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2월20∼21일 동경에서 제1회 FIP-일본약제학회 공동주최로‘Individualized Medicine (맞춤약학)’에 관한 심포지엄이 열렸다. 이 심포지엄에서 필자는 ‘안전성은 과학적 이슈인가 사회문화적 이슈인가?’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였는데 그 요지는 다음과 같았다
지금까지의 약물요법은 어른이면 1정, 어린이면 1/2정 식의 소위 일정량 투여 방식이었다. 그러나 최근 약물에 대한 유효성이나 안전성이 사람에 따라 매우 다르다는 사실을 갈게 되었다.
즉 어떤 약이 어떤 사람에게는 약효를 나타내지 않지만 어떤 사람에게는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이런 개념은 100여 년 전 환자를 약물, 음식, 환경에 대한 반응에 따라 태양, 태음, 소양, 소음의 4개의 체질로 나눈 이제마 선생의 사상의학과 그 맥을 같이 한다. 또 하나 흥미로운 사실은 약물유전학의 기원이 우리나라 6.25 전쟁과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즉 1950년 한국전쟁에 참전한 흑인 병사에게 항말라리아 약인 프리마퀸을 투여하였더니 복용자의 약 10%에서 빈혈이 나타났는데, 이들에게는 G6PD라는 유전자가 부족하여 이 약을 대사시키는 효소 레벨이 낮았다는 사실을 나중에 알게 되었다.
최근 약물유전학 (pharmacogenetics)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사람에 따라 유전적 특성이 다르고 그 때문에 약에 대한 반응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명백히 알게 되었다.
그 후 같은 약, 같은 용량으로 지구상의 모든 환자를 인종에 관계없이 치료하려는 생각은 무모하기 짝이 없는 발상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1가지 용량으로 모든 환자를 고치겠다는 발상을 ‘One-size-fits-all’ 요법이라고 하는데 최근 이 요법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첫째, 매년 미국에서만 입원환자 중 약 10만 명이 약물부작용 때문에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것은 이들의 유전적 특성이 남들과 다르다는 사실을 모르고 약물을 투여했기 때문이었다.
둘째, 증상·나이·체중이나 기타 임상지표 등만을 보고 의약품을 투여하는 현재의 ‘One-size-fits-all’ 요법은 때로는 효과도 없고 안전하지도 않다는 사실이다.
셋째, 환자에게 올바른 약을, 올바른 용량으로, 올바른 시간에, 올바른 주의사항과 함께 투여하였다면 대부분의 부작용을 피할 수 있었을 것이란 사실이다.
앞으로 약물유전학이 발달되면, 환자나 질병을 유전적 특성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나누어, 환자 개개인의 유전적 특성에 꼭 맞는 소위 ‘맞춤약의 조제 및 개발’이 가능해 질 것이다. 이는 기성복보다 맞춤옷이 내 몸에 잘 맞는 것처럼 환자들에게 최적의 약물요법을 보장해 줄 것이다.
최근 한국인중 Cyp450 2D6란 효소의 레벨이 낮은 사람이 인구의 7% 정도에 이른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식약청은 이런 사람들에게는 이 효소에 의해 분해되는 약인 치오다리진을 처방할 수 없도록 조치한 바가 있다. 이처럼 ‘맞춤약학’은 환자의 안전성과 치료를 보장하는 ‘약물요법의 꿈’이다.
따라서 필자는 우리나라의 6년제 약학교육에서 임상약학이 지향해야 할 구체적인 목표는 ‘맞춤약학’이 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21세기는 꿈의 약물요법인 ‘맞춤약물요법의 시대’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생명공학 상장사 브랜드평판, 진원생명과학·알테오젠 순 |
2 | 현대약품, 치매 치료제 ‘하이페질산’ 출시 |
3 | FDA 승인 신약 66% '소규모 바이오텍'서 시작…"韓 가능성 있어" |
4 | 상장제약사, 올해 들어 시총 10조원 하락 |
5 | 2022년 가장 기대되는 신약…제2형 당뇨·비만 치료제 '마운자로' |
6 | 원료 수급난 등 의약품 품절 지속 |
7 | '디지털의 역습' 제약바이오 패러다임 大전환 |
8 | 아이진 "mRNA 플랫폼 고도화 나선다" |
9 | “국내사‧빅파마 비교 어불성설…임상3상 ‘메가펀드’ 중요” |
10 | "美 지난해 '전임상 단계' 신약후보로 바이오텍 25곳 나스닥 상장"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2006년 2월20∼21일 동경에서 제1회 FIP-일본약제학회 공동주최로‘Individualized Medicine (맞춤약학)’에 관한 심포지엄이 열렸다. 이 심포지엄에서 필자는 ‘안전성은 과학적 이슈인가 사회문화적 이슈인가?’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였는데 그 요지는 다음과 같았다
지금까지의 약물요법은 어른이면 1정, 어린이면 1/2정 식의 소위 일정량 투여 방식이었다. 그러나 최근 약물에 대한 유효성이나 안전성이 사람에 따라 매우 다르다는 사실을 갈게 되었다.
즉 어떤 약이 어떤 사람에게는 약효를 나타내지 않지만 어떤 사람에게는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이런 개념은 100여 년 전 환자를 약물, 음식, 환경에 대한 반응에 따라 태양, 태음, 소양, 소음의 4개의 체질로 나눈 이제마 선생의 사상의학과 그 맥을 같이 한다. 또 하나 흥미로운 사실은 약물유전학의 기원이 우리나라 6.25 전쟁과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즉 1950년 한국전쟁에 참전한 흑인 병사에게 항말라리아 약인 프리마퀸을 투여하였더니 복용자의 약 10%에서 빈혈이 나타났는데, 이들에게는 G6PD라는 유전자가 부족하여 이 약을 대사시키는 효소 레벨이 낮았다는 사실을 나중에 알게 되었다.
최근 약물유전학 (pharmacogenetics)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사람에 따라 유전적 특성이 다르고 그 때문에 약에 대한 반응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명백히 알게 되었다.
그 후 같은 약, 같은 용량으로 지구상의 모든 환자를 인종에 관계없이 치료하려는 생각은 무모하기 짝이 없는 발상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1가지 용량으로 모든 환자를 고치겠다는 발상을 ‘One-size-fits-all’ 요법이라고 하는데 최근 이 요법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첫째, 매년 미국에서만 입원환자 중 약 10만 명이 약물부작용 때문에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것은 이들의 유전적 특성이 남들과 다르다는 사실을 모르고 약물을 투여했기 때문이었다.
둘째, 증상·나이·체중이나 기타 임상지표 등만을 보고 의약품을 투여하는 현재의 ‘One-size-fits-all’ 요법은 때로는 효과도 없고 안전하지도 않다는 사실이다.
셋째, 환자에게 올바른 약을, 올바른 용량으로, 올바른 시간에, 올바른 주의사항과 함께 투여하였다면 대부분의 부작용을 피할 수 있었을 것이란 사실이다.
앞으로 약물유전학이 발달되면, 환자나 질병을 유전적 특성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나누어, 환자 개개인의 유전적 특성에 꼭 맞는 소위 ‘맞춤약의 조제 및 개발’이 가능해 질 것이다. 이는 기성복보다 맞춤옷이 내 몸에 잘 맞는 것처럼 환자들에게 최적의 약물요법을 보장해 줄 것이다.
최근 한국인중 Cyp450 2D6란 효소의 레벨이 낮은 사람이 인구의 7% 정도에 이른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식약청은 이런 사람들에게는 이 효소에 의해 분해되는 약인 치오다리진을 처방할 수 없도록 조치한 바가 있다. 이처럼 ‘맞춤약학’은 환자의 안전성과 치료를 보장하는 ‘약물요법의 꿈’이다.
따라서 필자는 우리나라의 6년제 약학교육에서 임상약학이 지향해야 할 구체적인 목표는 ‘맞춤약학’이 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21세기는 꿈의 약물요법인 ‘맞춤약물요법의 시대’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