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결막염 환자가 연 평균 12만명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윤구)이 2005~2009년 결막염에 대한 심사결정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결막염의 진료인원 및 총 진료비는 각각 연평균 3.6%, 5.1% 증가했다.
진료인원은 2009년 407만명으로 2005년 356만명보다 51만명이 증가했고 이는 연평균 약 12만 8천명씩 증가한 셈이다.
또한 진료인원을 월별(1월-6월)로 분석한 결과 결막염은 본격적인 황사가 시작되는 3월-4월에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다.
성별 분석결과 최근 5년간 여성이 남성보다 약 1.4배 더 많았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이 3.2%, 여성이 3.8%로 여성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 결막염은 30세미만의 젊은 연령대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을 기준으로 0~9세가 20.7%로 가장 높았으며, 10~19세가 14.6%, 20~29세가 10.9%로, 30세미만의 연령구간에서 전체의 46.2%를 차지했다.
0~9세에서는 남성의 진료인원이 더 많았으나, 10세이상의 전 연령구간에서 여성이 많았으며, 특히 20~29세에서는 여성이 남성대비 2.4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평원은 황사가 잦은 봄철 결막염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황사기간에는 렌즈보다 안경을 쓰고 다니거나 황사가 심할때는 비누를 사용해 흐르는 물에 손을 자주 씻을 것을 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