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한 전 국가적 상생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공적마스크 판매를 통해 마스크 대란을 불식시킨 1등공신 약국들은 추가적으로 기습 발표된 정부의 대리구매 확대방안에 대해 사전협의도 정보전달도 없이 일방적 결정이었다며 아쉬워하는 모습이다. 또 공적마스크 유통을 전담한 의약품유통업계는 이 와중에 의약품 유통마진 인하를 통보해 온 일부 제약사에 대해 이는 국가적 위기로 모두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때에 고통 분담을 통해 난관을 극복하자는 상생 정신을 망각한 행위라며 강한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국내 마스크 대란 초기 마스크와 관련된 두가지 사례를 목격한 바 있다. 모 마스크 생산업체 대표는 자사가 생산한 마스크 대부분을 자신의 아들이 운영하는 유통업체에 불법적으로 몰아주어 수백억원의 부당이익을 편취 여론의 뭇매를 맞고 부당이익을 환수 당했다. 반면 또다른 마스크업체는 마스크가격이 천정부지로 폭등하는 가운데서도 이전의 공급가를 유지해 착한기업으로 세간의 화제가 되기도 했다. 재난극복기금을 포함한 재정을 집중 투입하고 있는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목표는 결국 비상국면에 처한 기업과 경제를 살리는데 주안이 있다고 보여진다.
화장품업체 L사는 자금난을 겪고 있는 협력회사를 돕기 위해 총 8백억원이 넘는 거액의 상생 금융지원을 밝혔다. 물품·용역 관련 대금 730억을 조기 지급하는 등 업계 선두주자로 책무를 앞장서서 실천했다, 이 회사는 앞서 화장품 가맹점 5백여 곳의 월세를 절반 지원하고 방문판매 화장품대리점과 생활용품대리점, 음료대리점 등의 직원 인건비를 지원하기도 했다. 반면 경쟁회사인 A사는 계열회사에 대한 부당 지원을 통해 경쟁질서의 건전성을 훼손하고 경제력집중을 야기하는 부당행위로 인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제재를 받는 등 상반된 행보를 보여 여론의 빈축을 사기도 했다.
코로나19로 야기된 전 세계적 대재앙이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바이러스 극복 못지않게 경제회복이 최대 화두로 부상하고 있는 요즘이다.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과 수단은 국가와 사회 계층별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차이점은 있지만 무엇보다 상생이 강조되는 것은 예외가 없다. 감염병 수칙을 준수하고 개인마스크를 착용하며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는 것은 결국 개인의 건강관리 목적도 있지만 더 큰 의미는 가족과 이웃, 자신보다 타인을 배려하는 가운데 결국은 모두가 함께 건강한 삶을 지켜가자는 상생의 가치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HLB그룹 진양곤 회장,미국 CMC 실사 마치고 계열사 지분 매입 |
2 | 제2회 전문약사 자격시험, 합격률 84.2% |
3 | 한국병원약사회, 28대 집행부 첫 상임이사회 개최 |
4 | 샤페론, "전임상 결과 전이암 성장 93% 억제 입증" |
5 | J&J, 새 방광암 치료대안 FDA 허가신청 개시 |
6 | 2023년 건강보험 약품비 26조원, 전년比 8.5%↑ |
7 | 케이비이,코오롱글로벌서 바이오제약 시설 적용 CIP 장비 수주 |
8 | 자폐증 원인 치료 후보물질 FDA ‘패스트 트랙’ |
9 | ‘요로감염’ 환자 25% 항생제 내성에 ‘시름’…‘슈퍼박테리아’ 발생 막으려면? |
10 | 지아이이노베이션, 면역항암제 ‘GI-102’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한 전 국가적 상생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공적마스크 판매를 통해 마스크 대란을 불식시킨 1등공신 약국들은 추가적으로 기습 발표된 정부의 대리구매 확대방안에 대해 사전협의도 정보전달도 없이 일방적 결정이었다며 아쉬워하는 모습이다. 또 공적마스크 유통을 전담한 의약품유통업계는 이 와중에 의약품 유통마진 인하를 통보해 온 일부 제약사에 대해 이는 국가적 위기로 모두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때에 고통 분담을 통해 난관을 극복하자는 상생 정신을 망각한 행위라며 강한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국내 마스크 대란 초기 마스크와 관련된 두가지 사례를 목격한 바 있다. 모 마스크 생산업체 대표는 자사가 생산한 마스크 대부분을 자신의 아들이 운영하는 유통업체에 불법적으로 몰아주어 수백억원의 부당이익을 편취 여론의 뭇매를 맞고 부당이익을 환수 당했다. 반면 또다른 마스크업체는 마스크가격이 천정부지로 폭등하는 가운데서도 이전의 공급가를 유지해 착한기업으로 세간의 화제가 되기도 했다. 재난극복기금을 포함한 재정을 집중 투입하고 있는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목표는 결국 비상국면에 처한 기업과 경제를 살리는데 주안이 있다고 보여진다.
화장품업체 L사는 자금난을 겪고 있는 협력회사를 돕기 위해 총 8백억원이 넘는 거액의 상생 금융지원을 밝혔다. 물품·용역 관련 대금 730억을 조기 지급하는 등 업계 선두주자로 책무를 앞장서서 실천했다, 이 회사는 앞서 화장품 가맹점 5백여 곳의 월세를 절반 지원하고 방문판매 화장품대리점과 생활용품대리점, 음료대리점 등의 직원 인건비를 지원하기도 했다. 반면 경쟁회사인 A사는 계열회사에 대한 부당 지원을 통해 경쟁질서의 건전성을 훼손하고 경제력집중을 야기하는 부당행위로 인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제재를 받는 등 상반된 행보를 보여 여론의 빈축을 사기도 했다.
코로나19로 야기된 전 세계적 대재앙이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바이러스 극복 못지않게 경제회복이 최대 화두로 부상하고 있는 요즘이다.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과 수단은 국가와 사회 계층별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차이점은 있지만 무엇보다 상생이 강조되는 것은 예외가 없다. 감염병 수칙을 준수하고 개인마스크를 착용하며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는 것은 결국 개인의 건강관리 목적도 있지만 더 큰 의미는 가족과 이웃, 자신보다 타인을 배려하는 가운데 결국은 모두가 함께 건강한 삶을 지켜가자는 상생의 가치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