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다국적 제약사, 고압적 영업정책 언제까지 방관해야 하나
김용주 기자 yjkim@yakup.com 플러스 아이콘
입력 2014-07-30 09:32 수정 2014-07-30 09:35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다국적 제약사의 낮은 유통마진 영업정책으로 도매업체들의 경영이 위험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도매업체들이 유통마진 영업정책 개선을 요구하며 다국적 제약사들에게 읍소(?)도 하고 한편으로는 제품 취급 거부 투쟁이라는 위협(?)을 하고 있지만 요지부동인 상황이다.

다국적 제약사들이 한국시장에서 성장가도를 달리고 마켓쉐어를 확대할 수 있었던 데는 제품력과 영업력도 있지만, 유통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파트너쉽 관계인 도매업체들의 역할을 무시할 수 없다.

하지만 다국적제약사들의 도매업체들의 역할은 무시한 채 자신들의 배만 불리는 영업정책으로 일관하면서 비판을 받고 있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하고 있다는 이유로 자신들의 손해를 도매업체들에게 전가하는 영업 정책을 펴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

도매업체들이 주장하는 손익분기점 수준의 유통마진은 8% 후반이다. 대부분 국내 제약사들은 도매업체들이 주장하는 손익분기점 수준의 유통마진을 제공하고 있지만 다국적 제약사들의 유통마진은 7% 전후이다.

도매업체들의 주장대로라면 다국적 제약사의 의약품을 취급하면 취급할수록 경영이 악화되는 구조이다. 

다국적 제약사들도 낮은 유통마진을 제공할 수 밖에 없는 현실적인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일부 업체의 입장에서는 다국적 제약사라는 이유만으로 일방적으로 매도를 당하고 있다는 하소연도 나오는 상황이다.

다국적 제약사와 도매업체들간의 갈등이 현실화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양측이 머리를 맞대고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

실제로 도매업계에서는 의약품 유통마진과 관련한 각계의 입장을 듣기 위해 공청회를 준비하고 있으며, 다국적 제약사측에 공청회에 참석해 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다국적 제약사들은 공청회 참석 요청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파트너쉽 관계인 도매업계의 요구를 '소귀에 경읽기' 식으로 무시하고 일방적인 영업정책을 고수하는 다국적 제약사의 횡포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C형간염, 약 복용만으로 완치 가능...더 이상 미루지 마세요"
“대상포진 고령화 사회의 ‘필수 방어전’… 치료보다 예방이 훨씬 값지다”
앨리스랩 신재원 대표 “검증 안된 건기식 원료 난립…약국은 달라야 한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다국적 제약사, 고압적 영업정책 언제까지 방관해야 하나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다국적 제약사, 고압적 영업정책 언제까지 방관해야 하나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