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쳐
박병준의 클래스토리
박병준
입력 2023-05-08 11:13 수정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한 번의 음악회두 번의 합창 교향곡

 

베토벤(L. v. Beethoven, 1770-1827)의 <교향곡 제9번 합창>이 많은 사랑을 받는 작품이라는 것은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내년이면 초연된 지 꼭 200주년이 되는 <합창 교향곡>은 우리에게 굉장히 친숙한 작품이지만 사실 이 작품의 연주를 준비하는 것도 그리고 이를 감상하는 것도 그리 만만한 일은 아닙니다이 작품의 연주를 위해서는 오케스트라에 합창단과 4명의 성악 독창자들이 참여해야 하니 오케스트라만 연주되는 보통의 교향곡 연주보다 훨씬 많은 인원이 필요하고 연주시간도 한 시간이 조금 넘게 소요되니까요브루크너(A. Bruckner, 1824~1896)나 말러(G. Mahler, 1860~1911)처럼 장대한 교향곡을 작곡한 이들이 후대에 나타났지만, <합창 교향곡>은 여전히 연주에 많은 인원이 필요하고 연주 시간도 긴 교향곡들 중 하나입니다.

 

이런 <합창 교향곡>이 한 음악회에서 두 번 연달아 연주된다고 하면 어떤 반응이 나올까요연주자들과 청중들 모두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이지 않을까 합니다이는 꼭 연주 시간과 체력 문제 때문만은 아닐 것입니다. <합창 교향곡>을 연달아 연주한다면 연주 시간은 두 시간 반이 조금 못 미치는 정도이겠고 전체 음악회는 휴식 시간 포함 3시간 정도 걸리겠지요물론 보통의 오케스트라 공연에서 이는 매우 긴 시간이지만 사실 이 정도는 우리가 오페라나 뮤지컬을 관람할 때 충분히 예상 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음악 안에 내재되어 있는 드라마가 완결되었는데 이를 다시 반복해야 한다는 것이겠지요. <합창 교향곡>은 듣는 이에게 벅찬 감격을 선사하며 매듭지어지는데 그렇게 끝난 음악을 처음부터 다시 연주하고 감상해야 한다는 것은 이 작품을 좋아한다고 해도 지치는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런데 한 번의 연주회에서 <합창 교향곡두 번 연주하는 것을 성사시킨 지휘자가 있었습니다바로 최초의 직업 지휘자로서 19세기 후반에 큰 명성을 떨친 한스 폰 뷜로(Hans von Bülow, 1830-1894)입니다뷜로는 놀랍게도 한 번도 아니고 무려 네 번이나 이런 독특한 음악회를 열었습니다그 시작은 1880년 12독일 마이닝엔 궁정 오케스트라를 지휘함으로써 이루어졌습니다뷜로는 그 해 가을부터 이 오케스트라의 상임 지휘자로 활약하기 시작했지요. 1885년까지 뷜로가 마이닝엔에서 상임 지휘자로 있는 동안 <합창 교향곡>은 1881년과 1884년에 그의 지휘 아래 한 음악회에서 두 번 연주되었습니다뷜로가 마지막으로 <합창 교향곡>을 연달아 지휘했던 때는 1889년으로 이 때는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지휘했습니다마이닝엔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당시 뷜로는 베를린 필의 상임 지휘자였지요

 

지휘자 한스 본 뷜로 (©: Encyclopædia Britannica)

 

뷜로는 왜 이렇게 독특한 기획을 하였던 것일까요그의 목적은 두 가지였는데, <합창 교향곡외 다른 작품을 연주하지 않음으로써 <합창 교향곡>에 더 많은 리허설 시간을 할애할 수 있다는 것과 청중에게 이 작품을 더 잘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었습니다당시에는 아직 녹음 기술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전이어서 사람들이 <합창 교향곡>을 감상하려면 음악회에 오는 수밖에 없었으니 뷜로의 두 번째 목적은 어쩌면 이해가 가는 것일 수도 있겠습니다정말 의아한 것은 첫 번째 목적인데음악회에서 다른 작품을 연주하지 않고 <합창 교향곡>만 한 번 연주해도 리허설때 이 작품에 전력을 다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굳이 두 번일 필요가 있었을까 의문이 듭니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합창 교향곡>이 연주된 몇몇 음악회의 프로그램을 보면각각 약 15분과 40분이 소요되는 베토벤의 <레오노레 서곡 제3>과 <피아노 협주곡 제5번 황제뒤에 <합창 교향곡>이 배치되어 있는 등 오늘날 기준으로는 지나치게 긴 경우들이 있지만반대로 <합창 교향곡>만 있거나 길지 않은 서곡과 <합창 교향곡>이 배치된 경우들도 있으니까요.

 

아마도 우리는 뷜로의 베토벤 음악을 향한 열정에서 그의 이 기획을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당대의 손꼽히는 베토벤 음악의 해석가였던 뷜로는, 1880년 10월 마이닝엔 궁정 오케스트라에 취임한 후, 11월부터 7주 동안 매주 일요일에 음악회를 열어 베토벤의 교향곡 전곡과 주요 관현악 작품들그리고 협주곡들까지 연주해내는 일정을 소화했습니다그가 스스로 ‘80일간의 베토벤 여행 (Reise um Beethoven in 80 Tagen)’이라 일컬은 이 일정의 마지막이 바로 <합창 교향곡>을 두 번 연주하는 것이었지요이 모든 일정을 위해 뷜로와 오케스트라는 무려 약 200번의 리허설을 했다고 전해집니다

 

궁금한 것은 뷜로가 <합창 교향곡>을 한 음악회에서 연달아 지휘했을 때 두 연주 간에 해석상의 차이가 존재했는지의 여부인데마이닝엔에서의 한 음악회에 참석했던 이로부터 두 번째 연주에서 첫 번째 연주 때와는 다른 템포 설정에 대한 언급 등이 있는 것으로 보아뷜로가 이 작품을 연달아 지휘하며 해석상의 차이를 두고자 시도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뷜로는 <합창 교향곡>을 한 음악회에서 두 번 지휘한 유일한 지휘자일까요흥미롭게도 뷜로 이후 한 명 더 있었습니다이 지휘자의 이름은 발터 담로쉬(W. Damrosch, 1862-1950)인데 그는 1909년 3월 뉴욕 카네기홀에서 뉴욕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지휘하여 뷜로가 이전에 했던 이 기획을 실현시켰습니다담로쉬는 1887년 여름 뷜로에게 베토벤 교향곡 전곡을 세세하게 배웠던 경험이 있으니 뉴욕에서 열렸던 그 음악회는 다분히 뷜로의 영향 아래에 있는 것이었겠지요.

 

<합창 교향곡>을 한 음악회에서 두 번 연달아 연주하는 기획물론 다시 실현되기는 힘들겠지만그래도 만약 가능성이 있다면 그 때는 전반부는 베토벤의 <합창 교향곡원곡을 연주하고후반부에는 이를 말러가 편곡한 버전으로 연주해보는 기획을 해보면 어떨까 생각해 봅니다훗날 누군가가 오래전의 뷜로처럼 대담하게 이 기획을 실현 시켜 주기를 바래봅니다

 

<필자소개>

박병준씨는 음악학자이자 음악칼럼니스트로 오스트리아 그라츠 국립음악대학교에서 비올라를 전공했으며 같은 대학에서 박사학위(음악학)를 취득했다현재는 광명 심포니 오케스트라 비올라 수석 연주자로 활동하고 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박병준의 클래스토리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박병준의 클래스토리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