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가 아나토미 (3판 개정)
해부학적으로 쉽게 배우는 요가
![]() |
“요가 동작을 할 때, 호흡, 근육 및 관절 움직임과 관련한 해부구조를 엑스레이 필름 보듯 투영해서 볼 수 있도록 정리한 책이어서 요가를 통해 체계적으로 몸과 마음을 다스려 수행의 밝은 길로 나아가고자 노력하는 분들에게 좋은 안내서가 될 것입니다.”
에콜스 요가(KHECOLS Yoga)의 창시자로 KIST 대우교수, 동국대학교 융합요가학과 겸임교수, 호원대학교 요가학과 주임교수, 대통령 비서관 에콜스 요가 강사, 고려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비만클리닉 선임연구원 등을 역임한 원정혜 박사(고려대학교 이학박사‧동국대학교 철학박사)가 쓴 추천사의 한 구절이다.
초판과 2판에 걸쳐 전 세계 27개국 언어로 번역되어 100만부 이상 판매된 요가 부문의 베스트셀러 ‘요가 아나토미’의 최신 개정‧증보판인 제 3개정판이 출간됐다.
해부학적 접근을 통해 요가를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한 초판이 2007년 처음 발간된 이래 요가 지도자들과 요가인들의 ‘요가 교육과 수행 표준교재’로 채택된 ‘요가 아나토미’ 제3개정판은 개정판(2nd edition)에 이어 10년 만에 재출간된 것이다.
‘요가 아나토미’는 해부학, 운동학, 생리학 등의 시각으로 바라본 요가 아사나(asana: 자세, 움직임 및 호흡 수행)에 대한 책으로 호흡에서부터 선 자세, 전도 자세에 이르기까지 특정 근육이 관절의 움직임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자세의 변경이 어떻게 효과를 향상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지, 그리고 척추, 호흡 및 체위가 어떻게 모두 근본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제 3개정판은 ‘아나토미 스토리’,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챕터가 새로 추가되었고, ‘움직임, 티칭, 해부학, 척추와 호흡, 요가와 철학’에 대한 내용이 업데이트되면서 확장되었으며, 컬러 해부그림과 심층적인 정보가 이전 판보다 더 많이 담겨져 있는 등 전체적인 내용과 디자인이 보다 섬세하고 세련되게 다듬어진 것이다.
이에 따라 독자들이 보다 더 풍부하고 깊은 요가 지식을 얻게 해 줄 것으로 보이는 ‘요가 아나토미’는 입문자 뿐 아니라 오랜 기간 요가를 수련해 온 이들에게 완전히 새로운 관점에서 각각의 요가 동작을 보여주는 귀중한 지침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요가 아나토미’가 다른 요가 관련 책들과 구별되는 것은 특정 자세로 있는 방법을 뛰어넘어 시작 자세에서부터 최종 자세를 잡아가는 방법에 이르기까지 구체적으로 소개한다는 점에 있다.
예를 들면 호흡으로부터 선 자세, 팔로 지지한 자세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근육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자세의 변경이 어떻게 효과를 증진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지, 또한 척추, 호흡 및 체위가 어떻게 근본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설명해 주고 있다는 의미이다.
각각의 아사나를 관절 동작, 근육 작용, 지침, 지도지침, 호흡 등으로 간결하게 나눠 설명하고 있으며, 관절 동작과 근육 작용이 이해하기 쉽게 표로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는 점 또한 빼놓을 수 없어 보인다.
공동저자의 한 사람인 레슬리 카미노프(Leslie Kaminoff)는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요가 전문가로 요가와 호흡 해부학 분야에서 40년 이상의 경험을 쌓아왔으며, 요가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주요 요가 협회 및 학교를 위한 워크숍을 진행해 왔다.
국제 요가 콘퍼런스 창립 및 관련학회의 결성에 도움을 제공하고 있으며, 권위있는 요가 블로그 e-Sutra를 개설했으며, 큰 성공을 거둔 온라인 강좌 www.yogaanatomy.net을 포함해 다수의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했다.
또 다른 저자인 에이미 매튜스(Amy Matthews)는 1994년 이래 경험 해부학, 운동학, 발생학 및 발달 움직임을 교육학, 교육철학 및 움직임 수행에 대한 탐구와 통합된 소매틱(somatic) 인증 프로그램을 여러 대학 및 스튜디오에서 가르치고 있다.
바디마인드 센터링(Body-Mind Centering) 지도자, 유아 발달 움직임 교육자, 공인 움직임 분석가, 움직임 치료사이자 요가 지도자 등으로 활동하면서 레슬리 카미노프와 함께 브리딩 프로젝트의 고등 연구 프로그램을 개설했다.
역자들 가운데 한유창 박사(한의학)는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겸임교수, 도담한의원 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한방병원에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학취를 취득했으며,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이종하 교수(경희대학교 의과대학)는 재활의학과 전문의로 태릉선수촌 의무실장, 애틀란타‧시드니 올림픽 한국선수단 주치의, 대한체육회 의무분과위원, 대한축구협회 의무분과위원, 한국 도핑방지위원회 심사위원, 경륜‧경정 심사위원, KBO(한국야구위원회) 도핑자문위원 및 반도핑위원회 위원장, 대한보디빌딩협회 도핑방지위원장, 평창올림픽 의무전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오재근 교수(한국체육대학교 운동건강관리학과‧한의학박사)는 대한스포츠한의학회 명예회장, 아시아배구연맹 의무위원장, 대한배구협회 의무위원, 대학골프연맹 수석부회장 등을 맡고 있다.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고려대학교 체육대학원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기도 했다. 대한스포츠한의학회 회장, 방콕아시안게임 한국선수단 주치의, 대한체육회 의무분과위원 등을 역임했다.
4×6배판 변형 (180×254) 449페이지, 가격 3만2,000원
도서출판 푸른솔 刊 ‧ Tel: 02-704-2571 / E-mail: bookpark@cho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