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건강기능식품
식품 방부제 시장 2030년까지 연평균 4.6% ↑
지난 2021년에 28억6,570만 달러 규모를 형성한 글로벌 식품 방부제 시장이 연평균 4.6%의 변질되지 않는 성장률을 거듭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오는 2030년에 이르면 이 시장이 42억4,030만 달러 규모로 크게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는 예측이다.
아일랜드 더블린에 소재한 시장조사기관 리서치&마켓은 10일 공개한 ‘유형별, 기능별, 라벨별, 용도별 식품 방부제 시장: 글로벌 기회분석 및 2022~2030년 업계 전망’ 보고서에서 이 같이 추정했다.
미생물 증식으로 인한 분해를 예방하는 식품 방부제는 식품 매개성 감염증 위험성을 줄이고, 식품의 신선도와 영양학적 품질을 보존하는 역할을 하는 첨가물질이다.
특히 식품 방부제는 항산화제의 역할을 하면서 식품의 수분 손실을 줄여 숙성과정이 지연되고 보다 장기간 보관이 가능토록 돕는다는 특성이 눈에 띈다.
현재 식품 방부제는 소금, 알코올과 같은 천연물 또는 벤조산나트륨과 같이 화학합성을 거쳐 제조되고 있다.
보고서는 현대인들의 바쁜 라이프스타일과 변화하는 식습관으로 인해 아침식사 대용 씨리얼, 제빵류, 즉석식품 등의 가공식품 수요가 갈수록 고조됨에 따라 식품 방부제 시장의 성장세에도 탄력이 실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 예로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EDTA)이나 벤조산과 같은 식품 방부제들은 가공식품을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식품의 색상, 질감 및 풍미 등을 증진하는 데도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뒤이어 보고서는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데다 오가닉 푸드를 원하는 수요가 높게 일면서 식품업계에서 인공 방부제의 사용을 배제하려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고, 이로 인해 클린 라벨(clean labeled) 식품들이 소비자들에 의해 활발하게 채택되고 있는 추세에 대해 언급했다.
이 같은 추세가 식품 방부제 시장이 더욱 크게 성장하는 데 기폭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클린 라벨 식품들은 포도씨 추출물, 시트러스 오일 및 식초(buffered vinegar) 등의 천연 방부제를 사용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밖에도 세계 각국에서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및 소르빈산칼슘 등을 사용한 각양각색의 음료제품들이 활발하게 소비되고 있는 추세가 식품 방부제 시장의 볼륨을 확대해 나가는 데 빼놓을 수 없는 요인으로 힘을 보태고 있다고 풀이했다.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및 소르빈산칼슘 등은 음료의 장기보관 뿐 아니라 외관과 맛, 향기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있다.
하지만 합성 식품 방부제 사용이 알레르기, 천식 및 암을 유발하는 등 건강에 미칠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고개를 들고 있는 현실은 이 시장이 성장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을 보고서는 배제하지 않았다.
이와 함께 천연물 추출 플라보노이드가 식품 방부제로 사용되기에 이르면서 차후 식품 방부제 시장에 부족함 없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플라보노이드가 높은 항균력과 항산화 특성에 힘입어 인공 방부제에 비해 한층 더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한편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별로 볼 때 북미시장이 식품 방부제 시장에서 최대의 마켓셰어를 점유하고 있는 가운데 오는 2030년까지도 현재와 같은 위치를 고수할 것으로 예측됐다.
그 이유로 보고서는 소르베이트와 프로피온산 등의 방부제를 사용하는 냉동빵, 냉동 피자 크러스트, 도넛 및 머핀 등의 냉동 제빵류가 이 지역에서 활발하게 소비되고 있는 현실을 상기시켰다.
소시지, 핫도그, 페퍼로니 및 말린 육포 등의 가공육 식품들이 다빈도 소비됨에 따라 아질산나트륨, 아질산칼륨 등의 방부제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북미시장의 특성 또한 보고서는 빼놓지 않고 언급했다.
반면 아시아‧태평양시장은 인도, 중국과 같은 인구대국들이 존재하는 데다 포장식품 수요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등에 업고 식품 방부제 시장이 지속적인 확대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고서는 예단했다.
중국이나 일본처럼 냉동 수산물을 다량 소비하는 국가들이 아시아‧태평양시장에 위치해 있고, 이 같은 냉동 수산물들이 신선함을 유지하기 위해 포르말린, 암모니아 등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보고서는 또 다른 요인으로 짚고 넘어갔다.
이덕규
2023.02.13