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 제약사의 낮은 유통마진 영업정책으로 도매업체들의 경영이 위험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도매업체들이 유통마진 영업정책 개선을 요구하며 다국적 제약사들에게 읍소(?)도 하고 한편으로는 제품 취급 거부 투쟁이라는 위협(?)을 하고 있지만 요지부동인 상황이다.
다국적 제약사들이 한국시장에서 성장가도를 달리고 마켓쉐어를 확대할 수 있었던 데는 제품력과 영업력도 있지만, 유통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파트너쉽 관계인 도매업체들의 역할을 무시할 수 없다.
하지만 다국적제약사들의 도매업체들의 역할은 무시한 채 자신들의 배만 불리는 영업정책으로 일관하면서 비판을 받고 있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하고 있다는 이유로 자신들의 손해를 도매업체들에게 전가하는 영업 정책을 펴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
도매업체들이 주장하는 손익분기점 수준의 유통마진은 8% 후반이다. 대부분 국내 제약사들은 도매업체들이 주장하는 손익분기점 수준의 유통마진을 제공하고 있지만 다국적 제약사들의 유통마진은 7% 전후이다.
도매업체들의 주장대로라면 다국적 제약사의 의약품을 취급하면 취급할수록 경영이 악화되는 구조이다.
다국적 제약사들도 낮은 유통마진을 제공할 수 밖에 없는 현실적인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일부 업체의 입장에서는 다국적 제약사라는 이유만으로 일방적으로 매도를 당하고 있다는 하소연도 나오는 상황이다.
다국적 제약사와 도매업체들간의 갈등이 현실화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양측이 머리를 맞대고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
실제로 도매업계에서는 의약품 유통마진과 관련한 각계의 입장을 듣기 위해 공청회를 준비하고 있으며, 다국적 제약사측에 공청회에 참석해 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다국적 제약사들은 공청회 참석 요청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파트너쉽 관계인 도매업계의 요구를 '소귀에 경읽기' 식으로 무시하고 일방적인 영업정책을 고수하는 다국적 제약사의 횡포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한 번 주사로 한 달 지속" 장기지속형 주사제, 신약개발 핵심 축 부상 |
2 | 상장 제약바이오 1Q 해외매출, 전년비 코스피 29%‧코스닥 16.4% ↑ |
3 | 압타바이오,당뇨병성신증 치료제 ‘아이수지낙시브’ 임상2b상 국책과제 선정 |
4 | 뉴라클제네틱스, 습성노인성황반변성 'AAV 유전자치료제' 국가신약 과제 선정 |
5 | 콜마 윤동한 회장, 남매 경영권 분쟁서 딸 손 들어줬다 |
6 | 온코크로스, 베리에이셔널 AI와 'AI 기반 공동 신약개발' 협약 |
7 | 딸 보듬은 윤동한 회장, 아들에 '주식 내놔라' 법정공방 |
8 | 셀리드, 약 358억 규모 유상증자... 구주주 청약률 97.55% 달성 |
9 | 리도카인 문제로 일반약까지 겨냥?…약사회 주장에 한약사회 '정면 반박' |
10 | CSL 시퀴러스코리아-삼진제약, 인플루엔자 백신 2종 판매 제휴 협약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다국적 제약사의 낮은 유통마진 영업정책으로 도매업체들의 경영이 위험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도매업체들이 유통마진 영업정책 개선을 요구하며 다국적 제약사들에게 읍소(?)도 하고 한편으로는 제품 취급 거부 투쟁이라는 위협(?)을 하고 있지만 요지부동인 상황이다.
다국적 제약사들이 한국시장에서 성장가도를 달리고 마켓쉐어를 확대할 수 있었던 데는 제품력과 영업력도 있지만, 유통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파트너쉽 관계인 도매업체들의 역할을 무시할 수 없다.
하지만 다국적제약사들의 도매업체들의 역할은 무시한 채 자신들의 배만 불리는 영업정책으로 일관하면서 비판을 받고 있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하고 있다는 이유로 자신들의 손해를 도매업체들에게 전가하는 영업 정책을 펴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
도매업체들이 주장하는 손익분기점 수준의 유통마진은 8% 후반이다. 대부분 국내 제약사들은 도매업체들이 주장하는 손익분기점 수준의 유통마진을 제공하고 있지만 다국적 제약사들의 유통마진은 7% 전후이다.
도매업체들의 주장대로라면 다국적 제약사의 의약품을 취급하면 취급할수록 경영이 악화되는 구조이다.
다국적 제약사들도 낮은 유통마진을 제공할 수 밖에 없는 현실적인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일부 업체의 입장에서는 다국적 제약사라는 이유만으로 일방적으로 매도를 당하고 있다는 하소연도 나오는 상황이다.
다국적 제약사와 도매업체들간의 갈등이 현실화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양측이 머리를 맞대고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
실제로 도매업계에서는 의약품 유통마진과 관련한 각계의 입장을 듣기 위해 공청회를 준비하고 있으며, 다국적 제약사측에 공청회에 참석해 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다국적 제약사들은 공청회 참석 요청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파트너쉽 관계인 도매업계의 요구를 '소귀에 경읽기' 식으로 무시하고 일방적인 영업정책을 고수하는 다국적 제약사의 횡포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