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제약계가 혼란스럽다. 리베이트가 두 번 적발되면 보험급여를 삭제하는 ‘리베이트 투아웃제’가 강한 불안감을 동반한 혼란의 근원지다.
보험급여 삭제는 회사의 매출에 즉시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제약사들이 불미스러운 사건 발생 가능성을 원천봉쇄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CP프로그램 구축에 전사적으로 나서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제약사 뿐 아니다. 제약사 리베이트가 적발되면, 제약계 전체가 ‘도매금’으로 넘어간다는 점에서 제약협회도 윤리경영 투명경영을 담보할 ‘윤리헌장’과 실천강령 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다.
제약계 전체가 ‘리베이트는 더 이상 안된다’는 분위기로 짜여진 형국이다.
실제 업계 전반적인 분위기도 이전과는 달라지고 있다. 그간 겉으로는 ‘리베이트 근절’을 말하면서도 내부적으로는 불미스런 영업 마케팅을 진행한 예가 있었지만, 현재 분위기는 ‘리베이트 제공=퇴출’로 짜여 지고 있다. 리베이트 영업을 회사의 운명과 연결시킬 정도로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얘기다.
업계에서 ‘리베이트 투아웃제’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면서도, 일부 반기는 분위기가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제는 제약사 본연의 자세인 연구개발 경쟁을 할 수 있고, 이 같은 경쟁은 국내 제약산업 전체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다만 업계 내에서 개인의 일탈로 회사가 입을 수 있는 피해에 대한 우려는 나온다. 회사가 리베이트를 퇴출시킬 강력한 프로그램을 만들어도, 개인이 매출을 위해 진행하는 일탈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고 이 경우 회사가 본의 아니게 입게 될 유무형의 피해가 있을 수 있다는 우려다.
하지만 회사의 은밀한 정책이든, 회사와 관계없는 개인의 일탈이든 결국은 회사의 몫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회사가 매출 최우선 정책을 펴는 한, 영업 담당자들은 매출에 대한 유혹을 받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경쟁력 있는 제품을 확보하든, 리베이트에서 자유로운 진일보한 영업 마케팅 기법을 개발하든 리베이트 원천봉쇄의 바탕은 기업이라는 얘기다. 빠져 나갈 구멍부터 만들기 이전에 모든 노력을 다 해야 한다는 말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한 번 주사로 한 달 지속" 장기지속형 주사제, 신약개발 핵심 축 부상 |
2 | 상장 제약바이오 1Q 해외매출, 전년비 코스피 29%‧코스닥 16.4% ↑ |
3 | 압타바이오,당뇨병성신증 치료제 ‘아이수지낙시브’ 임상2b상 국책과제 선정 |
4 | 뉴라클제네틱스, 습성노인성황반변성 'AAV 유전자치료제' 국가신약 과제 선정 |
5 | 콜마 윤동한 회장, 남매 경영권 분쟁서 딸 손 들어줬다 |
6 | 온코크로스, 베리에이셔널 AI와 'AI 기반 공동 신약개발' 협약 |
7 | 딸 보듬은 윤동한 회장, 아들에 '주식 내놔라' 법정공방 |
8 | 셀리드, 약 358억 규모 유상증자... 구주주 청약률 97.55% 달성 |
9 | 리도카인 문제로 일반약까지 겨냥?…약사회 주장에 한약사회 '정면 반박' |
10 | CSL 시퀴러스코리아-삼진제약, 인플루엔자 백신 2종 판매 제휴 협약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요즘 제약계가 혼란스럽다. 리베이트가 두 번 적발되면 보험급여를 삭제하는 ‘리베이트 투아웃제’가 강한 불안감을 동반한 혼란의 근원지다.
보험급여 삭제는 회사의 매출에 즉시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제약사들이 불미스러운 사건 발생 가능성을 원천봉쇄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CP프로그램 구축에 전사적으로 나서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제약사 뿐 아니다. 제약사 리베이트가 적발되면, 제약계 전체가 ‘도매금’으로 넘어간다는 점에서 제약협회도 윤리경영 투명경영을 담보할 ‘윤리헌장’과 실천강령 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다.
제약계 전체가 ‘리베이트는 더 이상 안된다’는 분위기로 짜여진 형국이다.
실제 업계 전반적인 분위기도 이전과는 달라지고 있다. 그간 겉으로는 ‘리베이트 근절’을 말하면서도 내부적으로는 불미스런 영업 마케팅을 진행한 예가 있었지만, 현재 분위기는 ‘리베이트 제공=퇴출’로 짜여 지고 있다. 리베이트 영업을 회사의 운명과 연결시킬 정도로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얘기다.
업계에서 ‘리베이트 투아웃제’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면서도, 일부 반기는 분위기가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제는 제약사 본연의 자세인 연구개발 경쟁을 할 수 있고, 이 같은 경쟁은 국내 제약산업 전체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다만 업계 내에서 개인의 일탈로 회사가 입을 수 있는 피해에 대한 우려는 나온다. 회사가 리베이트를 퇴출시킬 강력한 프로그램을 만들어도, 개인이 매출을 위해 진행하는 일탈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고 이 경우 회사가 본의 아니게 입게 될 유무형의 피해가 있을 수 있다는 우려다.
하지만 회사의 은밀한 정책이든, 회사와 관계없는 개인의 일탈이든 결국은 회사의 몫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회사가 매출 최우선 정책을 펴는 한, 영업 담당자들은 매출에 대한 유혹을 받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경쟁력 있는 제품을 확보하든, 리베이트에서 자유로운 진일보한 영업 마케팅 기법을 개발하든 리베이트 원천봉쇄의 바탕은 기업이라는 얘기다. 빠져 나갈 구멍부터 만들기 이전에 모든 노력을 다 해야 한다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