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와 현대 작가의 기념비적인 만남, 한국미의 레이어
K-Art에 담긴 전통미감, 나만의 눈맛은?
전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K-아트, 우리는 과연 한국미를 무엇이라 말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한 확실한 대답을 줄 수 있는 책이 나왔다. 한국의 아름다움이 응축된 K-Art는 이제는 마냥 애국심을 불러일으키는 키워드가 아니다. Art에 K를 붙인 만큼 현재 K-Art는 전 세계의 주목을 받는 것뿐만 아니라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어가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서 우리는 한 가지 물음을 던지게 된다. ‘한국미란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다는 한국미는 무엇이길래 저렇게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걸까. 필자는 한국미에 대한 모호한 현장에너지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미’를 어제와 오늘의 관점에서 주목했다.
한국미란 “이 땅에 살며 스미듯 이어온 한국인의 독특한 활력”
한국미를 전통의 영역에서만 떠올리는 우리의 생각은 ‘서구화된 시각 속에서 오늘의 예술’이 규명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한국미는 역사 속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실제 필자의 책은 한국미를 과거에만 있는 아름다움이 아니라 과거로부터 이어져 현재까지도 활발한 세계를 구축하고 있음을 파헤친다. 한국미에 대한 모호한 개념이 아닌 26점의 문화재(헤리티지)와 26명의 현대 작가를 매칭해 보다 많은 사람이 한국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했다. 부제인 눈맛의 발견은 예술 작품을 대할 때 ‘눈맛’ 즉, 눈으로 보는 즐거움을 독자 스스로 키울 수 있도록 ‘눈맛의 발견’ 챕터를 넣어 일상 속에서 ‘눈맛’을 발견케 한다. 더불어 글로벌 시대에 활발히 뻗어나가는 한국미에 발맞춰 부록은 영문 버전으로 26명의 현대 작가의 한국미에 관한 생각을 간략하게 정리해, 마치 갤러리에서 작가들의 대표작을 보듯 K-Art를 누구에게나 소개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목차는 크게 “전통미술 열풍, 한국미로 거듭난 K-Art”를 시작으로 제1부 도자기, 빛과 색의 레이어, 제2부 서화, 그림과 글씨의 레이어, 제3부 공예와 건축, 통감각적 레이어를 살핀다. 한국미술사의 흐름을 주요 작품들을 통해 도자-서화-건축 및 공예로 나눠, 현대작가와의 매칭 속에서 비교/대조하는 방식을 채택한 것이다. 이는 미술작품을 보는 방식을 ‘어제와 오늘’의 관점에서 이해해 다양한 시·공간을 흐름과 네트워크의 측면에서 살펴보는 시도이다. 한석준 아나운서는 추천의 글에서 “한국미는 궁궐의 화려함과 민가의 소박한 조우에서 오는 단순한 아름다움이다. 한국미를 어제와 오늘의 대화 속에서 모색한 『한국미의 레이어』를 통해 당신만의 눈맛을 발견하길 바란다.”고 말한다. 한국미의 정의를 새롭게 쓰면서, 문화재와 현대 작가의 조우 그리고 새로운 인터뷰 형식의 꼴을 한, 진정한 ‘눈맛’을 키우고 싶은 사람의 인식전환을 유도한 것이다.
문화강국 K(KOREA)의 시선, 이제 내부로부터 발현할 때
K-Art, K-Pop, K-Movie, K-Drama, K-Food 이들의 단어에는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단어가 있다. 바로 K(KOREA)다. 이제 한국은 더 이상 동양의 저 멀리 어딘가 있는 고요한 아침의 나라가 아니다. 한국을 잘 모르는 외국인들이 친숙하게 알법한 인물들을 나열하는 두유 노 시리즈가 필요 없을 만큼 어엿한 문화 강국이 되었다. 이에 발맞춰 한국 미술계에도 이러한 바람이 불었는데, 프리즈의 한국 진출부터 시작해 한국 현대미술을 소개하는 대규모 전시가 세계 곳곳에서 열렸다. 여기서 안주하지 않고 K-Art 즉, 한국의 아름다움. 한국미를 더 발전시키는 것이 시대의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 전에 한가지 물음이 떠오른다. 그렇다면 한국미는 무엇인가. 한국미는 전통, 즉 과거에 머물러 있는 아름다움이 아니다. 여전히 활발히 유영해 현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와 그리고 미래에도 연결되어 있어 고루한 것이 아닌 새로운 것을 탑재한 원형이다. 저자 안현정은 한국미의 개념을 모호한 단어들을 나열해 현학적으로 풀어쓰지 않았다.
대중들에게 익히 알려지고 친숙한 26점의 문화재와 26명의 현대 작가를 매칭시켰다. 과거-현재-미래를 관통하는 그야말로 ‘한국미스럽게’ 다가간 것이다. 분청사기, 달항아리, 고려불화, 달마도, 창령사터 나한상, 미인도, 창덕궁 인정전 등 26점의 문화재를 김근태, 최영욱, 신제현, 한상윤, 신미경, 김미숙, 하태임 등 26명의 유명 현대 작가와 연결 지어 이 책을 통해 과거에서부터 현대 그리고 미래까지 뻗어나가는 ‘한국인의 독특한 활력’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안현정씨는 예술철학전공 철학박사출신의 문화평론가이자 방송인으로 현재 성균관대학교박물관 학예관, 유중재단 이사, 고려사이버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겸임교수를 맡고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네이처셀, 미국 FDA에 중증 퇴행성관절염 줄기세포치료제 조인트스템 RMAT 지정 신청 |
2 | 화이자, 이찬원과 함께 '프리베나 13' 광고 진행 |
3 | 2024년 상반기 영업이익 톱5 삼바∙한미약품∙셀트리온∙대웅제약∙종근당 |
4 | 2024년 상반기 순이익 톱5 삼바∙한미약품∙셀트리온∙종근당∙보령 |
5 | 메지온,주주간담회서 폰탄치료제 'JURVIGO' 미국 FDA 임상3상 설명 |
6 | 천연두 백신, '엠폭스' 감염 예방용 확대 미국 FDA 승인 |
7 | 세계 바이오업계 초미 관심 미국 '생물보안법' 다음주 '패스트트랙' 표결 |
8 | PA 간호사법 통과...김종환 약사 "이젠 약사도 의료인 되자" |
9 | [약업닷컴 분석] 8월 바이오 '3상 5건'…나스닥 '수트로 바이오파마' ADC 국내 2상 본격화 등 |
10 | 제이앤피메디,FDA 인허가 전문가 곽수영 이사 영입..글로벌 임상 경쟁력 강화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문화재와 현대 작가의 기념비적인 만남, 한국미의 레이어
K-Art에 담긴 전통미감, 나만의 눈맛은?
전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K-아트, 우리는 과연 한국미를 무엇이라 말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한 확실한 대답을 줄 수 있는 책이 나왔다. 한국의 아름다움이 응축된 K-Art는 이제는 마냥 애국심을 불러일으키는 키워드가 아니다. Art에 K를 붙인 만큼 현재 K-Art는 전 세계의 주목을 받는 것뿐만 아니라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어가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서 우리는 한 가지 물음을 던지게 된다. ‘한국미란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다는 한국미는 무엇이길래 저렇게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걸까. 필자는 한국미에 대한 모호한 현장에너지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미’를 어제와 오늘의 관점에서 주목했다.
한국미란 “이 땅에 살며 스미듯 이어온 한국인의 독특한 활력”
한국미를 전통의 영역에서만 떠올리는 우리의 생각은 ‘서구화된 시각 속에서 오늘의 예술’이 규명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한국미는 역사 속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실제 필자의 책은 한국미를 과거에만 있는 아름다움이 아니라 과거로부터 이어져 현재까지도 활발한 세계를 구축하고 있음을 파헤친다. 한국미에 대한 모호한 개념이 아닌 26점의 문화재(헤리티지)와 26명의 현대 작가를 매칭해 보다 많은 사람이 한국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했다. 부제인 눈맛의 발견은 예술 작품을 대할 때 ‘눈맛’ 즉, 눈으로 보는 즐거움을 독자 스스로 키울 수 있도록 ‘눈맛의 발견’ 챕터를 넣어 일상 속에서 ‘눈맛’을 발견케 한다. 더불어 글로벌 시대에 활발히 뻗어나가는 한국미에 발맞춰 부록은 영문 버전으로 26명의 현대 작가의 한국미에 관한 생각을 간략하게 정리해, 마치 갤러리에서 작가들의 대표작을 보듯 K-Art를 누구에게나 소개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목차는 크게 “전통미술 열풍, 한국미로 거듭난 K-Art”를 시작으로 제1부 도자기, 빛과 색의 레이어, 제2부 서화, 그림과 글씨의 레이어, 제3부 공예와 건축, 통감각적 레이어를 살핀다. 한국미술사의 흐름을 주요 작품들을 통해 도자-서화-건축 및 공예로 나눠, 현대작가와의 매칭 속에서 비교/대조하는 방식을 채택한 것이다. 이는 미술작품을 보는 방식을 ‘어제와 오늘’의 관점에서 이해해 다양한 시·공간을 흐름과 네트워크의 측면에서 살펴보는 시도이다. 한석준 아나운서는 추천의 글에서 “한국미는 궁궐의 화려함과 민가의 소박한 조우에서 오는 단순한 아름다움이다. 한국미를 어제와 오늘의 대화 속에서 모색한 『한국미의 레이어』를 통해 당신만의 눈맛을 발견하길 바란다.”고 말한다. 한국미의 정의를 새롭게 쓰면서, 문화재와 현대 작가의 조우 그리고 새로운 인터뷰 형식의 꼴을 한, 진정한 ‘눈맛’을 키우고 싶은 사람의 인식전환을 유도한 것이다.
문화강국 K(KOREA)의 시선, 이제 내부로부터 발현할 때
K-Art, K-Pop, K-Movie, K-Drama, K-Food 이들의 단어에는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단어가 있다. 바로 K(KOREA)다. 이제 한국은 더 이상 동양의 저 멀리 어딘가 있는 고요한 아침의 나라가 아니다. 한국을 잘 모르는 외국인들이 친숙하게 알법한 인물들을 나열하는 두유 노 시리즈가 필요 없을 만큼 어엿한 문화 강국이 되었다. 이에 발맞춰 한국 미술계에도 이러한 바람이 불었는데, 프리즈의 한국 진출부터 시작해 한국 현대미술을 소개하는 대규모 전시가 세계 곳곳에서 열렸다. 여기서 안주하지 않고 K-Art 즉, 한국의 아름다움. 한국미를 더 발전시키는 것이 시대의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 전에 한가지 물음이 떠오른다. 그렇다면 한국미는 무엇인가. 한국미는 전통, 즉 과거에 머물러 있는 아름다움이 아니다. 여전히 활발히 유영해 현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와 그리고 미래에도 연결되어 있어 고루한 것이 아닌 새로운 것을 탑재한 원형이다. 저자 안현정은 한국미의 개념을 모호한 단어들을 나열해 현학적으로 풀어쓰지 않았다.
대중들에게 익히 알려지고 친숙한 26점의 문화재와 26명의 현대 작가를 매칭시켰다. 과거-현재-미래를 관통하는 그야말로 ‘한국미스럽게’ 다가간 것이다. 분청사기, 달항아리, 고려불화, 달마도, 창령사터 나한상, 미인도, 창덕궁 인정전 등 26점의 문화재를 김근태, 최영욱, 신제현, 한상윤, 신미경, 김미숙, 하태임 등 26명의 유명 현대 작가와 연결 지어 이 책을 통해 과거에서부터 현대 그리고 미래까지 뻗어나가는 ‘한국인의 독특한 활력’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안현정씨는 예술철학전공 철학박사출신의 문화평론가이자 방송인으로 현재 성균관대학교박물관 학예관, 유중재단 이사, 고려사이버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겸임교수를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