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권이 감당해야 할 의약분업 건강보험 미제(謎題)
입력 2022-03-02 10:40
수정 2022-03-02 10:42
늘어나는 건강보험 약품비 지출 억제를 위한 우선과제로 동일성분 조제활성화가 언급된 건 어제오늘이 아니다. 대체조제 인센티브제, 지역처방목록제, DUR 등 제도적 여건과 시스템이 충분히 마련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계의 일방적 반대와 의약정간 소모적 논쟁으로 의약분업시행 2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지지부진한 실정이다. 이에 대한 정치권의 입장을 확인하기 위해 20대 대선후보 공약집을 뒤지고 정당 초청토론회에 기대를 갖고 지켜보았지만 역시 이 문제 해결을 위한 알맹이가 없다.
1주일후 판가름나게 될 대선을 앞두고 각 후보진영은 최대한 표를 끌어 모으기 위한 전략을 집중적으로 구사한다. 특히 이해관계가 얽힌 집단을 상대로는 가급적 확실한 정책결정이나 판단을 유보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의약분업과 관련된 사안은 흔히 말하는 집단이기주의나 밥그릇싸움 정도로 폄하돼선 곤란하다. 공약에 나타난 각 정당의 입장은 다소 애매모호하다. 원론적 수준의 각당 보건의료정책 비교 수준에 머문 아쉬움이 크다.
집권여당은 직역간 갈등이라는 시각으로 풀면 답이 없고 환자의 알 권리, 선택권 보장 측면에서 접근하되 국회 입법에 맡겨 달라고 했다. 수권정당을 내세운 제1야당은 의약분업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가 우선돼야 한다고 전제한 후 동일성분 대체조제에 앞서 약효 동등성 평가가 우선이라고 했고 또 다른 야당은 대체조제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가 부족한 것 같다고 지적하고 '약은 약사에게, 진료는 의사에게'라는 구호부터 잘못됐다는 다소 생뚱맞은 의견을 피력했다.
의사협회 한의사협회 치과협회 약사회 등 의약관련단체는 대선을 앞두고 저마다 자신들의 유리한 제도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정책과 공약을 담은 개선안 요구안 건의안을 전달하는 등 발빠른 행보를 보인바 있다. 모두가 소속 단체 직역의 권익신장이 우선임을 부정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의약분업 연금개혁 그리고 건강보험 보장성강화가 더이상 직능이기주의의 단 한면이 아니라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국가적 과제라는 점을 정치권과 직능단체 모두에게 다시한번 강조해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