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윤리의식 강화가 먼저다
임채규 기자 Iim82@naver.com 플러스 아이콘
입력 2014-07-23 09:32 수정 2014-07-23 09:37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하나의 사기 사건이 '여약사회' 명칭 사용 문제를 수면위로 띄웠다. 이달초 한 여약사가 포함된 사기사건이 매체를 통해 보도됐다. 교수로 채용되도록 도와주겠다며 거액이 오간 정황이 있는데 이와 관련해 한 여약사가 기소됐다는 내용이다.

여기에 ‘한국여약사회 부회장’이라는 직함이 사용되면서 문제가 꼬였다. 다른 조직인 대한약사회 여약사회로 오인하거나 또다른 사람으로 오해하는 상황이 생겼다. 비슷한 단체 명칭이 불러온 혼란이다.

문제가 커지자 약사를 대표하는 중앙 조직인 대한약사회는 한국여약사회에 명칭변경을 요청하기로 했다. 안건으로 채택된 명칭변경 요구는 상임이사회를 거쳐 정식으로 한국여약사회에 전달될 예정이다.

대한약사회로서는 억울할만한다. 국민과 함께 한다는 인식을 심고, 약사의 이미지 쇄신을 위해 노력해 온 부분이 적지 않은데 순간에 찬물을 끼얹은 양상이기 때문이다. 긍정적인 이미지를 위해 적지 않은 시간과 공을 들이고 있는데, 구정물이 튀었다.

명칭 문제를 넘어 이번 사건은 윤리의식을 강화해야 한다는 숙제를 던졌다. 봉사나 국민속으로 들어 가는 인식을 심기 위해 노력하더라도 한순간 윤리의식 부재의 단면이 노출되면 수포로 돌아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약사사회에서는 그동안 부정적인 사례가 적지 않다. 허위청구로 입건된 약사도 있고, 가짜약을 판매한 사람도 있다. 무자격자를 고용해 내외적으로 문제를 일으킨 경우도 문제가 됐다.

뿌리 뽑을 수는 없더라도 경우의 수를 줄이려면 윤리의식 강화가 필수적이다.

두려워 하지 않는 솜방망이 징계 보다 제명이나 박탈 같은 수위 높은 판단도 필요하다. 제식구라고 감싸주는 경우가 없다는 것을 인식시켜야 한다.

최근 약사회 윤리위원회에는 외부 인사가 포함됐고, 윤리기준 위반 심사가 강화됐다. 복지부에 자격정지 처분 요구도 할 수 있다. 지켜볼 부분은 형식은 강화됐는데 결과물 역시 수준에 맞냐는 것이다. 제대로 된 역할과 기능이 필요한 시점이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QVIS가 '약물감시 ICH E2B(R3) FDA 게이트웨이' 구축 해냈습니다"
"부광약품, '레가덱스·레가론' 조합으로 간질환 치료 선두 굳힌다"
금병미 대구시약사회장 "회원과 소통하는 약사회, 단단한 공동체로"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윤리의식 강화가 먼저다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윤리의식 강화가 먼저다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