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공행진중인 물가가 비상이다. 이 와중에 전형적인 내수업종이고 경기 영향을 크게 받지않는 산업군으로 분류되는 의약품 업종조차 물가 불안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지고 있다. 환자가 급감하고 의약품 수요가 줄어드는 일반적 불황의 징후도 문제지만 최근 진행되고 있는 일반의약품(OTC) 가격정책과 관련한 정부 당국의 행보가 더욱 염려스럽다. 때리는 시어머니보다 말리는 시누이가 더 밉다는 말이 딱 어울릴 정도로 복지부의 일반약 가격과 관련된 몽니에 업계는 냉가슴만 앓고 있다. 물가잡기가 정부차원의 과제가 되고 민생이 정치권의 핵심 이슈로 부상했다고는 하지만 일반의약품 존립 역시 민생 못지않은 중요한 문제가 된다는 점을 주지해야 할 현 상황이다.
업계 전언에 따르면 복지부는 지난 7월 유관 단체 간담회에 이어 지난달 말 업계대표들이 참석한 간담회를 잇달아 개최했다. 이른바 일반의약품 가격인상관련 대책회의 성격의 이 자리에서 복지부는 일반약에 대한 가격인상을 자제해 달라고 요청 했다는데 업계는 아예 가격을 올리지 말라는 엄포성 지시로 받아들이는 분위기이다. 유통가에 따르면 최근 감기약 피로회복제 등을 포함해 소비자 물가지수와 연동되는 일부 품목들의 공급가격이 소폭 인상되거나 인상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면에는 원료비와 유통비용 상승 등으로 인한 불가피한 측면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생약제제로 구성되는 원료 수급 불안이나 위수탁을 통한 생산공정상의 애로 역시 가격인상의 한 요인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지점에서 물가를 감안, 가격인상을 억제해 달라는 정부당국의 요청이 단순히 업체를 향한 엄포로만 볼 수 없다는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하지 않을수 없다. 일반의약품은 의약분업 이전과 이후로 그 역할이 극명하게 구분되는데 지난해 완제의약품 생산실적 기준 전문약이 21조 9900억(86%)를 차지한 가운데 일반약은 3조 5800억(14%)에 불과한 미니마켓으로 전락한 상황이다. 가격안정에 함몰된 나머지 자칫 일반의약품의 기반 자체를 송두리째 말살시키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이로 인한 뒷감당은 어떻게 책임질 것인지 심각히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지금도 어려운 상황에서 생산활동을 지속하고 있는데 만약 정부가 가격마저 수용키 어려운 수준으로 제한한다면 더 이상 생산을 지속할 이유가 없다. 필수의약품도 아닌 마당에 이익이 확보되지 않는 시장 철수는 업체의 판단에 달린 사안이다. 이런 상황을 막아야 한다.
편의점 판매가 가능한 안전상비약 포함 일반의약품은 처방전없이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의약품으로 전세계적으로 새롭게 조망받고 있는 셀프메디케이션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만큼 경증 질환에 대한 소비자 접근성과 의료비용 절감 등 보건의료 정책 측면에서의 장점을 잘 살펴야 한다. 일반약 전담조직 신설, 의약품 표준제조기준 확대, 전문약 일반약 스위치를 통한 재분류 활성화 등 업계가 앞장서 추진하고 있는 일반약활성화 방안들에 대해 정부는 제도와 정책지원으로 화답해야 할 의무가 있다. 단지 물가안정 차원의 가격통제 같은 하수가 아니라 일반약 활성화를 통해 국민건강도 지키고 의료비용 절감과 산업 발전을 함께 도모하는 상수 대책이 정말 필요한 때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HLB, 담관암 혁신신약 물질 도입...내년 신약허가 추진 |
2 | 에이비엘바이오-리가켐바이오, 美혈액학회서 'ROR1 ADC' 1상 중간 결과 발표 |
3 | 'MD'가 뭐길래…화장품·제약·바이오업계 다 뛰어든다 |
4 | "아토피 치료제 왕좌 향한 도전, 국내 제약바이오의 반격" |
5 | [르포] ‘왜 가려울까’ 원인 찾기 위해 첩포·혈액·수분도 등 검사 |
6 | 오유경 최장수 식약처장, “규제혁신, 앞으로도 이어질 것” |
7 | HLB그룹, 2025년 정기 임원인사...'수석부회장' 신설 |
8 | [약업닷컴 분석] 11월 바이오 임상 '3상 14건'…한미·LG화학·셀리드 10월 0건 공백 메워 |
9 | “스테로이드에서 항체, 줄기세포까지” 아토피 치료제는 진화 중 |
10 | [진단과치료] 중증 아토피피부염, 생물학적제제 치료 안전성과 효능 확인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고공행진중인 물가가 비상이다. 이 와중에 전형적인 내수업종이고 경기 영향을 크게 받지않는 산업군으로 분류되는 의약품 업종조차 물가 불안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지고 있다. 환자가 급감하고 의약품 수요가 줄어드는 일반적 불황의 징후도 문제지만 최근 진행되고 있는 일반의약품(OTC) 가격정책과 관련한 정부 당국의 행보가 더욱 염려스럽다. 때리는 시어머니보다 말리는 시누이가 더 밉다는 말이 딱 어울릴 정도로 복지부의 일반약 가격과 관련된 몽니에 업계는 냉가슴만 앓고 있다. 물가잡기가 정부차원의 과제가 되고 민생이 정치권의 핵심 이슈로 부상했다고는 하지만 일반의약품 존립 역시 민생 못지않은 중요한 문제가 된다는 점을 주지해야 할 현 상황이다.
업계 전언에 따르면 복지부는 지난 7월 유관 단체 간담회에 이어 지난달 말 업계대표들이 참석한 간담회를 잇달아 개최했다. 이른바 일반의약품 가격인상관련 대책회의 성격의 이 자리에서 복지부는 일반약에 대한 가격인상을 자제해 달라고 요청 했다는데 업계는 아예 가격을 올리지 말라는 엄포성 지시로 받아들이는 분위기이다. 유통가에 따르면 최근 감기약 피로회복제 등을 포함해 소비자 물가지수와 연동되는 일부 품목들의 공급가격이 소폭 인상되거나 인상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면에는 원료비와 유통비용 상승 등으로 인한 불가피한 측면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생약제제로 구성되는 원료 수급 불안이나 위수탁을 통한 생산공정상의 애로 역시 가격인상의 한 요인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지점에서 물가를 감안, 가격인상을 억제해 달라는 정부당국의 요청이 단순히 업체를 향한 엄포로만 볼 수 없다는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하지 않을수 없다. 일반의약품은 의약분업 이전과 이후로 그 역할이 극명하게 구분되는데 지난해 완제의약품 생산실적 기준 전문약이 21조 9900억(86%)를 차지한 가운데 일반약은 3조 5800억(14%)에 불과한 미니마켓으로 전락한 상황이다. 가격안정에 함몰된 나머지 자칫 일반의약품의 기반 자체를 송두리째 말살시키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이로 인한 뒷감당은 어떻게 책임질 것인지 심각히 고민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지금도 어려운 상황에서 생산활동을 지속하고 있는데 만약 정부가 가격마저 수용키 어려운 수준으로 제한한다면 더 이상 생산을 지속할 이유가 없다. 필수의약품도 아닌 마당에 이익이 확보되지 않는 시장 철수는 업체의 판단에 달린 사안이다. 이런 상황을 막아야 한다.
편의점 판매가 가능한 안전상비약 포함 일반의약품은 처방전없이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의약품으로 전세계적으로 새롭게 조망받고 있는 셀프메디케이션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만큼 경증 질환에 대한 소비자 접근성과 의료비용 절감 등 보건의료 정책 측면에서의 장점을 잘 살펴야 한다. 일반약 전담조직 신설, 의약품 표준제조기준 확대, 전문약 일반약 스위치를 통한 재분류 활성화 등 업계가 앞장서 추진하고 있는 일반약활성화 방안들에 대해 정부는 제도와 정책지원으로 화답해야 할 의무가 있다. 단지 물가안정 차원의 가격통제 같은 하수가 아니라 일반약 활성화를 통해 국민건강도 지키고 의료비용 절감과 산업 발전을 함께 도모하는 상수 대책이 정말 필요한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