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 타이틀 텍스트

재미언론인 출신 민병임씨(한국명 이병임) 자전적 소설 "꿈"

한국의 근현대 역사 속에 살았던 가족 3대의 이야기 담은 장편 소설.

기사입력 2025-03-19 16:35     최종수정 2025-03-19 16:45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스크랩하기 목록보기   폰트크게 폰트작게

재미언론인 출신 민병임씨(한국명 이병임)의 자전적 소설  "꿈"이 최근 발간됐다.

이 소설은 190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한국의 지난했던 역사 속에서 살았던 가족 3대의 이야기를 담은 장편 소설이다.

소설의 내용 1부는 일제강점기에 수시로 형무소를 들락거렸고 해방 이후 북으로 간 ‘혁명가’이자 가족애가 넘쳤던 인물인 할아버지 이명근의 시각으로,  2부는 손녀 이지유의 시각으로 그의 눈에 비친 부모의 삶이 어울러져  전개된다.

저자인 이병임씨는 서문에서 미국에 살면서 왜 한글로 소설을 쓰기 시작했는지에 대한 물음에  대해 "1995년 강연차 뉴욕을 방문한 최명희 작가가 미국에서 한글로 글을 쓰면 국경선이 여기까지 확장된 것이라고 말한  한마디가 나에게 용기를 주었다. 한글로 쓰는 내가 그 안에 있다"라고  답하며 작가로서 걸어온 인생여정에 대해  밝혔다.

이 소설을 쓴 이병임씨는 단국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했으며 잡지사 여원에서 기자생활을 한 후  1989년 도미 뉴욕한국일보사에 입사,  2024년 퇴임하기까지 35년간 근무한 언론인 출신이다. 미주한국일보 재직시 민병임칼럼 '살며 느끼며' 코너를 통해 약 1400여편의 글을 게재하기도 했다.

이 작가는 1997년 미주한국일보와 미주중앙일보 신춘문예 소설부문에 입상했으며 1997년 소설 '생명'으로 미동부 한인문인협회 신인작품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올해 3월초 대중에게 첫 선을 보인 이 소설 꿈을 읽은 독자들은 다음과 같은 후기를 남기기도 했다.

"오랫만에 소설책 한 권을 단숨에 읽었습니다. 드라마를 보듯 다음 이야기가 궁금해져서 책장을 넘기다가 결국 다큐멘터리 한편을 본 느낌이 들었습니다."

"지나간 역사속에서 독립운동가로 한평생을 바친 외할아버지, 연좌제에 묶여 꼼짝달삭 못하고 숨죽인 채 한 세월을 살아가신 엄마, 그리고 좌우대립의 이념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살고자 하는 나로 이어지는 이야기는 우리 주변의 삶들과도 무관하지 않게 여겨집니다."

 

 

기사공유   트위터   페이스북   싸이공감   구글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뉴스홈으로    이전페이지로    맨위로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비아트리스의 길, 한국에서 다시 시작된다”
앨리스랩 신재원 대표 “검증 안된 건기식 원료 난립…약국은 달라야 한다”
윤종배 인천시약사회장 “변화 중심에서 진정한 약사의 길을 찾겠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재미언론인 출신 민병임씨(한국명 이병임) 자전적 소설 "꿈"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재미언론인 출신 민병임씨(한국명 이병임) 자전적 소설 "꿈"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