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대전(大戰)이라 불리울 정도로 당뇨병 치료제를 생산하는 제약회사간 치열한 마케팅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 내과 순환기계 내분비내과 당뇨병 전문 의사들 역시 지금까지와는 달라진 진단 기준과 처방 패턴을 예상하고 환자 진료를 위한 최선의 조합이 어떻게 될 것인지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 사실 전체 환자 규모나 유병률 기준으로 볼 때 당뇨 질환으로 인한 환자 고통이나 합병증 발생 정도는 고혈압이나 이상지질혈증 못지않게 매우 심각한 상황에 돌입한 수준이다. 대한당뇨병학회는 2년마다 발표하는 당뇨진단 팩트시트를 통해 당뇨병 진단기준과 치료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오고 있다.
최근 정부가 보험재정 압박 부담을 감수하면서까지 당뇨병 치료를 위한 필요한 약제들에 대해 병용급여를 인정하는 등 급여기준을 완화한 것은 그만큼 당뇨병 치료를 위한 다양한 기준을 제시해야 할 필요성을 인정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당뇨병 전문의들은 정부의 보험급여 확대에 대해 일단 환영하는 분위기이다. 그동안 비보험이라는 한계로 인해 2제 이상 병용처방에 제한이 있었던 제품을 포함, 3제 4제 병용처방까지 매우 다양한 치료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길이 열린 만큼 국산신약을 포함 처방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일단 전망하고 있다. 혈당을 낮추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경구용 약제사용이 분명 1차 선택카드로 유용하다는 판단이다.
지방에 소재한 한 내과의원 의사는 두 달 사이 SGLT2억제제 강좌만 네 차례나 수강했다고 한다. 바야흐로 당뇨병 치료제 시장을 놓고 치열한 시장선점 경쟁을 벌이고 있는 제약회사들의 마케팅 전략의 한 단면이 아닐수 없다. 이에 대해 진료 현장 일선 의료진들은 임상연구 과정에서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근거 중심 마케팅이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마냥 자사제품이 우수하다고 선전하는 구태의연한 방식이나 신약개발에 인색한 회사제품이라는 낙인이 찍히면 제아무리 고마진 약가정책을 유지한다 하더라도 병원 DC통과는 넘을수 없는 벽이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임상연구 경험의 차이가 곧 처방량의 차이로 나타나고 있음을 절감할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당뇨병 치료 약물의 급여확대에 대한 우려의 시각도 없지는 않다. 개원가를 비롯한 의료계 일각에서는 당뇨병 극복을 위해서는 약물을 통한 환자치료에 앞서 1차진료기관의 혈당검사와 2차검진 항목에 당화혈색소검사를 추가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당뇨병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는 식의 보다 선제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내놓기도 한다. 약물요법 카드에 앞서 식사 운동요법과 잘못된 생활습관을 고치도록 하는데 의사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당뇨병약 처방환경이 아무리 달라진다 하더라도 불필요한 처방은 하지 않는다는 기본원칙은 지켜져야 할 것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네이처셀, '조인트스템' 미국FDA 제2b/3a상 국내 임상실시기관 추가 승인 |
2 | 커지고 단단해진 ‘발기부전 치료제’ 시장, 너도 나도 줄 ‘섰다’ |
3 | 제약바이오 혁신, ‘제2의 한강의 기적’ 이끌다 |
4 | 당뇨병, 유전자가위로 '싹둑' 자르는 시대 올까? |
5 | 코아스템켐온 "루게릭병 치료제 ‘뉴로나타-알’ 3상 투약 완료" |
6 | '혈당관리'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 600억 시대 |
7 | 김형식 성균관약대 교수, 54대 대한약학회장 당선 |
8 | HLB 간암신약 '리보세라닙',미국 FDA 'BIMO' 실사 일정 통보 |
9 | 서흥‧일동‧콜마, 작년 건기식 매출 뚝 |
10 | 당뇨병 복합제…2제는 기본, 지금은 3제 시대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당뇨대전(大戰)이라 불리울 정도로 당뇨병 치료제를 생산하는 제약회사간 치열한 마케팅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 내과 순환기계 내분비내과 당뇨병 전문 의사들 역시 지금까지와는 달라진 진단 기준과 처방 패턴을 예상하고 환자 진료를 위한 최선의 조합이 어떻게 될 것인지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 사실 전체 환자 규모나 유병률 기준으로 볼 때 당뇨 질환으로 인한 환자 고통이나 합병증 발생 정도는 고혈압이나 이상지질혈증 못지않게 매우 심각한 상황에 돌입한 수준이다. 대한당뇨병학회는 2년마다 발표하는 당뇨진단 팩트시트를 통해 당뇨병 진단기준과 치료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오고 있다.
최근 정부가 보험재정 압박 부담을 감수하면서까지 당뇨병 치료를 위한 필요한 약제들에 대해 병용급여를 인정하는 등 급여기준을 완화한 것은 그만큼 당뇨병 치료를 위한 다양한 기준을 제시해야 할 필요성을 인정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당뇨병 전문의들은 정부의 보험급여 확대에 대해 일단 환영하는 분위기이다. 그동안 비보험이라는 한계로 인해 2제 이상 병용처방에 제한이 있었던 제품을 포함, 3제 4제 병용처방까지 매우 다양한 치료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길이 열린 만큼 국산신약을 포함 처방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일단 전망하고 있다. 혈당을 낮추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경구용 약제사용이 분명 1차 선택카드로 유용하다는 판단이다.
지방에 소재한 한 내과의원 의사는 두 달 사이 SGLT2억제제 강좌만 네 차례나 수강했다고 한다. 바야흐로 당뇨병 치료제 시장을 놓고 치열한 시장선점 경쟁을 벌이고 있는 제약회사들의 마케팅 전략의 한 단면이 아닐수 없다. 이에 대해 진료 현장 일선 의료진들은 임상연구 과정에서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근거 중심 마케팅이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마냥 자사제품이 우수하다고 선전하는 구태의연한 방식이나 신약개발에 인색한 회사제품이라는 낙인이 찍히면 제아무리 고마진 약가정책을 유지한다 하더라도 병원 DC통과는 넘을수 없는 벽이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임상연구 경험의 차이가 곧 처방량의 차이로 나타나고 있음을 절감할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당뇨병 치료 약물의 급여확대에 대한 우려의 시각도 없지는 않다. 개원가를 비롯한 의료계 일각에서는 당뇨병 극복을 위해서는 약물을 통한 환자치료에 앞서 1차진료기관의 혈당검사와 2차검진 항목에 당화혈색소검사를 추가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당뇨병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는 식의 보다 선제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내놓기도 한다. 약물요법 카드에 앞서 식사 운동요법과 잘못된 생활습관을 고치도록 하는데 의사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당뇨병약 처방환경이 아무리 달라진다 하더라도 불필요한 처방은 하지 않는다는 기본원칙은 지켜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