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개발·의료술기와 관련된 새로운 이슈들에 대한 관심과 도전은 지구촌 곳곳에서 집중적으로 다뤄지고 있으며 연구진과 전문가들은 경청과 토론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미래 생명과학과 제약산업을 주도하겠다는 야심 있는 제약회사와 연구소는 상호연대를 통해 관심사를 공유하는 등 한발 앞선 글로벌전략을 구사하기도 한다. 반면 우리나라 의약품은 우수한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인지도가 낮아 상업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아쉬움이 크다.
우리 제약산업의 우수성을 알리고 유망한 기업과 제품을 해외 인사 및 기업들에게 소개하는 K-Pharma Fair가 2018 바이오코리아의 부대행사로 열렸다. 올해에는 국내 제약산업의 우수성에 대한 발표와 함께, 공신력 있는 해외 인허가 기관에서 허가를 취득 임상시험을 수행하고 있는 4개 기업이 자사의 파이프라인과 기업을 소개하는 기회를 가졌다. 국내에서 열린 바이오산업 국제 행사를 통해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성장과 우수성을 알릴 기회를 갖게 된 것은 글로벌시장 진출이라는 측면에서 대단히 큰 의미를 갖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도 국내 첨단바이오의약품 성과 확산을 위한 글로벌 첨단바이오의약품 기술개발사업 성과를 소개하는 홍보관을 운영하기도 했다. GPKOL 심포지엄에서는 글로벌 시장 진출 전문위원들의 강연이 이어지고 미국 및 유럽의 GMP 관련 주요 이슈와 의약품 생산전략(CMC) 등이 소개되기도 했다. 이런 프로그램들은 해외 관람객에게 우리 제약기업을 소개하는 한편 해외 임상을 수행하고 있는 국내 기업과 제약산업 홍보와 함께 해외 투자를 유치하는 일석이조(一石二鳥)의 효과가 기대 된다
6월에는 미국에서 종양올림픽이 열린다. 다음달 1일부터 5일까지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연례총회를 향한 의·약학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ACSO는 전 세계에서 약 4만명에 달하는 참가자가 모이는 종양 관련 대표학회로 의약품의 가치는 곧 임상 결과로 입증되는 만큼 1상에서 허가에 이르는 모든 단계가 그 가치를 증명해 나가는 과정임을 우리 모두는 잘 알고 있다. ASCO처럼 해당 질환분야의 대표적 학회행사는 제약기업 입장에서도 자사 파이프라인의 가치를 검증 받고 인증 받는 매우 소중한 기회이기도 하다. 총성 없는 글로벌전장에서 생존하고,승자(勝者)가 되기 위해서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발걸음을 재촉해야 하는 시대적 요청을 거부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