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 60주년, 위창 오세창 서거70주년 기념해 ‘수장고’ 활짝 열려
한국미의 레이어를 ‘명품도자-한국 현대추상’과 매칭해 선보여
1964년 개관한 성균관대 박물관(관장 김대식)이 동아시아학술원(원장 김경호)의 존경각(尊經閣)과 손잡고 ‘국가지정유물’ 등 주요 소장품을 선보이는 《성균관의 보물, Layers of culture》(5월 23일~2024년 3월 31일)를 개최한다. 2000년 동아시아학술원의 출범과 함께 개관한 존경각은 동아시아학 연구의 기반 조성과 효율적 지원을 위하여 설립한 동아시아학 전문 자료정보센터로, 본래 명칭은 조선조 성종 6년(1475년) 성균관(成均館)에 설립되어 수백 년 동안 성균관 유생(儒生)들의 학문 연구를 지원하였던 최초의 대학도서관에서 유래한다. 현재 존경각은 고전서적(古典書籍) 8만여책과 동아시아학 관련 학술서적 및 일반자료 1만여권을 소장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존경각이 소장한 국가지정보물과 서화, 6m에 달하는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사주당이씨의 태교신기(胎敎新記), 심산선생 친필 간찰 등이 최초 공개된다. 특히 두 기관이 소장한 ‘중요 소장품’들을 어제와 오늘/비교·대조라는 ‘한국문화의 다층구조(Layers of K-culture)’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유물을 인식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것이다.
한국문화의 레이어를 열다. 6미터 대동여지도 실견 기회
Layers of Culture(문화의 레이어)라는 부제는 최근 ‘한국 전통문화의 미적 구조’을 설명할 때 자주 언급되는 말로, 전통건축·복식·배채로 표현된 초상화와 고려불화·도자 및 칠기, 고문서 등 내·외연의 깊이를 구조적으로 설명하는 ‘미적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존경각은 성균관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한 수많은 고서적을 보관해 왔으며, 수장고에 잠들어 있던 이들의 가치는 교육적 활용과 전시를 통해 발굴했을 때 더욱 빛을 발한다. 전시는 크게 1부 존경각의 보물, 2부 박물관의 보물, 3부 한국미의 레이어라는 시각에서 구성한다. 특히 2024년은 박물관설립 60주년, 2023년은 위창 오세창 선생 서거 70주년에 해당되므로 ‘전시 속 전시’로서 다양한 신수 유물들과의 관계 속에서 ‘한국문화 지킴이’로서의 ‘성균관대학교’의 위상을 제고하고자 한다.
![]() |
1부 존경각의 보물에서는 기축년(1589, 선조22) 7월 29일부터 그해 9월 27일까지 승정원(承政院)을 통해 처리된 왕명의 출납, 행정 사무 등이 기록된 ‘선조기축년사초(宣祖己丑年史草)’가 공개된다. ‘기축일기’는 현재 남아 있는 ‘승정원일기’보다 앞선 시기의 자료이며, 현존하지 않는 임진왜란 이전에 작성되었던 ‘승정원일기’의 일면을 볼 수 있는 희귀한 사료이다. 총 5책 50권으로 구성된 춘추경좌씨전구해(春秋經左氏傳句解)는 발문과 간기를 통해 1431년(세종 13) 경상도 청도에서 원판본을 번각한 완질이 확인되지 않은 고간본(古刊本)이다. 주목할 자료는 태교의 중요성을 깨달아 그 이론과 실제를 체계적으로 정립한 최초의 태교법 사주당이씨(師朱堂李氏, 1739∼1821)의 ‘태교신기’로, 경서와 의학서에 종합한 저술이다.
![]() |
2부 박물관의 보물에서는 보물로서의 가치를 받고 있는 위창 오세창(1864-1953)의 ‘근묵(槿墨)’(1,136점, 34첩) 관련 유물과 김천리 개국원종공신녹권(金天理 開國原從功臣錄券) 등이 선보인다. 위창이 80세가 되던 해인 1943년에 완성한 근묵은 우리나라를 뜻하는 ‘근역(槿域)’과 먹으로 쓴 글씨를 의미하는 ‘묵적(墨蹟)’의 결합어로, 한국 역대 명사들의 진적을 모은 서첩이다. ‘근역서휘(槿域書彙)’(1911)와 더불어 한국 역대 인물의 친필 진적을 싣고 있는 보물로 평가받는다. 공신녹권(功臣錄券)은 태조 4년(1395)에 이성계의 조선 건국에 공로가 있는 김천리(金天理)에게 공신도감에서 발급한 것이다. 실제로 최근 근묵은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번 전시의 하이라이트는 존경각 소장의 ‘대동여지도’의 신유본(1861년, 철종 12) 22첩을 입체적으로 세워 전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첩은 지도제-방안표-온성부지도-지도표-도성도-경조오부 순서로 구성되어 있어 지도유설과 제2첩의 통계표가 결질되어 있다. 가채본으로 지도표는 적색, 주황색과 청회색 물감을 이용하였으며 군현 경계는 황색으로 가채하였다. 도 경계가 굵은 적색 실선으로 그려져 있는데 소장자가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제13첩의 한성부는 별도의 가채를 하지 않았지만 도성 내부는 적색 물감으로 채색되어 있다. 존경각은 1475년(성종 6) 성균관 내에 설립된 도서관으로 시작하였으며 1946년 성균관대학의 부설도서관이 되었다. 지도에 도서관장 직인이 찍힌 것으로 보아 광복 이후에 구입하였던 것으로 추정한다.
한국 도자와 매칭된 ‘포스트 단색화’, ‘김근태·김택상·김춘수·박종규’
3부 Layers of K-Art에서는 한국미의 다층구조를 보여주는 '도자와 매칭된 동시대 한국추상미술'을 선보인다. 최근 글로벌하게 주목받는 후기 단색화의 대표작가인 김택상(청자), 박종규(상감청자), 김근태(분청사기), 김춘수(청화백자)를 매칭해 해외 뮤지엄 한국관 전시에 활용될 만한 수준 높은 전시구성을 선보인다. 이들 작가들은 서울 프리즈·홍콩 바젤 아트페어 등 세계미술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후기 단색화의 대표작가들로, 겹침과 스밈의 정제된 변주 속에서 ‘한국 전통미에 근거한 여러 겹의 레이어’를 작품의 방법론으로 삼는다. 서양화의 칼로 그은 듯한 면(面) 중심의 모노크롬과는 완전히 다르며, 매너리즘에 빠지지 않는 시대의 조형의식을 평생에 걸쳐 연구한 작가들이다. 도자기의 유약과 어우러진 한국토양의 바탕을 층으로 쌓듯 겹치고 스미는 현상은 물질시대 속에서 추구해온 ‘한국 전통문화의 깊이’라는 측면에서 공통된다. 이들은 ‘K-Art’의 다이내미즘을 보여주는 글로벌한 시대 속에서 유행과 거리를 둔 차원 높은 전통과 정신주의를 작품의 근간으로 삼는다. 한국미의 원형을 다채로운 변주 속에서 보여주는 창작활동을 ‘성균관대박물관이 소장한 명품자기’와 매칭 해 지속가능한 창작미학의 계기로 삼고자 한다.
안현정씨는 예술철학전공 철학박사출신의 문화평론가이자 방송인으로 현재 성균관대학교박물관 학예관, 유중재단 이사, 고려사이버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겸임교수를 맡고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기업의 국제 공중보건 기여, 사회적 가치와 이윤추구간 균형 찾았다” |
2 | 제약바이오 산업 전망…올해 하락하고 내년부터 회복? |
3 | 크리스탈지노믹스, 최대주주 변경…‘3대 경영혁신’ 발표 |
4 | 씨엔알리서치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 성공, 협력·소통이 답" |
5 | 감기 증상 소아에 정신과약,남성에 사후피임약...처방오류 '심각' |
6 | [인터뷰] "최고 피임률 '피하 이식형 피임제', 편리성·안전성 두루 갖춰" |
7 | "새 의약품유통협회장, 강한 협회 만들고 중소업체 목소리 들을 수 있어야" |
8 | 파마리서치, 케이메디허브와 MOU 체결 |
9 | 노바티스 ‘키스칼리’ 유방암 재발 위험 25% ↓ |
10 | 요양병원 평가결과 공개...'질지원금' 첫 적용해 7월 보상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박물관 60주년, 위창 오세창 서거70주년 기념해 ‘수장고’ 활짝 열려
한국미의 레이어를 ‘명품도자-한국 현대추상’과 매칭해 선보여
1964년 개관한 성균관대 박물관(관장 김대식)이 동아시아학술원(원장 김경호)의 존경각(尊經閣)과 손잡고 ‘국가지정유물’ 등 주요 소장품을 선보이는 《성균관의 보물, Layers of culture》(5월 23일~2024년 3월 31일)를 개최한다. 2000년 동아시아학술원의 출범과 함께 개관한 존경각은 동아시아학 연구의 기반 조성과 효율적 지원을 위하여 설립한 동아시아학 전문 자료정보센터로, 본래 명칭은 조선조 성종 6년(1475년) 성균관(成均館)에 설립되어 수백 년 동안 성균관 유생(儒生)들의 학문 연구를 지원하였던 최초의 대학도서관에서 유래한다. 현재 존경각은 고전서적(古典書籍) 8만여책과 동아시아학 관련 학술서적 및 일반자료 1만여권을 소장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존경각이 소장한 국가지정보물과 서화, 6m에 달하는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사주당이씨의 태교신기(胎敎新記), 심산선생 친필 간찰 등이 최초 공개된다. 특히 두 기관이 소장한 ‘중요 소장품’들을 어제와 오늘/비교·대조라는 ‘한국문화의 다층구조(Layers of K-culture)’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유물을 인식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것이다.
한국문화의 레이어를 열다. 6미터 대동여지도 실견 기회
Layers of Culture(문화의 레이어)라는 부제는 최근 ‘한국 전통문화의 미적 구조’을 설명할 때 자주 언급되는 말로, 전통건축·복식·배채로 표현된 초상화와 고려불화·도자 및 칠기, 고문서 등 내·외연의 깊이를 구조적으로 설명하는 ‘미적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존경각은 성균관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한 수많은 고서적을 보관해 왔으며, 수장고에 잠들어 있던 이들의 가치는 교육적 활용과 전시를 통해 발굴했을 때 더욱 빛을 발한다. 전시는 크게 1부 존경각의 보물, 2부 박물관의 보물, 3부 한국미의 레이어라는 시각에서 구성한다. 특히 2024년은 박물관설립 60주년, 2023년은 위창 오세창 선생 서거 70주년에 해당되므로 ‘전시 속 전시’로서 다양한 신수 유물들과의 관계 속에서 ‘한국문화 지킴이’로서의 ‘성균관대학교’의 위상을 제고하고자 한다.
![]() |
1부 존경각의 보물에서는 기축년(1589, 선조22) 7월 29일부터 그해 9월 27일까지 승정원(承政院)을 통해 처리된 왕명의 출납, 행정 사무 등이 기록된 ‘선조기축년사초(宣祖己丑年史草)’가 공개된다. ‘기축일기’는 현재 남아 있는 ‘승정원일기’보다 앞선 시기의 자료이며, 현존하지 않는 임진왜란 이전에 작성되었던 ‘승정원일기’의 일면을 볼 수 있는 희귀한 사료이다. 총 5책 50권으로 구성된 춘추경좌씨전구해(春秋經左氏傳句解)는 발문과 간기를 통해 1431년(세종 13) 경상도 청도에서 원판본을 번각한 완질이 확인되지 않은 고간본(古刊本)이다. 주목할 자료는 태교의 중요성을 깨달아 그 이론과 실제를 체계적으로 정립한 최초의 태교법 사주당이씨(師朱堂李氏, 1739∼1821)의 ‘태교신기’로, 경서와 의학서에 종합한 저술이다.
![]() |
2부 박물관의 보물에서는 보물로서의 가치를 받고 있는 위창 오세창(1864-1953)의 ‘근묵(槿墨)’(1,136점, 34첩) 관련 유물과 김천리 개국원종공신녹권(金天理 開國原從功臣錄券) 등이 선보인다. 위창이 80세가 되던 해인 1943년에 완성한 근묵은 우리나라를 뜻하는 ‘근역(槿域)’과 먹으로 쓴 글씨를 의미하는 ‘묵적(墨蹟)’의 결합어로, 한국 역대 명사들의 진적을 모은 서첩이다. ‘근역서휘(槿域書彙)’(1911)와 더불어 한국 역대 인물의 친필 진적을 싣고 있는 보물로 평가받는다. 공신녹권(功臣錄券)은 태조 4년(1395)에 이성계의 조선 건국에 공로가 있는 김천리(金天理)에게 공신도감에서 발급한 것이다. 실제로 최근 근묵은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번 전시의 하이라이트는 존경각 소장의 ‘대동여지도’의 신유본(1861년, 철종 12) 22첩을 입체적으로 세워 전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첩은 지도제-방안표-온성부지도-지도표-도성도-경조오부 순서로 구성되어 있어 지도유설과 제2첩의 통계표가 결질되어 있다. 가채본으로 지도표는 적색, 주황색과 청회색 물감을 이용하였으며 군현 경계는 황색으로 가채하였다. 도 경계가 굵은 적색 실선으로 그려져 있는데 소장자가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제13첩의 한성부는 별도의 가채를 하지 않았지만 도성 내부는 적색 물감으로 채색되어 있다. 존경각은 1475년(성종 6) 성균관 내에 설립된 도서관으로 시작하였으며 1946년 성균관대학의 부설도서관이 되었다. 지도에 도서관장 직인이 찍힌 것으로 보아 광복 이후에 구입하였던 것으로 추정한다.
한국 도자와 매칭된 ‘포스트 단색화’, ‘김근태·김택상·김춘수·박종규’
3부 Layers of K-Art에서는 한국미의 다층구조를 보여주는 '도자와 매칭된 동시대 한국추상미술'을 선보인다. 최근 글로벌하게 주목받는 후기 단색화의 대표작가인 김택상(청자), 박종규(상감청자), 김근태(분청사기), 김춘수(청화백자)를 매칭해 해외 뮤지엄 한국관 전시에 활용될 만한 수준 높은 전시구성을 선보인다. 이들 작가들은 서울 프리즈·홍콩 바젤 아트페어 등 세계미술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후기 단색화의 대표작가들로, 겹침과 스밈의 정제된 변주 속에서 ‘한국 전통미에 근거한 여러 겹의 레이어’를 작품의 방법론으로 삼는다. 서양화의 칼로 그은 듯한 면(面) 중심의 모노크롬과는 완전히 다르며, 매너리즘에 빠지지 않는 시대의 조형의식을 평생에 걸쳐 연구한 작가들이다. 도자기의 유약과 어우러진 한국토양의 바탕을 층으로 쌓듯 겹치고 스미는 현상은 물질시대 속에서 추구해온 ‘한국 전통문화의 깊이’라는 측면에서 공통된다. 이들은 ‘K-Art’의 다이내미즘을 보여주는 글로벌한 시대 속에서 유행과 거리를 둔 차원 높은 전통과 정신주의를 작품의 근간으로 삼는다. 한국미의 원형을 다채로운 변주 속에서 보여주는 창작활동을 ‘성균관대박물관이 소장한 명품자기’와 매칭 해 지속가능한 창작미학의 계기로 삼고자 한다.
안현정씨는 예술철학전공 철학박사출신의 문화평론가이자 방송인으로 현재 성균관대학교박물관 학예관, 유중재단 이사, 고려사이버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겸임교수를 맡고 있다.
@ 공자님의 시호. 하늘이 보내신 성자이신 성인 임금 공자님은 황제 칭호인 문선제(文宣帝).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의 오랜 전통으로 호칭되어 오고 있습니다.聖人에 이르신 스승(至聖先師). 은나라 왕족의 후손이신 공자님. 참고로 하면, 공자님 아버지 시호는 계성왕(啓聖王)이시고 공자님 어머니 시호는 계성왕 부인(啓聖王夫人)이십니다.
http://blog.daum.net/macmaca/3127@한국 유교 최고 제사장은 고종황제 후손인 황사손(이 원)임. 불교 Monkey 일본 항복후, 현재는 5,000만 유교도의 여러 단체가 있는데 최고 교육기구는 성균관대이며,문중별 종친회가 있고, 성균관도 석전대제로 유교의 부분집합중 하나임.국사 성균관(성균관대)나라. 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의 정통승계로, 6백년 넘는 역사를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있는 한국 최고(最古,最高)대학. Royal 성균관대. 세계사의 교황반영, 교황윤허 서강대는 국제관습법상 성대다음 Royal대 예우. 두 대학만 일류.명문대임. 해방후 조선성명 복구령으로, 유교국가 조선의 한문성명.본관등록이 의무인, 행정법.관습법상 유교나라 한국. 5,000만 한국인뒤 주권없는 패전국 불교 Monkey 일본의 성씨없는 점쇠(일본에서는 천황). 그뒤 한국에 주권.학벌없는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점쇠가 세운 마당쇠). 그 뒤 새로생긴 일제강점기 초급대 출신대나 기타의 비신분제 대학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