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혈전 치료제시장 지각변동 예고
1차치료제 아스피린계열 처방량 확대 가능성 주목
4천7백억대 항혈전 치료제시장이 급요동칠 전망이다. 이시장의 강자로 군림했던 플라비톨과 제네릭군의 매출감소와 아스피린제제의 처방급증이 예상된다.
이같은 전망은 최근 정부가 항혈전제 치료제에 대해 보험급여에서 일부약을 제외하고 2차 치료제로 변경하는 내용을 담은 개정안을 고시한데 따른 것이다.
복지부는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고시개정안을 내고 내달 4일까지 의견조회를 받고 있다.
이번 고시 개정안에는 항혈전치료제(경구용 heparinoid 제제 및 경구용 항혈소판제) 등 3가지 안이 신설되고 Aspirin 경구제(품명:아스피린프로텍트 등) 등 5가지 안이 변경된다.
특히 개정안에는 항혈전제 가운데 아스피린 경구제만 단독으로 1차 치료제가 되고, 플라빅스 등 다른 성분 제제는 2차 치료제로 전환되는 방안이 포함돼 있다.
즉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 말초동맥성질환 등에 아스피린 경구제를 우선적으로 단독 1종 투여한뒤, 효과가 없거나 알러지 또는 위장관 출혈 등 심한 부작용이 있는 경우에는 다른 항혈전제를 2차 치료제로 쓸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플라빅스정, 페르산친75당의정, 이부스트린정, 메소칸캅셀, 베셀듀에프연질캅셀, 유유크리드정, 디스그렌캅셀, 프레탈정, 아테로이드캅셀, 베라실정, 오팔몬정, 안플라그정 등도 모두다 2차로 분류됐다.
반면 아스피린제제를 판매하는 바이엘(아스피린프로텍트)과 보령제약(아스트릭스) 등은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 주소https://www.yakup.com/news/news.html?mode=view&nid=1254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