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 전문성 가장 살릴 수 있는 학문은 '약물역학'"
성균관대 약대 신주영교수…"사회약학 2세대로 약물역학 환경구축하겠다"
이승덕 기자 | duck4775@yakup.com 기사입력 2017-07-18 06:00 최종수정 2017-07-18 06:45
최근 병원 뿐 아니라 개국가·약사회까지 약물 부작용 보고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는 가운데, 이를 학문적으로 활용·연구하는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약물역학교실 신주영 교수를 만났다.

신 교수는 "약물 부작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늘어나면서 부작용 보고도 활성화 되고 있는데, 이를 의미 있는 정보로 분석하는 작업은 아직 많이 부족하다"며 "우리나라는 건강보험 자료와 부작용 보고 등 재료는 넘처나는데 이를 가공하고 연구설계를 하는 것이 사회약학자, 특히 약물역학자들의 몫이다"라고 강조했다.
신주영 교수는 서울대학교에서 의·약학을 함께 전공(약대 약학사, 보건대학원 보건학석사, 의대 의학박사)했는데, 이는 우리나라 약물역학의 성장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불과 5~6년 전까지만 해도 약학계의 사회약학과·약물역학에 대한 관심은 다소 저조해 약대 약물역학 교수가 없는 상황에서 이를 배우기 위해 의대에서 약물역학을 전공해 학위를 받았다.
이후 사회약학 1세대 연구자들이 늘어나고, 약학대학 6년제 도입 후 약학교육에서도 임상약학과 사회약학 교육에 관심이 조금씩 커졌으나, 아직까지 임상약학에 비해 사회약학에 대한 비중은 크지 않다.
현재 전국약대 35개 중 20개 대학에서 사회약학 교수가 강의를 맡고 있는데, 이는 예전보다 크게 늘어난 폭이지만, 동시에 아직 15개 약대에서는 사회약학이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신 교수는 사회에서 필요한 사회약학자 수요에 비해 인력이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했다. 그가 박사학위 직후 4년 간 근무하던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을 떠나 성균관대 약대로 온 이유였다.
성균관대 약대가 타 약대 출신인 신 교수를 부른 것도 현재 사회약학 1세대에 해당하는 교수들이 기반을 다진 경제/정책, 경영 등 기존 파트에 '약물역학'을 영입해 완전한 사회약학 교육프로그램을 구축하는 측면에서였다.
신 교수는 "약물역학 교육도 아직 초창기라 약물역학 부분에서 새로 시작해야 하지만, 사회약학분야가 처음 정착할 때는 더욱 막막했을 것"이라며 "기반을 만든 사회약학 교수님들께 감사한다. 2세대에 해당하는 우리는 그 틀에 내용을 더욱 풍성히 채워넣어야 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신주영 교수는 현재 성대약대 석·박사 과정 약대생 100여 명에게 5개 과목(약물역학 기초·중급·고급, 통계, 시판후 조사 등)을, 학부생들에게는 약물역학 강의와 통계학을 가르치며, 동시에 개인연구를 병행하는 분주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학생들도 수업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여기에는 안전관리원 근무시절 현장 경험이 많은 도움이 됐다는 설명이다.
글로만 적혀있는 내용에 경험에 기반한 여러가지 에피소드들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한다는 것. 뿐만 아니라 사회약학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직전 개국약사(근무 약사)로서의 경험도 단순히 실패가 아닌 연구·교육의 좋은 경험으로 남았다고 부연했다.
신주영 교수는 약물역학의 장점이 '약물을 다루는 약사'로서 가장 깊은 곳까지 연구할 수 있다고 짚었다.
신 교수는 "연구를 하든 공무원이든 약사로서 자기 직업으로서 부끄럽지않도록 해야하는데, 약물역학이 약사로서 아카데미아에서 발휘할 수 있는 약사직능과 매우 잘 맞는다"며 "병원약사 뿐아니라 개국약사까지 부작용 보고를 하는 최근 경향을 보면 의대나 통계학과, 사회학과보다도 약대에서 가장 잘 할 수 있는 학문"이라고 정리했다.
신주영 교수는 "약물역학은 사회과학적 학문과 자연과학적 학문의 융합인 만큼 통계 능력도 중요하고 논리적 사고도 중요하다"며 "결국 좋은 약물역학 연구자를 배출하는게 목표로, 현재 선진국을 따라가는 국내 약물역학이 더 짧은 기간에 더욱더 성장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앞으로의 포부에 대해서는 "지금 목표는 외국의 연구자들이 봐도 잘하는 연구자라는 소리를 듣고 싶고, 나보다 더 잘하는 연구자들을 배출하고 싶은 것이 목표"라며 "약물역학에 대한 강의가 나중에 약국, 제약사로 갔을 때도 가장 도움이 되는 학문이 되길 바란다"고 희망했다.
이 기사 주소https://www.yakup.com/news/news.html?mode=view&nid=207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