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비렛
애브비/C형간염
글로벌 제약사 애브비의 C형간염 신약인 ‘마비렛(성분명: 글레카프레비르/피브렌타스비르)’이 국내에 상륙하며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C형간염은 혈액 매개 바이러스 감염 질환으로, 한국인 중 약 30만명이 앓고 있다. 이 중 약 25만명이 아직 검진이나 치료 전인 감염 환자다.

국내 인구의 97%가 유전자형 1, 2형에 속한다고는 하지만 계속해 해외에서 유입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나머지 3% 환자의 미충족 수요를 함께 충족시켜줄 수 있다는 점에서 범유전자형이라는 특성은 눈여겨볼 만하다.
문제는 ‘8주 치료’가 가능하도록 허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생각보다 효율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물론 투여 기간 한 달가량을 감소시켰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하지만 대상이 한정적이다. 마비렛의 투여 기준을 간단히 분류하면 치료 경험에 상관없이 간경변이 없으면 8주 투여, 간경변이 있으면 12주 투여를 할 수 있다.
사실상 국내 C형간염 환자 비율은 고령층 90%, 젊은층 10%이라 볼 수 있는데, 고령 환자들은 간경변증이 진행된 경우가 굉장히 많다.
또 간경변증이 없다 해도 조직검사 등을 통해 환자의 간 섬유화 진행 정도를 확인하고 치료하는데, 실제 의료현장에서는 여건상 검사를 못하는 의료진들도 존재할 수 있다.
‘간경변’이라는 기준도 아직 명확히 제시되지 않았다. 11일 열린 마비렛 출시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안상훈 교수(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는 “초음파 결과만 볼 것이냐, 혈소판 수치도 본다면 어디까지 감소돼야 하나 등 아직 의료 현장에서는 간경변에 대해 주관적인 해석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C형간염 치료제 효과의 기준이 되는 SVR12는 이제 더 이상 중요하지 않아 보인다. 오는 2030년 전세계 C형간염 박멸을 목표로 하는 상황에서 출시돼있는 많은 약제가 거의 100%에 가까운 SVR12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마비렛은 8주 치료 성공률은 나이, 내성, HCV RNA 바이러스 수치, 간섬유화 정도 등 환자의 특성과 관계없이 높게 나타났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관련 임상에 따르면, 마비렛의 8주 치료 적응증에 해당하는 모든 유전자형(1~6)이 SVR12 99%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비렛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는 모든 단계의 신질환 환자에 투여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만성으로 진행된 신질환(CKD) 상태에서 시행하는 투석 환자도 포함된다.
마비렛을 중증 신질환 환자에도 투여할 수 있는 이유는 신장을 통한 배설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량 변경도 필요하지 않아 그동안 신질환 때문에 치료 제약이 있었던 환자들에게는 희소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혈액투석환자의 경우 C형간염 유병률은 15%에 달한다.
한국애브비 의학부 원용균 부장은 “마비렛은 9월 7일자로 유통이 확인됐고 10일부터 도매상을 통해 약제가 배송되고 있다. 대형 병원의 경우 절차에 따라 랜딩 중이지만 유통이 확인된 병원은 현재도 처방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오늘의 헤드라인
전체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