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화] 최윤영의 뮤지컬 오버뷰 (Musical Over:view)
다시 돌아온 고양이들의 대축제, 뮤지컬 ‘캣츠’ 내한 공연
사랑스럽고 신비로운 고양이들을 위한 단 7주간의 축제가 어느덧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3월 12일까지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선보이는 이번 오리지널 내한 공연은 2022년 말부터 김해, 세종, 부산을 거쳐 지난 1월 20일 예정된 서울 여정을 시작했다. 무엇보다도 이번 ‘캣츠’는 오랜만에 만나는 오리지널 연출까지 더해져 더욱 반갑다. 우선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잠시 사라졌던 젤리클석이 부활했고 인터미션을 활용한 플레이타임...
2023-02-22 13:42 |
![]() |
[문화] 윤성은의 뮤직 in CINEMA
북산 5인방의 심장박동 같은 음악, ‘더 퍼스트 슬램덩크’
7080 세대들의 학창시절을 즐겁게 해주었던 농구만화, ‘슬램덩크’가 다시 열풍을 일으키고 있다. 지난 1월 4일에 ‘더 퍼스트 슬램덩크’(감독 이노우에 다케히코, 이하 ‘더 퍼스트’)라는 제목으로 개봉한 극장판 애니메이션 때문인데, 박스오피스를 역주행 하더니 급기야 1위까지 차지했다. 뿐만 아니라 서점가에서는 원작 만화 및 관련 서적들이 불티나게 팔려나가고, 캐릭터 굿즈를 판매하는 백화점 팝업스토...
2023-02-17 15:31 |
![]() |
[문화] 안현정의 컬쳐포커스
달에 살던 토끼가 ‘속세’로 내려온 까닭은
계묘년은 검은 토끼의 해라 토끼 관련 전시들도 많이 열리고 있다. 예술문화 속 토끼는 무엇을 상징하는 동물인가? 대부분의 아시아 지역에서 토끼는 영리하고 잔꾀가 많은 동물로 의인화된다. 불교에서 토끼는 보시행을 상징한다. 기독교의 헌금과 유사한 불교의 보시는 대가 없이 베풀고 나누는 덕행이다. 불교 설화에 의하면 보시를 결심한 토끼, 원숭이, 수달, 승냥이에게 제석천이 배고픈 나그네로 위장해 시험을 했는데 토끼만이 스스로 자기 몸을 태워 보...
2023-02-17 14:45 |
![]() |
[문화] 국악 Prologue!
가야금 병창의 명인들
무대에 조명이 들어온다. 30여 명의 연주자가 가야금을 한 대씩 앞에 두고 앉아 있다. 장구 장단에 맞춰 일사불란하게 연주가 시작된다. 곧 가야금 가락 위에 노래가 얹어진다. 향사 박귀희 선생이 작곡한 신민요가 흥을 돋운다. ‘가야금을 연주하며 부르는 노래’ 또는 ‘노래하며 가야금을 타는 연주 형식’을 일컬어 ‘가야금 병창(竝唱)’이라고 한다.
지난 2021년 향사 탄생 100주년을 맞이해 (사)가야금병창보존회가 주최하는 공연이 열렸다. 가야금 산...
2023-02-14 09:31 |
![]() |
[문화] 원종원의 커튼 콜
도시괴담속 알싸하고 삐딱한 현대사회 풍자의 재미를 즐긴다_뮤지컬 스위니 토드
스위니 토드 공연 장면 <사진제공 : 오디컴퍼니>
산업혁명 이후, 가파른 경제성장과 더불어 자본주의의 발호와 빈부격차의 심화, 그리고 계급사회의 폐해가 드러나기 시작했던 영국은 그야말로 전세계에서 가장 뜨거운 용광로였다. 지금도 런던을 여행하면 그 시절의 모습을 따라 거닐어보는 것만큼 흥미로운 것이 없을 정도다. 물론 유럽에 수많은 관광객들이 몰려드는 이유도 비슷하다. 바로 역사를 직접 밟아보며 느낄 수 있...
2023-02-14 09:28 |
![]() |
[문화] 박선민의 공연예술 글로벌 Now!
예술을 통한 삶의 치유
알랭 드 보통은 저서 ‘영혼의 미술관’을 통해 예술이 인간을 위한 도구일 수 있다면 무엇을 위함이며 또 어떤 구체적인 이득을 줄 수 있는가를 고민하고 예술이 인간의 감정과 정서를 다스리기 위한 치유의 도구라는 견해를 밝힌 바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기술의 발달, 매체의 다원화 등으로 세상은 점점 더 얽히고 설키며 인간의 삶을 복잡하게 만들어가고 있는 데 반해 정서적 안정이나 연대를 도모하려는 노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이로 인해 육체 피로도는 경감...
2023-02-06 14:23 |
![]() |
[문화] 박병준의 클래스토리
직캠의 매력을 담아
‘직캠’이라는 단어, 많이 들어보셨나요? 직캠은 ‘직접 촬영한 동영상’을 줄인 말입니다. 우리가 캠코더나 휴대전화기를 이용해 촬영하는 모든 동영상은 사실 직캠인 셈인데 일반적으로 이 말은 한 개인이 가수의 공연 혹은 리허설 현장을 직접 촬영한 영상을 가리킵니다. 여러 대의 카메라를 이용해 다채로운 화면을 담아내는 방송 화면과는 달리 직캠은 대부분 한 가수의 모습만 계속해서 담아냅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방송 화면에는 비춰지지 않는 그들의 모습을 가감없이 담아낼 수...
2023-02-06 11:43 |
![]() |
[문화] 최윤영의 뮤지컬 오버뷰 (Musical Over:view)
불멸의 연인이 남긴 흔적을 찾아서, 뮤지컬 ‘베토벤'
△ 뮤지컬 베토벤 공연장면 <사진제공 EMK뮤지컬 컴퍼니>
뮤지컬 ‘베토벤; Beethoven Secret(이하 뮤지컬 ‘베토벤’)’이 드디어 본격적인 개막 소식을 알렸다. 월드 프리미어 초연으로 한국에서 선보이는 뮤지컬 ‘베토벤’은 EMK뮤지컬컴퍼니의 다섯 번째 창작 뮤지컬이다. 제작과 개발 기간에만 총 7년이 소요될 만큼 엄청난 노력을 기울인 작품으로, 뮤지컬 ‘모차르트!’ ‘레베카’ ‘...
2023-01-31 17:45 |
![]() |
[문화] 아드리엘 김의 모멘텀 클래식
슈베르트의 <아르페지오네 소나타>에 대하여
△아르페지오네를 연주하고 있는 모습
작곡가 슈베르트는 연가곡집 <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아가씨>를 작곡한지 얼마 되지 않아 1824년 11월 '아르페지오네 소나타(Arpeggione Sonata, D. 821)'를 세상에 내놓았다. '아르페지오'가 화음을 분산시켜 연주하는 주법이다 보니 아르페지오 연주가 강조된 작품으로 추측하기 쉬울 터. 하지만 아르페지오네 소나타는 빈의 악기 제작자 슈타우퍼(J.G. Stauper)가 개발한 '아르페지오네'라는 악기를 위해 ...
2023-01-26 11:41 |
![]() |
[문화] 윤성은의 뮤직 in CINEMA
절반의 성공 ‘영웅’
지난 연말 개봉한 ‘아바타: 물의 길’(감독 제임스 카메론, 2022)의 스크린 점령에도 불구하고 해를 넘기면서까지 꾸준히 관객을 불러모으고 있는 한국영화가 있다. ‘영웅’(감독 윤제균, 2022)은 2009년 초연된 동명의 창작뮤지컬을 스크린에 옮긴 작품으로, 개봉 안중근 의사의 최후 1년을 담고 있다.
한국에서 할리우드 뮤지컬 영화들이 크게 성공을 거둔바 있는 만큼 한국에서도 뮤지컬 영화 제작에 대한 욕구가 커지고 있던 상황에서 ‘영웅’은...
2023-01-20 11:39 |
![]() |
[문화] 국악 Prologue !
매화를 노래하다
동지를 지나며 해가 점점 길어지고 새해도 밝았지만 올겨울은 여전히, 유독 춥다. 응달이나 산비탈의 눈도 좀처럼 녹지 않고, 웅크린 사람들의 어깨도 좀처럼 펴지지 않는다. 칼바람 속에서 매화가 얄팍한 꽃받침 한 겹 여미고 때를 기다리는 중이다. 역경을 이겨내고 향기를 이루는 인내와 투지의 꽃. 바야흐로 매화의 계절이 오고 있다.
중국 송나라 때의 사람 임포는 항주(杭州) 서호(西湖)의 고산에 초가를 지어 은거하며 매화를 아내로, 학을 아들로 삼은 '매처학자(梅妻鶴子)'의 삶을...
2023-01-13 10:28 |
![]() |
[문화] 원종원의 커튼 콜
대한사람 누구라도 마음 울컥할 감동을 담아내다_뮤지컬 영웅
△ 공연장면 1 그날을 기억하라
2023년 시작부터 무대와 스크린을 통해 같은 뮤지컬이 막을 올려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안중근 의사의 이야기를 담은 ‘영웅’이다. 대한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울컥한 감동을 느낄 수 밖에 없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이다.
안중근 의사는 1879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났다. 향반 지주 출신으로 근대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던 부친의 영향을 받아 유년시절부터 개화된 사고를 지니며 자랐다. 본격적...
2023-01-06 17:39 |
![]() |
[문화] 안현정의 컬쳐포커스
마우리치오 카텔란, 에드워드 하퍼, 김환기 회고전 등 주목
흑묘(黑卯年) 검은 토끼해, 영특한 토끼의 기운처럼 작년에 이어 올해도 문화예술계를 잇는 온라인과 기술집약적 이슈들은 대거 확대될 예정이다. 영화 아바타의 성공이 예견하듯 메타버스 속 가상공간에서의 경험이 확장되고, 부동산 경기 하락과 금리 인하로 인해 ‘투자중심의 문화’에서 ‘향유중심의 문화’로 시대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메타버스 전시공간의 확장에 대해 논의하고, 새롭게 전개될 국내외 전시들을 다양하게...
2023-01-06 10:42 |
![]() |
[문화] 박선민의 공연예술 글로벌 Now!
기업 예술 후원의 새로운 방향 모색
국내에도 예술을 진심으로 사랑하고 후원하는 기업들이 적지 않다. 한화그룹 회장 김승연의 경우 코로나 시기로 공연계가 불황에 힘겨워하고 있던 시기에도 비대면 공연을 계속 진행하는 등 클래식계를 꾸준히 지원해왔고, 롯데그룹은 국내 공연장 최초로 ‘빈야드’식 공연장을 건설해 주목을 받았다.
그 밖에도 재계의 리더들은 음악회를 주최하거나 공연장을 창설하고, 매년 행사를 진행하는 등 여러 방면에서 클래식계를 꾸준히 지원하고 있다. 이는 음악 속에서 ...
2022-12-30 11:38 |
![]() |
[문화] 박병준의 클래스토리
협주곡과 카덴차, 서로 다른 개성의 공존
1809년 베토벤(L. v. Beethoven, 1770-1827)은 그의 다섯 번째 피아노 협주곡을 완성시킵니다. ‘황제’라는 별명으로도 잘 알려져 있는 이 작품은 지난 칼럼에서 언급하였다시피, 카덴차의 역사에서 중요한 작품입니다. 베토벤이 작품이 시작되자마자 등장하는 카덴차와 당시에 통상적으로 카덴차가 위치하는 곳에 카덴차 대신 써놓은 악구 모두 베토벤이 직접 작곡함으로써, 연주자에 의한 자유로운 변형의 가능성을 없애버렸기 때문이지요. 카덴차가 본래 독주자가 홀로 작품...
2022-12-30 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