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시그널
클래시그널[CLASSI그널]
국악 Prologue!
김보람
입력 2023-04-14 10:41 수정 최종수정 2023-04-14 10:46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경연(競演), 겨루어 넓히다

지금도 그런지 모르겠지만 20년 전쯤 신춘문예는 문학청년들이 앓는 늦가을의 열병 같은 것이었다공신력과 권위를 갖춘흔치 않은 등단의 통로였기 때문이다등단이 장밋빛 미래를 담보하지 않는다는 것은 중요하지 않았던 것 같다전업 작가를 꿈꾸지 않았음에도 그 묘한 분위기에 휩쓸려 괜히 들뜬 마음으로 마감에 쫓기며 스산한 계절을 보내기도 했다돌이켜보면 도전의 기회가 매년 주어진다는 것이 안도와 설렘을 동시에 주었던 것 같기도 하다새해 벽두부터 대부분의 응모자와 함께 쓰라린 패배와 좌절을 맛봐야 했지만 말이다.

 국악 분야에도 신춘문예와 같은 경연대회들이 있다올해 국악계의 등용문은 화창하고 좋은 계절에 열린다. 4월부터는 온 나라 국악경연대회가, 5월에는 전주대사습놀이, 6월에는 동아국악콩쿠르가 시작될 예정이다

 

전주대사습놀이 공연장면 

 

동아일보사가 주최하는 동아국악콩쿠르는 1985년에 시작해 올해로 39회를 맞이한다판소리정가현악기관악기 등 4개 부문을 일반부와 학생부로 나누어 개최하다 점차 종목별로 경연 부문이 세분화 되었다올해 일반부는 작곡판소리가야금거문고피리대금해금가야금 병창민요 등 8개 부문으로 치러지는데가야금 병창민요 부문은 아쟁 부문과 격년제로 시행하고 있다.

 43회에 접어든 온 나라 국악경연대회는 1981년에 전국국악경연대회라는 명칭으로 기악성악무용 3개 부문을 전공자와 비전공자로 나누어 경연을 치르기 시작했다. 1986년 대회부터는 전공과 비전공의 구분을 없애고, 1994년부터는 기악 부문을 현악과 관악 부문으로 나누었다. ‘전국국악경연대회라 이름 붙인 대회가 늘어나자, 2006년 대회 명칭을 온 나라 국악 경연대회로 변경하고무용 부문을 분리해 온 나라 전통춤 경연대회를 따로 개최했다경연 부문도 순차적으로 세분화해 올해는 피리대금해금가야금거문고아쟁장단 및 고법정가민요가야금 병창판소리작곡 등 총 11개 부문으로 치러진다.

 두 경연대회 모두 국적에 제한이 없으므로 명실공히 세계 대회라 할 수 있겠다동아국악콩쿠르의 일반부 참가 자격은 만 35세까지로 나이 제한이 있고온 나라 국악경연대회는 만 18세 이상이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지만 35세 이상의 참가자는 드문 편이라 두 대회 모두 국악 인재 발굴 및 육성을 목적으로 하는 대회에 가깝다

 

전주대사습놀이 공연장면 

 

반면조선 후기의 대사습대회에 기원을 둔 전주대사습놀이는 1975년 처음 개최할 당시부터 명인명창들이 겨루는 대회로 시작했다판소리농악무용시조궁도 등 5개 부문으로 개최하다 점차 종목을 늘리고판소리 부문 등 몇 개 부문은 일반부와 명창부로 나누어 경연을 진행했다. 2000년대 들어 혜성같이 나타난 20대 참가자가 장원을 차지한 후부터는 명인명창부 참가 자격이 만 30세 이상으로 바뀌었으나그 후에도 천재성을 지닌 예인들이 심심치 않게 등장해 30대에 명창부 장원에 오르곤 한다내로라하는 명인들을 수상자로 배출한 대회인만큼 경쟁이 과열되어 한때 침체기를 겪기도 했다올해는 블라인드 심사를 도입하는 등 대회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

 역사가 오랜 경연대회의 역대 수상자들을 살펴보면 지금은 대가의 반열에 오른 이들의 이름을 여러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여러 경연대회에서 상을 휩쓰는 이도 있고동상을 받고 이듬해에 다시 도전해 은상을 받고 차근차근 기량을 높여 마침내 최고의 자리에 오르는 이들도 많다포기하지 않고 끈기 있게 노력하며 정진한 결과일 것이다

 국악 경연대회를 담당하는 부서에 근무하면 진행요원으로 투입되는 일이 생긴다경연장 문 앞에서 마주한 참가자들의 잔뜩 얼어붙은 표정과 바르르 떨리는 손끝은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금세 전염되곤 한다올해도 덩달아 촉각을 곤두세우고 미래를 짊어질 예인들의 입장과 퇴장을 돕게 될 것이다세상 후련한 혹은 세상이 무너질 것 같은 표정으로 경연장을 나설 그들 모두에게 그날 내디딘 한 걸음이 더 큰 성장의 동기와 동력이 되기를 바란다

 

<필자소개>

김보람 씨는 동국대학교 문예창작학과와 영상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를 졸업했으며국립국악원에서 소식지 국악누리 제작을 담당하고 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국악 Prologue!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국악 Prologue!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