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 타이틀 텍스트

'GMP 변경관리와 기술이전' 출간

전인구 의약품품질연구재단 회장 번역서

기사입력 2021-07-23 10:48     최종수정 2021-07-23 10:55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스크랩하기 목록보기   폰트크게 폰트작게

전인구 의약품품질연구재단 회장이 최근  'GMP 변경관리와 기술이전'이라는 번역서를 출간했다.

이 책자는  1장 각국 당국이 요구하는 위험 기반 변경관리, 2장 변경관리의 절차와 품질에 대한 영향 평가, 3장 FDA 경고장 및 EMA 부적합 보고서에서 본 변경관리의 미비, 4장 변경 사례와 위험성, 5장 기술이전, 도출로 구성돼 있다.

또 부록으로 의약품동등성시험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20-91호(2020. 9. 22, 개정)] 의약품동등성시험 가이드라인이 실려 있다. 

전인구 회장은 2017년 일본에서 발간된 「GMP 변경관리와 기술이전: 위험 기반 평가와 신청의 개념」이라는 서적이 실무적인 많은 사례를 포함하였기에, 국내 관계자들이 산업 현장에서 변경관리 및 품질 위험 관리에 참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의약품은 제조 품목 허가(신고)를 득한 이후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에 걸쳐 원료 약품 및 그 분량, 원재료의 구입처, 제조 방법, 제조 규모, 제조 장소, 기계 설비, 원재료의 시험 방법, 공정 중 관리 및 품질관리 등의 측면에서 여러 변경 요인이 발생한다.

우리나라는 ICH 회원국이 되면서 ICH Q8, Q9, Q10, Q11 및 Q12의 품질 가이드라인에 적합하게 품질을 관리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오중주 속에서 변경관리에 대해서도 위험품질 영향 평가를 위험(risk)에 기반하게 되었다.

아울러 우리나라는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에 따라 식약처「의약품 동등성 시험 기준」 및 의약품 동등성 시험 가이드라인을 고시로 설정하여 변경 수준의 등급에 따라 비교 용출 시험, 비교 붕해 시험,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을 실시하고 있고, 제형에 따라서는 이화학적 동등성 시험을 실시하여 동등성을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해당책자 문의는 연구재단 사무국(진수아 : 02-359-2090, pharmq.jin@gmail.com)으로 하면 된다.


기사공유   트위터   페이스북   싸이공감   구글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뉴스홈으로    이전페이지로    맨위로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남들보다 작은 우리 아이, 성장호르몬 치료 괜찮을까?
[레츠고 U.P-바이오시밀러 7] “도입만으로도 약가 인하·치료 접근성 확대 등 파급효과”
비만 넘어 심혈관계 질환까지 잡은 치료제 ‘위고비’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GMP 변경관리와 기술이전' 출간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GMP 변경관리와 기술이전' 출간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