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제약바이오헬스 혁신위원회 정식출범에 대한 기대
약업신문 news@yakup.co.kr 플러스 아이콘
입력 2023-10-25 09:06 수정 2023-10-25 09:07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 육성과 발전을 위한 범정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될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이하 혁신위원회)가 다음달 정식 출범한다혁신위원회는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복지부를 포함해 기획재정부교육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외교부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국무조정실개인정보보호위원회식품의약품안전처특허청 및 질병관리청 등 12개 정부 부처의 수장과 현장 및 학계 등의 민간전문가로 구성되며 향후 바이오헬스기술개발제품화보험등재시장진출 등의 전주기 지원을 위한 정책 등을 집중적으로 검토·심의하게 된다고 한다.

 

그동안 의약품의료기기 및 보건의료기술 등 제품·서비스와 관련된 바이오헬스 업무가 부처별분야별단계별 칸막이로 가로막혀 있다는 지적이 있어 왔는데 이번 혁신위원회의 정식 출범으로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구개발(R&D)부터 신약 개발해외 시장 진출과 관련된 재정적 행정적 지원이 가능해 질 것으로 보여져 일단 기대감을 갖게 된다혁신위 출범에 대해 정부는 범정부 합동으로 바이오헬스기술개발제품화보험등재시장진출 등의 전주기 지원을 위한 정책 등을 집중적으로 검토·심의하고 바이오헬스 산업이 미래먹거리 및 국가 핵심 전략산업으로 초석을 다질 수 있도록 민·관 역량을 하나로 모아 나가겠다고 밝혔다.

 

혁신위원회 출범에 대해 관련업계는 우선 환영하는 입장을 밝히고 있지만 당초 대통령 직속기관으로 국회입법을 통해 보다 확실하고 강력한 컨트롤타워 출범을 기대했던만큼 조금은 아쉽다는 반응이다이같은 분위기의 이면에는 정부출범 당시 대통령이 공약사항으로 제약바이오산업의 집중적인 육성과 지원을 약속한 바 있고 뒤이어 발표된 국정과제에도 이같은 내용이 포함돼 있었던만큼 이의 실행을 기대했기 때문이다기구의 명칭 역시 제약바이오가 아닌 바이오헬스로 변경된것은 그만큼 대상산업의 범위가 커져 집중이 분산될 우려를 하고 있는것이다.  

 

대통령직속이던 국무총리 직속이던간에 중요한것은 컨트롤타워로서 제대로 된 기능을 해 내는지에 달렸다고 본다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개발에 필요충분조건이 되는 메가펀드 조성은 인프라 구축이라는 점에서 부처간 이견이 없어야 하고 펀드규모도 현재 거론되는 수준보다 최소 다섯배는 돼야 한다는 주문이다금융과 파이낸싱 지원뿐만 아니라 바이오벤처 상장과 유지를 위한 조건과 규제과학 정책의 선진화도 함께 해결 돼야 한다내년에 발효되는 규제과학혁신법 역시 규제전문가가 태부족인 상황에서 규제가 만능이 아니다는 관련업계의 현실적 고민에 대해 컨트롤타워에 속한 관련 부처는 민관의 협력관계 설정에 보다 강화된 무게중심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제약바이오헬스 혁신위원회 정식출범에 대한 기대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제약바이오헬스 혁신위원회 정식출범에 대한 기대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