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의 아들, 세조
한국 전쟁 당시, 대구로 이전했다가 서울 명동에 자리 잡았던 국립극장은 1973년 남산 자락에 터를 잡아 신축 개관하고 현재에 이른다. 남산 이전 50주년을 기념하는 연말 기획 공연 <세종의 노래: 월인천강지곡>이 오는 12월 무대에 오른다. 국립국악관현악단과 국립무용단, 국립창극단 등을 비롯해 300여 명이 무대에 오르는 대규모 칸타타로, 손진책(연출)․박범훈(작곡, 지휘)․국수호(안무) 등 원로 예술가들이 진두지휘하는 대작을 만날 기회다.
즈믄 가람 비추는 달의 노래, 『월인천강지곡』은 책 세 권 분량의 찬불가(讚佛歌)다. 세종 임금이 먼저 떠난 소헌왕후 심씨를 위해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종의 아내이자 문종과 세조의 어머니이고 단종과 예종의 할머니이기도 했던 소헌왕후는 세종 28년인 1446년에 둘째 아들인 수양대군의 자택에서 유명을 달리한다. 어머니에 대한 효심이 지극했던 수양대군은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담은 『석보상절』을 편찬했는데, 세종이 그 내용에 맞추어 부처의 공덕을 노래로 읊은 것이 월인천강지곡이다. 상․중․하 세 권 중, 오늘날까지 전하는 것은 190여 곡이 실린 상권 그리고 중권의 낙장(落張) 몇 장뿐이다. 훗날 세조가 석보상절과 월인천강지곡을 함께 엮어 『월인석보』를 간행함으로써, 월인석보에 실린 곡까지 모두 합해 440곡가량이 현전한다.
소헌왕후는 왕자였던 충녕군과 혼인해 8남 2녀를 두는 동안 세자빈이 되고 왕후의 자리에까지 올랐다. 희대의 성군을 지아비로 두었으나 시아버지에 의해 친정이 숙청당하는 수모를 겪었고, 두 임금의 어머니이자 두 임금의 할머니이기도 하였으나 아들과 손자가 왕이 되는 것을 생전에 보지는 못하였다. 그의 사후에 일어난 골육상잔의 비극 역시 보지 못한 것은 차라리 다행이었다.
세조실록 총서의 첫 장을 읽어보면, 폭군으로 기억되는 세조의 이면과 아버지 세종과의 관계가 어떠했는지 등을 짐작해볼 수 있는 대목이 보인다.
송신례(送神禮)는 조상의 혼령을 보내드리는 절차다. 세조가 악을 짓고, 최항으로 하여금 노랫말을 쓰게 한, 송신하는 악의 마지막 구절은 이러하다. ‘내 발을 제겨디디고 멀리 바라보니, 공벽(空壁)이 아득하도다.’
김보람 씨는 동국대학교 문예창작학과와 영상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를 졸업했으며, 국립국악원에서 소식지 국악누리 제작을 담당하고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삼천당제약,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시작 |
2 | 제약바이오 3분기 평균 총차입금 코스피 2353억원, 코스닥 589억원...전년비↑ |
3 | 유통업계, 물류대전 심화된다 |
4 | 제약바이오 3분기 이자비용 및 이자보상배율...코스피 증가, 코스닥은 감소 |
5 | AZㆍ다이이찌 산쿄 새 유방암 치료제 FDA 승인 |
6 | 미국 WHO 이탈…한국 공중보건·외교 전략은 어디로? |
7 | 오젬픽·위고비 핵심성분 '세마글루타이드' 희귀 안과질환 상관성 조사 개시 |
8 | 제약바이오 3분기 총차입금의존도...전년比 코스피 감소, 코스닥은 증가 |
9 | 화장품기업 2024년 3분기 총차입금의존도 17.26% …전년比 0.05%p↓ |
10 |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 "사노피 빅딜 뛰어넘는 L/O 임박"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세종의 아들, 세조
한국 전쟁 당시, 대구로 이전했다가 서울 명동에 자리 잡았던 국립극장은 1973년 남산 자락에 터를 잡아 신축 개관하고 현재에 이른다. 남산 이전 50주년을 기념하는 연말 기획 공연 <세종의 노래: 월인천강지곡>이 오는 12월 무대에 오른다. 국립국악관현악단과 국립무용단, 국립창극단 등을 비롯해 300여 명이 무대에 오르는 대규모 칸타타로, 손진책(연출)․박범훈(작곡, 지휘)․국수호(안무) 등 원로 예술가들이 진두지휘하는 대작을 만날 기회다.
즈믄 가람 비추는 달의 노래, 『월인천강지곡』은 책 세 권 분량의 찬불가(讚佛歌)다. 세종 임금이 먼저 떠난 소헌왕후 심씨를 위해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종의 아내이자 문종과 세조의 어머니이고 단종과 예종의 할머니이기도 했던 소헌왕후는 세종 28년인 1446년에 둘째 아들인 수양대군의 자택에서 유명을 달리한다. 어머니에 대한 효심이 지극했던 수양대군은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담은 『석보상절』을 편찬했는데, 세종이 그 내용에 맞추어 부처의 공덕을 노래로 읊은 것이 월인천강지곡이다. 상․중․하 세 권 중, 오늘날까지 전하는 것은 190여 곡이 실린 상권 그리고 중권의 낙장(落張) 몇 장뿐이다. 훗날 세조가 석보상절과 월인천강지곡을 함께 엮어 『월인석보』를 간행함으로써, 월인석보에 실린 곡까지 모두 합해 440곡가량이 현전한다.
소헌왕후는 왕자였던 충녕군과 혼인해 8남 2녀를 두는 동안 세자빈이 되고 왕후의 자리에까지 올랐다. 희대의 성군을 지아비로 두었으나 시아버지에 의해 친정이 숙청당하는 수모를 겪었고, 두 임금의 어머니이자 두 임금의 할머니이기도 하였으나 아들과 손자가 왕이 되는 것을 생전에 보지는 못하였다. 그의 사후에 일어난 골육상잔의 비극 역시 보지 못한 것은 차라리 다행이었다.
세조실록 총서의 첫 장을 읽어보면, 폭군으로 기억되는 세조의 이면과 아버지 세종과의 관계가 어떠했는지 등을 짐작해볼 수 있는 대목이 보인다.
송신례(送神禮)는 조상의 혼령을 보내드리는 절차다. 세조가 악을 짓고, 최항으로 하여금 노랫말을 쓰게 한, 송신하는 악의 마지막 구절은 이러하다. ‘내 발을 제겨디디고 멀리 바라보니, 공벽(空壁)이 아득하도다.’
김보람 씨는 동국대학교 문예창작학과와 영상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를 졸업했으며, 국립국악원에서 소식지 국악누리 제작을 담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