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근거의 표준한약처방 2018
한국·중국·일본 한약처방 최신 연구 결과의 종합판
의약품은 의학적인 안전성 및 유효성을 확보하여, 법적으로 일정한 규격으로 생산되어 유통과정을 거쳐야 한다. 현재 ‘한약’, ‘한약제제’는 의약품의 모든 조건이 완비 안된 상태이지만, 환자에게 투여되고 있다.
이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기성한의서에 수재된 ‘한약’의 탕액 (한방의료기관)이나 제제 (제약회사)는 안전성과 유효성을 면제하는 정책을 유지함으로써, 가능케 된 상황이다. 중국 문화권에서 오랫동안 같은 전통한약을 사용하여 온 중국, 일본의 담당 부처 또한 같은 입장의 한약 관리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기조가 한국의 의사, 한의사, 약사 계층에서 ‘한약’을 이야기할 때, 매우 뜨거운 이슈로 작용하지만, 결국 입구와 출구를 알 수없는 딜레마에 빠질 수밖에 없는 문제이다. 이 딜레마를 극복할 수 있는 아주 작은 실마리의 시작이, 현재까지 문병 사회에서 환자들이 복용하는 ‘한약처방’에 대해 과학적 자료를 조사 수집하고, 최소한 기본적으로 필요한 연구를 하는 방법이다.
한국한의학연구원 (원장 김종열)에서는 지금까지 한국 · 중국 · 일본에서 연구된 52종 한약처방에 대한 문헌, 이화학, 비임상실험과 임상시험까지의 자료를 조사하고 정리하여『과학적 근거의 표준한약처방』을 3월 30일 출간하였다.
기본 한약처방에 대한 기원, 역대 구성 약재 및 용량의 변화, 한약처방 구성 성분 구조식, 처방 성분 정량법, 세포 및 동물 실험을 통한 약리작용, 합성의약품과 한약처방 상호작용, 독성, 증례에서 임상시험 및 부작용에 관한 정보를 3700여 편 참고자료를 바탕으로 집대성하였다. 1970년대 논문부터 시작하여 최근 2017년 논문까지 조사하였고, 연구 결과를 인체 계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도록 ‘제7차 한국질병사인분류’ 에 따라 집필하였다.
지난 10년 동안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한의학연구원은 기존 ‘한약처방’의 안전성·유효성 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 때문에, 「표준한방처방 EBM 구축사업 (2008-2012)」, 「한약처방 과학적 근거 구축사업 (2013-2017)」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이들 사업의 결과로 『과학적 근거의 표준한약처방』발간되었다.
한의학연구원은 한약처방에 대한 다성분 분석을 통한 표준 품질 지침과 우수연구실기준(GLP: Good Laboratory Practice) 독성실험 및 기본적인 약리효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 매년 8월 마지막 주 일요일에, 이 책자를 중심으로 세미나를 개최하여, 한약처방의 과학화를 현장에 접근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한약처방’에 대한 다양한 자료가 임상의료 현장에서 보다 나은 진료와 복약지도를 통해 환자 질병을 치료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오늘의 헤드라인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