰에 있는 감각세포가 맛을 감지할 수 있다. 침이 말라버리면 음식 맛을 느끼기 ...
2018-11-07 09:40 |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화장품기업 2024년 3분기 총차입금의존도 17.26% …전년比 0.05%p↓ |
2 | GLP-1의 양면성…체중 감량부터 인지장애 감소...관절염·소화기 위험은↑ |
3 | 제약바이오 3분기 총차입금의존도...전년比 코스피 감소, 코스닥은 증가 |
4 | "임상 강국 향한 도전, 한국판 '분산형 임상시험'이 온다" |
5 |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 "사노피 빅딜 뛰어넘는 L/O 임박" |
6 | 치료제 열풍에 관심 커지는 ‘비만법’, 미국도 비만치료제 급여 적용 검토 |
7 | 삼성바이오에피스 김경아 대표 "역대 최대 실적 이어갈 것"…매출 1조5377억원 달성 |
8 | '트럼프 관세' 속도조절에 화장품업계 '일시적' 안도 |
9 | 미국 '틱톡 금지' 유예...급한 불 껐지만 이용자 혼란 |
10 | 젠바디, 브라질 공공기관과 에이즈/매독 동시 진단키트 공급 계약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