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시그널
클래시그널[CLASSI그널]
원종원의 커튼 콜
원종원
입력 2023-05-19 11:50 수정 최종수정 2023-05-19 11:57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댄스 시퀀스가 아름답던 추억의 명화를 무대로 소환하다, 뮤지컬 더티 댄싱

1960년대 미국순진한 소녀 프랜시스는 가족들과 함께 여름휴가차 별장을 찾는다시시한 레크레이션 프로그램에 싫증을 느낄 무렵그녀는 우연히 청춘남녀의 비밀 댄스파티를 목격한다욕망 가득한 몸짓과 화려한 춤사위가 돋보이는 더티 댄싱이었다그곳에서 프랜시스는 휴양지의 댄스 선생인 자니를 알게 된다

자니는 곤경에 처해 있다댄스 파트너였던 페니가 원치 않은 임신으로 춤을 추지 못하게 됐기 때문이다호기심과 그를 돕고 싶은 마음에 프랜시스는 부모 몰래 자니로부터 춤을 배우고그 과정에서 첫사랑도 경험한다문제는 의사였던 프랜시스의 아버지가 페니의 임신이 자니 때문이라고 오해를 한 것엎친데 덮친격으로 휴양지에선 도난사건이 벌어지고자니는 용의자로 몰리게 된다프랜시스는 그의 알리바이를 위해 밤새 함께 춤 연습을 한 사실을 고백하게 되고화가 난 프랜시스의 아버지는 자니를 해고하도록 휴양지에 영향력을 행사한다극의 마지막모든 오해가 풀리고 프랜시스와 자니는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는 마지막 춤 그리고 기가 막힌 리프트를 성공하면서 대단원의 막이 내린다. 1987년 개봉해 전세계적인 인기를 누렸던 영화 더티 댄싱(Dirty Dancing)’의 줄거리다지금은 뮤지컬로 탈바꿈해 사랑받고 있는 인기 콘텐츠이기도 하다.

더티댄싱 의 한 장면 

영화는 에일리 아돌리노가 연출을 맡았었다이탈리아 이민자 집안에서 태어난 그는 춤에 대한 열정이 가득했던 인물로 우리에겐 또다른 히트 영화 시스터 액트의 감독으로도 유명하다두 작품 모두 음악에 대한 해석이 남달랐던 당시 최고의 인기를 구가했던 빅스크린용 영화들이다특히, ‘더티 댄싱은 5백만 달러의 저예산으로 제작돼 2억 1390만 달러의 박스 오피스를 기록해 자그마치 40배가 넘는 수익을 달성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1980년대말 영화계를 휩쓸던 로맨스 붐의 단초를 마련했던 작품이라 인정할 만하다영화의 3/4이 춤에 대한 내용이거나 춤추는 장면이 등장했던 이 영화는 가정용 비디오만 100만개 이상이 팔려나간 최초의 영화였으며영화음악이 수록된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앨범은 더블 플래티넘 어워즈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뮤지컬로 탈바꿈된 것은 2004년부터다시드니에서 막을 올렸던 호주 프로덕션이었는데 무대로 다시 만나는 클래식 러브 스토리(The Classic Story on Stage)라는 부제가 뒤따랐다무대는 아무래도 영화의 매력을 고스란히 이식하기 위한 다양한 특수효과와 비주얼 장치를 추가하는 노력을 잊지 않았는데 덕분에 6500만 달러라는 어마어마한 제작비로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이미 영화를 추억하고 있는 중장년 관객들을 실망시키지 말아야 하는 부담이 작용한 셈인데덕분에 무대는 마치 입체로 재구성된 영화를 만나는 듯한 재미를 담아내 마니아 관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일으켰다. 6개월여 기간 동안 이어진 초연 무대는 총 20만명이 넘는 관객을 극장으로 불러들이는 흥행을 달성했고독일네덜란드캐나다영국 등에서 각각의 독립적인 프로덕션이 꾸며지는 글로벌한 성공을 이뤄냈다
 

배우에 얽힌 뒷이야기도 흥미롭다영화에서 주연을 맡았던 패트릭 스웨이지는 원래 어려서부터 춤을 자주 접했던 환경에서 자랐다사실 그의 어머니는 발레리나 출신이고아버지는 발레 스쿨의 대표였기 때문이다부인인 라이자 니에미를 만날 수 있었던 이유도 그녀가 15살 때부터 스웨이지의 어머니에게 발레를 배웠던 학생이었던 탓이다스웨이지는 더티 댄싱으로 일약 세계적인 영화배우로 등극했고, 3년 후에는 우리에게 사랑과 영혼이라는 제목으로 익숙한 영화 고스트(Ghost, 1990)’에서 데미무어와 함께 등장해 명실상부한 영화계 최고의 인기 스타로 인정받게 된다그와 함께 스크린을 장식했던 제니퍼 그레이의 별난 개인사도 호사가들에겐 유명한 가십이다미국의 유명 뮤지컬 배우인 조엘 그레이의 딸이었던 그녀는 뽀글뽀글한 곱슬머리로 사춘기 첫사랑을 경험하는 프랜시스 베이비 역할을 완성해 큰 인기를 누렸다하지만 안타깝게도 스웨이지가 고스트로 절정의 인기를 누렸던 1990그녀는 잘못된 성형수술의 후유증으로 심지어 가까운 친구들조차 알아보지 못하는 변화를 겪게 된다. “나는 유명인(Celebrity)으로 수술에 들어가 무명배우로 그곳에서 나왔다며 마치 증인보호 프로그램으로 들어가 나란 존재가 사라져버린 것 같다라고 밝혀 주변을 안타깝게 만들기도 했다.

더티댄싱 의 한 장면 

뮤지컬로 각색되며 스웨이지가 그려냈던 극중 인물을 과연 누가 재연해낼 것인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무대를 주름잡으며 사랑받았던 초연 배우는 시드니 댄스 컴퍼니의 멤버이자 무용수였던 조셉 브라운이었다유려한 춤 솜씨는 말할 나위 없고공연 도중 웃옷을 벗고 상체를 드러내 잔 근육까지 보여주며 춤을 추다가 여성관객과 눈이 마주치면 윙크까지 날리는 여유와 낭만으로 박수갈채를 이끌어냈다. 2000년대 초반직접 만나러 찾았던 런던 공연장에서 극에 심취한 영국 여성이 공연 끝나고 뭐하니?”라며 큰 소리로 환호해 객석을 웃음바다로 만들었던 경험은 잊지 못할 추억이다배우도 갑작스런 상황에 터져 나오는 웃음을 참지 못해 쩔쩔매던 모습이 생생히 기억난다.  

 이 뮤지컬의 압권은 당연히 엔딩 씬의 리프팅 장면이다영화에서는 균형을 잡기 위해 바다에서 연습을 하다가 남녀 배우가 파도속으로 쓰러지는 반복된 연습 끝에 마침내 휴양지 공연장 객석 통로에서 멋지게 성공해내는 장면으로 환희를 느끼게 했다흥미로운 것은 무대용 뮤지컬로 탈바꿈되며 정말 공연장 통로에서 리프팅을 시연해낸다는 점이다균형을 이루지 못하면 꼼짝없이 관객 머리위로 쓰러질 깜짝 놀랄 장면이지만매번 실수없이 구현해 내며 관객들의 환호를 이끌어냈다영화음악으로도 큰 인기를 누렸던 내 인생 최고의 순간(The Time of My Life)’가 목 놓아 불리어지면 공연장은 뜨거운 열기로 가득해진다. ‘더티 댄싱의 우리말 공연은 언제쯤 만날 수 있을까무척이나 보고픈 무대 위 명장면이다.

 

 

<필자소개>  

원종원씨는 한국외대 재학 시절영국을 여행하다가 만난 뮤지컬의 매력에 빠져 활동을 시작했다뮤지컬 저변을 확대하고자 국내 최초로 PC통신을 통해 동호회를 결성관극운동을 펼쳤다. TV의 프로듀서와 일간지 기자,특파원을 거쳤으며,  현재 일간지와 경제지 등 여러 매체에 뮤지컬 관련 칼럼을 연재해오고 있다대학(순천향대 공연영상학과 강단에 서고 있는 지금도 자타가 공인하는 뮤지컬 마니아이자 전문 평론가로 지면과 방송 등을 종횡무진 누비고 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원종원의 커튼 콜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원종원의 커튼 콜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