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민간에서 배워야 할 것은 현장에 있다.
대통령이 다시 한번 나섰다. 지난달 청와대 영빈관에서 개최된 바이오헬스 신시장창출 전략회의를 주재한 대통령은 바이오헬스 산업을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했다. 바이오헬스를 제2의 반도체로 선언하고 범정부차원의 대책마련과 함께 데이터 활용을 통해 바이오헬스산업이 경쟁력을 가질수 있도록 관련제도의 개선과 정비를 지시하고 국회에 계류즁인 디지털 헬스케어 법안의 조속한 처리를 여야에 요청하기도 했다. 대통령은 이날 회의를 통해 보스턴클러스트를 언급하며 바이오헬스산업을 핵심전략산업 산업으로 키우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모든 역량을 총동원할 것을 재차 주문한 것이다.
이날 회의에는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복지부장관은 의료·건강·돌봄 서비스 혁신을 위한 의료 마이데이터를 추진하고 향후 5년 내 연 매출 1조원이 넘는 신약을 2개 이상 창출, 세계 5위권의 수출국으로 성장하는 등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전략을 본격 추진하겠다고 보고했다. 특히 관련법과 제도 정비를 위해 범정부 협의기구로 '디지털·바이오헬스 혁신위원회' 구성도 언급됐다. 모처럼 대통령이 앞장서고 주무부처 장관들이 구체적 방안들을 제시하는 등 일단 바이오헬스 중흥을 위한 분위기는 좋아 보인다.
바이오헬스 산업진흥을 위한 필요충분조건들에 대해서는 이미 앞서 여러차례 제시된바 있어 재론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다만 산업진흥은 정부가 의지를 갖고 이끈다고 해서 해결되지 않는다. 고장난명(孤掌難鳴)이라는 말이 있듯이 어느 한쪽만의 노력으로는 제대로 된 성과를 낼수가 없다. '우문현답' 즉 "우리의 문제는 향상 현장에 답이 있다"는 어느 공무원의 고백처럼 규제보다는 진흥쪽에 힘이 실려야 우선적으로 동력을 받을수가 있다. 정부주도형 산업육성은 한계가 있는 만큼 민간과의 협력과 소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된다.
제약바이오헬스산업은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는 미래 유망 산업으로 기술 발전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는 추세로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하고 신약개발 생산성을 향상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바이오벤처 및 스타트업의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기존 산업계, 투자기관과의 상생협력과 동반성장을 끌어내기 위해 새로운 오픈이노베이션이 필요한 분야이다. 삼성바이오 셀트리온을 비롯한 메이저 기업은 물론 유망 기술 플랫폼 보유한 벤처스타트업, 대학 연구기관을 발굴하고 이들 기업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민간 콘트롤타워가 제대로 작동할 수 공간이 마련돼야 한다. 산·학·연·벤처·투자기관 간 역할 분담형 투자 제휴 환경 구축을 위한 투자협의체 발족을 이끌어 낸 민간의 성과도 특히 제대로 살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