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도 예산안 규모를 총 656조 9000억 원으로 확정한 바 있는데 지출증가율이 최근 5년 평균치를 크게 하회하는 수준이다. 최근 몇 년간 지속돼 온 확장재정에서 긴축 내지는 건정재정 기조로 전환, 나라 살림살이를 방만하게 운영하지 않겠다는 국정운영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보여진다. 하지만 이같은 긴축예산이 경제 성장에 찬물을 끼얹는건 아닌지 살피고 허리띠를 졸라매더라도 필요한 분야에 대한 지원은 과감히 늘려 기업이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주어야 할 것이다. 퍼주기식 선심성 예산은 삭감하되 국가경제 성장에 마중물이 될 수 있는 분야는 더 집중적인 예산투입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문이다.
이처럼 전반적 재정여건이 녹록치 않은 상황에서 편성된 내년 복지부 예산(안)은 우리 사회의 진정한 약자 보호, 국민생명 보호를 위한 필수의료 확충, 저출산 극복과 전략산업 육성 등 미래를 위한 투자에 중점을 두었다고 한다. 내년 보건복지부 예산은 총 122조 4538억 원 규모로 올해보다 12.2% 증가한 금액이다. 외형상 늘었지만 세부항목을 살펴보면 아쉬움이 크다. 복지분야가 확충된 반면 보건분야는 상대적으로 긴축기조가 확연하다. 제약산업 육성과 인력양성을 위한 직접지원이 줄고 바이오, 디지털 헬스, R&D는 확대했다는 당국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제약바이오업계의 실질적 지원을 위한 예산은 크게 늘지 않았다.
비효율적이고 관행화된 사업은 과감히 정리돼야 한다는 정책기조로 대다수 부처의 국가연구개발 예산이 큰 폭으로 삭감됐다. 글로벌 연대로 혁신역량을 확보해 우수한 연구자는 국가연구개발을 통해 혁신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R&D다운 R&D는 성패나 성과에 관계없이 지원을 확대하겠다는 과기부 장관의 설명이 무색해질 지경이다. 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 등 도전적 기술이 포함된 바이오분야의 경우 인프라 투자를 위한 예산이 배정되기는 했지만 실제 기업들이 체감하는 지원과는 거리가 멀다는 느낌이다. 더욱이 R&D가 핵심일수밖에 없는 제약바이오산업의 경우 적지 않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정부는 그동안 관행적으로 이뤄져 온 연구비 나눠 먹기나 쪼개기식 연구 등을 바로잡기 위해 R&D 예산을 줄였다고 하는데 이는 근시안적 발상이 아닐수 없다. 과학기술 성과는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고 정부지원 없이는 생존조차 어려운 기초과학 분야의 현실을 감안할 때 대통령이 언급한 연구개발(R&D) 카르텔 혁파 후폭풍으로 국가 주요 R&D 예산이 3조원 이상 삭감되는 것은 졸속을 떠나 국가과학기술진흥을 가로막는 매우 위험한 결정이 아닐수 없다. 정부가 마련한 새해 예산안은 국회통과 과정에서 검증절차를 거치는만큼 R&D관련 항목은 더욱 더 세밀한 현미경 검증을 통해 필요한 부문은 반드시 원상복구가 이뤄져야 한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재생 촉진에 성형 성공률 향상까지" 이엔셀, '지방이식 효율 증진법' 연구결과 발표 |
2 | [약업닷컴 분석] 9월 바이오 '3상 7건'…대웅제약 마이크로니들·네이처셀 조인트스템 '신약 도전장' |
3 | 리가켐바이오, 일본 오노약품공업과 ADC 기술이전 계약 |
4 | "키트루다, 조기 삼중음성 유방암서 전체 생존 연장 입증한 치료제" |
5 | 펩트론, 일라이 릴리와 약효 지속 플랫폼 기술 'SmartDepot' 평가 계약 |
6 | 2024년 6월 제약바이오 부채비율 코스피 81.23%, 코스닥 73.90% |
7 | 올해 6월 88개 제약바이오사 자기자본이익률 코스피 0.23%, 코스닥 0.74% |
8 | HLB 간암신약,미국 FDA 본심사 Class 2 분류...조만간 현장실사 진행 |
9 | 사노피·GSK·CLS, 조류 독감 대응 위한 미 정부 투자 확보 |
10 | 브릿지바이오, 특발성 페섬유증 치료제 임상2상 성공 가능성↑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정부가 내년도 예산안 규모를 총 656조 9000억 원으로 확정한 바 있는데 지출증가율이 최근 5년 평균치를 크게 하회하는 수준이다. 최근 몇 년간 지속돼 온 확장재정에서 긴축 내지는 건정재정 기조로 전환, 나라 살림살이를 방만하게 운영하지 않겠다는 국정운영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보여진다. 하지만 이같은 긴축예산이 경제 성장에 찬물을 끼얹는건 아닌지 살피고 허리띠를 졸라매더라도 필요한 분야에 대한 지원은 과감히 늘려 기업이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주어야 할 것이다. 퍼주기식 선심성 예산은 삭감하되 국가경제 성장에 마중물이 될 수 있는 분야는 더 집중적인 예산투입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문이다.
이처럼 전반적 재정여건이 녹록치 않은 상황에서 편성된 내년 복지부 예산(안)은 우리 사회의 진정한 약자 보호, 국민생명 보호를 위한 필수의료 확충, 저출산 극복과 전략산업 육성 등 미래를 위한 투자에 중점을 두었다고 한다. 내년 보건복지부 예산은 총 122조 4538억 원 규모로 올해보다 12.2% 증가한 금액이다. 외형상 늘었지만 세부항목을 살펴보면 아쉬움이 크다. 복지분야가 확충된 반면 보건분야는 상대적으로 긴축기조가 확연하다. 제약산업 육성과 인력양성을 위한 직접지원이 줄고 바이오, 디지털 헬스, R&D는 확대했다는 당국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제약바이오업계의 실질적 지원을 위한 예산은 크게 늘지 않았다.
비효율적이고 관행화된 사업은 과감히 정리돼야 한다는 정책기조로 대다수 부처의 국가연구개발 예산이 큰 폭으로 삭감됐다. 글로벌 연대로 혁신역량을 확보해 우수한 연구자는 국가연구개발을 통해 혁신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R&D다운 R&D는 성패나 성과에 관계없이 지원을 확대하겠다는 과기부 장관의 설명이 무색해질 지경이다. 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 등 도전적 기술이 포함된 바이오분야의 경우 인프라 투자를 위한 예산이 배정되기는 했지만 실제 기업들이 체감하는 지원과는 거리가 멀다는 느낌이다. 더욱이 R&D가 핵심일수밖에 없는 제약바이오산업의 경우 적지 않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정부는 그동안 관행적으로 이뤄져 온 연구비 나눠 먹기나 쪼개기식 연구 등을 바로잡기 위해 R&D 예산을 줄였다고 하는데 이는 근시안적 발상이 아닐수 없다. 과학기술 성과는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고 정부지원 없이는 생존조차 어려운 기초과학 분야의 현실을 감안할 때 대통령이 언급한 연구개발(R&D) 카르텔 혁파 후폭풍으로 국가 주요 R&D 예산이 3조원 이상 삭감되는 것은 졸속을 떠나 국가과학기술진흥을 가로막는 매우 위험한 결정이 아닐수 없다. 정부가 마련한 새해 예산안은 국회통과 과정에서 검증절차를 거치는만큼 R&D관련 항목은 더욱 더 세밀한 현미경 검증을 통해 필요한 부문은 반드시 원상복구가 이뤄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